경량부
경량부(經量部, 산스크리트어: Sautrāntika 사우트란티카, 팔리어: Suttavāda 숫타바다)는 인도의 부파불교의 한 부파이다. 설일체유부에서 갈라져 나온 부파로,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가 3장(三藏) 가운데 논장[論] 즉 아비달마를 중시했음에 비해 경장[經]을 정량(正量: 지식의 바른 근거)으로 삼아 의지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경량부'라고 스스로 칭하였다.[1][2][3]
약칭으로 경부(經部)라고도 하며, 별칭으로 비유부(譬喻部)[4] · 상속부(相續部) · 설경부(說經部) · 설도부(說度部) · 설전부(說轉部) · 수다라론(修多羅論) · 수투로구(修妬路句) 또는 승가란제가(僧伽蘭提迦)라고도 한다.[5]
세우(世友: 1~2세기[6][7])의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에 의거하여 경량부가 기원전 1세기에 설일체유부에서 분리하여 성립되었다고 전통적으로 여겨왔는데, 현대의 학자들은 경량부가 기원후 1세기경부터 나타난 비유자(譬喩者) 또는 비유사(譬喻師)라고 불린 설일체유부 내의 이견을 가진 그룹에서 기원하며, 이 그룹에 속한 논사인 쿠마랄라타(Kumāralāta: 3세기 말경)를 거쳐 그의 제자인 슈리라타(Śrīlāta)에 의해 설일체유부에서 분리하여 기원후 4세기경에 경량부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2][3]
기원
편집전통적 견해
편집세우(世友: 1~2세기)의 저술을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한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에는 경량부라는 명칭이 등장하는데, 이 논서에 따르면 경량부는 불멸(佛滅) 후 4백년 초에 설일체유부에서 분파하였다.
至第四百年初。從說一切有部。復出一部。名經量部。亦名說轉部。自稱我以慶喜為師。
[불멸 후] 4백 년 초에 이르러서 설일체유부로부터 다시 한 부가 나왔으니 이름이 경량부(經量部) 또는 설전부(說轉部)라고도 이름하였으며 자칭 “우리는 경희(慶喜)로써 스승[師]을 삼는다”* [주해]고 하였다.
* [주해] 경희(慶喜)는 고타마 붓다의 10대제자 가운데 한 명의 이름인 아난다(Ānanda)의 한역어이다.[8] 여기서는 비유로서, 결집시 아난다가 독송한 것을 뜻한다. 즉 논장이나 율장이 아닌 경장을 뜻한다. 그리고 스승[師]은 정량(正量) 즉 지식의 바른 근거를 뜻한다.
— 《이부종륜론》. 한문본 p. 15b. & 한글본 4쪽.
述曰此師唯依經為正量。不依律及對法。凡所援據以經為證。即經部師。從所立以名經量部。亦名說轉部者。此師說有種子。唯一種子。現在相續。轉至後世。故言說轉。至下當知舊云說度部。然結集時尊者慶喜專弘經藏。今既以經為量故。以慶喜為師。從所立為部名。滿慈弘宣對法。近執弘毗奈耶。既不依於對法及律故。今唯以慶喜為師也。
술하여 말하겠다. 이 사(師)들은 오직 경(經)을 의지하여 정량(正量)으로 삼았고 율(律)과 대법(對法: 논)에는 의지하지 않았다. 대체로 도움을 받고 근거가 되는 곳으로서 경(經)을 증거로 삼았기 때문에 곧 경부사(經部師)인 것이며, [이렇게] 세운 바를 따라서 경량부(經量部) 또는 설전부(說轉部)라고 이름한 것이다. 이 사(師)에서는 말하기를, 종자(種子)가 있는데 오직 하나의 종자가 현재에서 상속하여 후세까지 전지(轉至)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설전(說轉)이라고 말한 것이다. [전하여] 아래로 이르므로, 이 때문에 옛날에는 설도부(說度部)라고도 칭했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결집시 경희(慶喜: 아난다) 존자가 경장(經藏)을 널리 전담하였는데 지금에서는 이미 경(經)을 량(量: 지식의 근거)으로 삼는 것이므로 따라서 경희(慶喜: 아난다)를 스승[師]으로 삼는[다고 말하는] 것이며, [이렇게] 세운 바를 따라 부파(部)의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 만자(滿慈: 부루나)는 대법(對法: 논)을 널리 선양하였고 근집(近執: 우파리)은 비나야(毗奈耶: 율)를 널리 선양하였다. 이미 대법에도 율에도 의지하지 않으므로 지금에서는 오직 경희(慶喜: 아난다)를 스승[師]으로 삼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 《이부종륜론술기》. 한문본 p. 577 (b17-b23).
세우의 논서에 대한 현장의 한역 《이부종륜론》과 이 논서에 대한 규기(窺基: 현장의 제자)의 주석서인 《이부종륜론술기(異部宗輪論述記)》의 이러한 내용에 근거하여 경량부가 불멸(佛滅) 후 4백년 초, 즉, 기원전 1세기에 성립되었다고 전통적으로 여겨왔다.[2]
현대의 견해
편집위의 전통적 견해와는 달리, 현대의 학자들은 기원후 1세기경에 설일체유부 내에서 정통파 그룹과는 다른 견해를 가진 그룹으로 비유자(譬喩者, Dārṣṭāntika) · 비유사(譬喻師) 또는 설전사(說轉師)라고 불린 그룹이 있었으며, 이 그룹에서 경량부가 유래한 것으로 본다. 이 그룹의 명칭을 비유자 또는 비유사라고 한 이유는 비유(譬喻)를 사용하여 논의나 설법을 전개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2][3]
즉, 카니슈카(Kanishka 迦腻色伽 가니색가: 재위 127~151)왕 때 카슈미르계 정통 설일체유부의 대표 논서인 《아비달마대비바사론》(2세기 중반에 성립[9])이 성립될 때 이 논서의 계통에 속한 이들과는 의견이 달랐던 즉 비바사사(毘婆沙師: 대표적인 인물은 세우와 협존자[9]) 그룹과는 의견이 달랐던 비유자 그룹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 비유자 그룹에 속한 대표적인 논사는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성립 시기보다 더 후대의 3세기 말경의 쿠마랄라타(Kumāralāta 또는 Kumāralabdha, 鳩摩羅馱 구마라타, 鳩摩邏多 구마라다)이다.[10][11][12] 그는 설법을 함에 있어 비유(譬喻)를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특히 비유사(譬喻師)라고 불렸다.[4] 그를 거쳐서 그의 제자인 슈리라타(Śrīlāta, 室利羅多 실리다라)에 의해, 비바사사 그룹이 정통파 그룹으로 여겨지고 있던 당시의 설일체유부에서 분리하여 기원후 4세기경에 경량부가 성립된 것으로 현대의 학자들은 보고 있다.[2] 한편, 슈리라타를 경량부의 개조로 보는 견해와는 다소 다른 견해로, 쿠마랄라타가 경량부의 개조이며 슈리라타가 중흥조인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0]
이러한 현대의 기원설과 관련하여, 카슈미르계 정통 설일체유부의 대표 논서인 《아비달마대비바사론》(2세기 중반에 성립)에서는 자파내의 이설을 가진 이로서 경량부 계통에 속한 이의 견해를 말할 때 비유자(譬喩者)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의 강요서이면서 또한 경량부 등의 교학을 참조하여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비판적으로 집대성한 논서인 세친(316?-396?)의 《아비달마구사론》(4세기 중반에 성립)에서도 경량부의 견해를 언급할 때 비유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설전부와 경량부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진제 한역, 송성수 번역 (K.976, T.2031). 《이부종륜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76(29-563), T.2031(49-17).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진제 한역 (T.2031).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대정신수대장경. T49, No. 2031,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한국사전연구사 (1998). 《종교학대사전》 "경량부(經量部, Sautrā–ntika)",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인도부파 불교 중의 일부파. 산스크리트어 Sautrāntika.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서 최후로 분파했다. 종래는 분파사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의 기술에 의해서 기원전 1세기에 성립되었다고 생각하였는데, 현재의 연구에 의하면 기원후 1세기경 유부(有部)내에 발생한 이단자 그룹 <비유자(譬喩者)>의 교의가 논사(論師) 쿠마랄라타(Kumāralāta)를 거쳐서 그의 제자 슈릴라타(Śrīlāta)에 이르러 정비되어서, 4세기경 경량부가 성립했다고 본다. 그러나 슈릴라타 이외에도 다수의 계통이 있었던 것 같다. 그들은 유부가 경(經)의 주 취지를 일탈한 논장에 너무 의존한다고 보고, 경장에 의존하여야 한다고 주장해서 <경량>부라고 자칭하였는데, 상세하게 보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 ↑ 가 나 다 "경량부(經量部)",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경량부(經量部): 경부(經部)라고도 한다. 불멸(佛滅) 후 100년경에 유부(有部:說一切有部)에서 분파하였는데, 뒤에 유부와 더불어 소승의 대표로 알려졌다. 논장(論藏) 중심주의의 유부에 반대하여 경장(經藏)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서 명칭이 생겼다. 시조는 쿠마랄라타(Kumāralāta)로 여겨지나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Abhidharmamahasastastra)》으로 유부와 대립하는 비유자(比喩者:dārāntika)가 그 근원이 되었던 것 같다. 바수반두(婆藪槃頭: Vasubandhu, 世親)의 《구사론(俱舍論)》과 하리바르만(訶梨跋摩:Harivarman)의 성실론(成實論)은 이 파의 영향하에 있다. 그러나 이 파의 교의서(敎義書)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그 학설은 《구사론》과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의 인용으로 알려져 있다." - ↑ 가 나 星雲, "譬喻部".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譬喻部: 指印度小乘十八部中之經量部。以其本師鳩摩邏多嘗造喻鬘論廣說譬喻,世稱譬喻師,其傳承之部派則稱譬喻部。" - ↑ "경량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용어사전》.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경량부 經量部: ⓣmdo sde smra ba’i sde. ⓢsauntrāntika; saṅkrāntika. 소승 20부파의 하나. 설일체유부에서 분파되었으며, 본말(本末) 2부가 있다. 근본부(根本部)에서는 식심호훈설(識心互熏說)을 제창했고, 지말부(枝末部)에서는 아뢰야식(阿賴耶識)을 주장했다.
[동]상속부(相續部), 설경부(說經部), 설도부(說度部), 설전부(說轉部), 수다라론(修多羅論), 수투로구(修妬路句), 승가란제가(僧伽蘭提迦).
[약]경부(經部)." - ↑ 운허, "世友(세우)".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世友(세우): 【범】 Vasumitra 벌소밀달라(筏蘇蜜呾羅)라 음역. 북인도 건타라국 사람. 1~2세기 경의 논사(論師). 가니색가왕이 가습미라국에서 3장(藏)을 결집할 때, 5백 불교 학자의 상좌(上座)가 됨. 그의 학식은 풍부, 세상의 존중을 받아 당시의 법구ㆍ묘음ㆍ각천과 함께 바사(婆沙) 4대론사(大論師)라 일컫다. 저서로는 『이부종륜론』 1권. ⇒화수밀다(和須密多)" - ↑ 星雲, "世友".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世友: 梵名 Vasumitra。音譯婆須蜜多、和須蜜多、筏蘇蜜呾羅、伐蘇蜜多羅。乃說一切有部之一祖,又作天友。為一、二世紀時北印度犍陀羅國人。迦膩色迦王在迦濕彌羅舉行第四次結集時,世友任五百聖賢之指導者,編集阿毘達磨大毘婆沙論,總結說一切有部理論學說,與法救、妙音、覺天等被譽為婆沙四評家或婆沙四大論師。又著有異部宗輪論一卷,敘小乘之二十部。據出三藏記集卷十二載,師為說一切有部之一祖,出生於迦多衍尼子之後、脅比丘等之前。惟日雜難經稱師已證阿羅漢果並預言當來成佛。師子月佛本生經更載,師將次於彌勒成佛,號師子如來。其他稱世友者尚有數人:如俱舍論光記卷一、大唐西域記卷二所說之品類足論與界身足論之作者世友,於俱舍論光記卷五、成業論所說之經部異師世友,及慈恩傳卷二所載玄奘西遊時,於迦濕彌羅國宣揚有部宗義之世友等。〔俱舍論光記卷二十、大唐西域記卷三、異部宗輪論述記發軔卷上〕" - ↑ 星雲
"慶喜: (一)聽聞佛法,得到喜悅,稱為慶喜。狹義為「歡喜」之對稱。即念佛者具有信心,決定此世即可住於「正定聚」之不退位,因此充滿喜悅,稱為慶喜。(參閱「歡喜」)
(二)梵名 Ānanda。音譯阿難、阿難陀。為佛陀十大弟子之一。於大般若經等處,多用慶喜之名,而少用阿難之名。(參閱「阿難」)" - ↑ 가 나 운허, "毘婆沙師(비바사사)".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毘婆沙師(비바사사):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은 가니색가 왕 때에, 5백 나한이 협(脇)과 세우(世友)의 두 사람을 상좌(上座)로 하고, 가습미라에서 결집한 것으로 그 결집에 관계한 사람들이나, 또는 이 논의 뜻을 따르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 - ↑ 가 나 星雲, "經量部".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經量部: 梵名 Sautrāntika。又作僧迦蘭提迦(梵 Sajkrāntika)、修多羅論部、說度部、說轉部、說經部(梵 Sūtra vādin)、經部。為小乘二十部派之一。係從說一切有部分出之部派,此派開創者鳩摩羅馱(梵 Kumāralabdha,又稱童受)為三世紀末之北印度呾叉始羅國人,著有喻鬘論、癡鬘論、顯了論等。四世紀之室利羅多(梵 Śrīlāta)為此派中興之祖。一切有部重視論書,而經量部卻重視經書,並將經視為正量,故稱經量部。
此部派立心物二元論,否定有部所主張之萬物實有說,認為只有四大與心為實在,並由於四大與心之相輔相成,而令個體之生死相續不斷。又主張唯有現在為實在,而過去僅屬曾經實在者,未來則是未來才得實在者,至於現在不存在者僅為一種種子之存在而已。此即後世唯識種子說之起源。又此宗派之教義,含有許多大乘佛教之要素,皆可視為後來中觀佛教之基礎。此派開祖鳩摩羅馱作喻鬘論,善用譬喻說法,故被稱為譬喻師,此後,譬喻即成為此派之最大特徵,並被視為後來大乘佛教譬喻文學(梵 aupamya)之基礎。〔十八部論、異部宗輪論〕(參閱「印度佛教」)" - ↑ 운허, "鳩摩羅多(구마라다)".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鳩摩羅多(구마라다): 【범】 Kumarālabdha 또는 구마라다(矩摩羅多)ㆍ구마라라다(拘摩羅羅多)ㆍ구마라타(鳩摩邏馱ㆍ究摩羅陀). 번역하여 동수(童受ㆍ童首ㆍ童壽)ㆍ동자(童子). 달차시라국(呾叉始羅國) 사람.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 미명동자(美名童子)라 불리었다. 출가하여 승가야사(僧伽耶舍)에게 배웠다. 처음 달차시라국에 있으면서 여러 논(論)을 짓고, 뒤에 걸반타국에 이르러 포교에 종사하였다. 일찍부터 경전을 좋아하여 깊은 뜻을 궁구, 하루에 3만 2천말을 외우고 썼다고 하여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성실론(成實論)』을 지은 하리발마(訶梨跋摩)가 그를 스승으로 섬겼다 하고, 또 그는 사야다(闍夜多)에게 법을 전했다고 한다. 그가 출세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개 3세기 말경인 듯하다. 저서는 많아서 『일출론(日出論)』ㆍ『결발론(結髮論)』ㆍ『유만론(喩鬘論)』ㆍ『치만론(癡鬘論)』ㆍ『현료론(顯了論)』 등 수십 부 혹은 5백 부라 하는데, 중국에는 전하지 않는다." - ↑ 星雲, "鳩摩邏多". 2013년 1월 14일에 확인
"鳩摩邏多: 梵名 Kumāralabdha, Kumāralāta。付法藏第十八祖(禪宗第十九祖)。又作鳩摩羅多、鳩摩羅陀、鳩摩羅馱、矩摩邏多、拘摩羅邏多、究摩羅陀。意譯作童受、童首、豪童、童子。據付法藏因緣傳卷六所載,師生於呾叉始羅國,自幼聰慧,有「美名童子」之稱。後出家學道,從僧伽耶舍受法,才學超世。初於呾叉始羅國著述諸論,後至朅盤陀國專事教化。平生浸淫佛教典籍,極其玄旨,立正法,摧邪見,高論清舉。其後付法予闍夜多。
大唐西域記亦有類似之記載、惟以之為經量部(即經部)之本師,又謂時人以「日出論師」尊稱之,而與馬鳴、龍樹、提婆並號「四日照世」。大唐西域記卷三呾叉始羅國(大五一‧八八五上):「昔經部拘摩羅邏多(唐言童受)論師,於此製述諸論。」大唐西域記卷十二朅盤陀國(大五一‧九四二上):「無憂王命世,即其宮中建窣堵波,其王於後遷居宮東北隅,以其故宮為尊者童受論師建僧伽藍。臺閣高廣,佛像威嚴。尊者,呾叉始羅國人也。幼而穎悟,早離俗塵。(中略)其所製論,凡數十部,並盛宣行,莫不翫習,即經部本師也。」
出三藏記集卷十一訶梨跋摩傳,及三論玄義所引僧叡之成實論序等,則謂師乃罽賓之小乘學者,屬薩婆多部,係成實論作者訶梨跋摩之師。其生卒年不詳,然依訶梨跋摩之年代,及四日論師出現之傳說,與付法藏因緣傳等之說,其生存年代應置於龍樹與世親之間,即約於西元第三世紀之末。但成唯識論述記卷二則以為師生於佛陀入滅後百餘年之際;而異部宗輪論謂經部於佛陀入滅四百年始行分派,師既為經部本師,亦當於此四百年中。諸說紛紜,其間之異同則有待詳研。又據以上各書所載,師所著之書頗多,或謂數十部,或謂五百論,中觀論疏卷一本謂,師嘗造日出論;成唯識論述記卷四本謂,師造有結髮論;俱舍論光記卷二謂,師有喻鬘論、癡鬘論、顯了論等著作。另據僧叡之關中出禪經序所載,坐禪三昧經之初四十三偈係師所造者。此外,近年來學者將新疆所得大莊嚴經論之梵文斷片加以研究,而有主張此論係出自師之手者;蓋大莊嚴經論素被視為馬鳴之著作,故此一研究頗受學界之注意。〔俱舍論卷二、阿毘達磨順正理論卷三十八、景德傳燈錄卷二、翻譯名義集卷二、小乘佛教概論、H. Lyders: Bruchstycke des Kalpanāmanditikā des Kumāralā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