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봉기
광주기의(廣州起義) 또는 광주폭동(廣州暴動)은 1927년 12월 11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서 소비에트 건립을 의도해 발생한 폭동으로 중국공산당의 장태뢰(張太雷), 엽검영(葉劍英) 등이 현장을 지도하였고, 한국인 공산주의자 최용건 등이 가담하였다.[1]
광주폭동(廣州暴動)[2][3][4][5], 광저우폭동, 광주봉기, 광저우코뮌폭동, 광저우 봉기, 광저우사태(廣州事態)로도 부른다.
사건 내역
편집1927년 중국 대혁명 직후 혁명군이 마지막으로 철수하던 날 밤에 발생하였다.[6][7] 코민테른의 중국 공산화 사업이 계속되는 실패를 겪는 과정에서 스탈린의 정책은 소련의 당내 경쟁자 트로츠키로부터 견제를 받고 있었다. 이에 스탈린은 중국 공산당에 일련의 무장 폭동을 지속적으로 벌여 중국내 성(省) 한 곳이라도 탈취하여 소비에트국가를 건립해야한다고 중공에 지시하였고 자신의 대중국 정책의 정확성을 입증하려고 하였다. 앞서 8월, 9월에는 호남 성, 강서 성, 호북 성 등지에서의 중국 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이 모두 실패로 귀결되어 스탈린의 입지가 약화하였다. 중국 공산당 총서기 취추바이가 코민테른과 협력하에 이 폭동을 추진하였으며, 현장 지휘는 중공의 장태뢰(張太雷), 엽검영(葉劍英), 황평(黃平)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조선인 공산주의들이 200명 정도 참가하였다.[1] 이들을 지휘하던 최용건 등은 황포군관학교 출신의 요원이었다.[6] 그러나 폭동은 다시 실패로 돌아가고 많은 공산주의자가 죽었을 때 최용건 등 살아남은 조선 공산주의자들은 만주로 파견되었다.[1] 화요파로 파견된 한인 최용건 등은 길림성과 흑룡강성 등에 소학교, 농민학교 등을 세우며 노농 교육 활동에 종사한다.[1] 당시 지휘관 최용건과 생존자들은 한 차례 합의를 거쳐 광저우의 그 진지에 봉기를 기념하는 비석을 세우기로 결정하고, 광저우열사능원리에 기념관을 건립했다.[6][7]
같이 보기
편집참고 자료
편집- 《뜨거운 리더》(리핑, 김세영, TRC(티알씨), 2006)
- 《모택동 자전》(에드가 스노우, 신복룡, 평민사, 2001)
- 《세상을 뒤바꾼 책사들의 이야기 중국편 합본호》(이수광, 일송북, 2008)
- 김정계,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52페이지
- 역사문제연구소, 《인물로 보는 항일무장투쟁사》 (역사비평사, 1995) 65페이지
- 김정계,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51페이지
- 김정계, 《중국의 권력투쟁사 1949-1978》 (평민사, 2002) 5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