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의 위성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목성의 안쪽 위성에서 넘어옴)

목성의 위성(木星- 衛星, 영어: Moons of Jupiter)은 2023년 3월 기준 총 95개로, 목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로 많은 위성을 지닌 행성이다.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기도 한다.[1][2] 위성들 중 가장 큰 위성들은 4개의 갈릴레이 위성들로,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시몬 마리우스가 발견하였으며 태양이나 지구를 돌지 않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들이다. 19세기 말부터, 더 작은 크기의 위성들이 발견되기 시작했고 그리스 신화제우스와 관련된 이름들이 붙여졌다. 갈릴레이 위성들은 목성의 위성들의 총 질량 중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75개와 고리를 합친다고 해도 질량비는 고작 0.003%밖에 되지 않는다.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들 중 8개는 순행 규칙 위성으로, 궤도 경사가 크지 않고 거의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다. 갈릴레이 위성들은 자체적인 중력으로 인해 구형을 띄고 있고(정역학적 평형), 따라서 만약 태양 궤도에 있었다면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갈릴레이 위성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순행 규칙 위성들은 크기가 더 작고, 목성과 거리가 더 가까우며, 목성의 고리를 형성한다고 추정된다. 나머지 위성들 전부는 불규칙 위성으로, 순행 또는 역행 운동을 하며, 목성과의 거리가 더 멀고 궤도 경사이심률이 크다. 이 위성들은 태양 궤도를 돌고 있었으나 목성의 중력에 의해 포획되었다고도 추측되고 있다. 2003년 이후 18개의 불규칙 위성들이 발견되었고, 아직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다.

성질

편집

위성들의 물리적 성질 및 궤도 성질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갈릴레이 위성 모두는 지름이 3,100km가 넘고, 가장 큰 위성 가니메데수성보다 크다. 반면 이 이외의 목성의 위성들은 전부 지름 250 km 이하로, 대부분은 간신히 5 km를 넘는다. 위성들의 궤도 모양은 거의 완벽한 원 궤도에서 심하게 기울어지고 찌그러진 것까지 매우 다양하며, 많은 수의 위성들이 목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궤도를 돌고 있다(역행 운동). 공전 주기는 최소 7시간(목성의 자전 주기보다 빠름)부터 최대 3,000시간(3년) 이상이다.

형성과 진화

편집
 
목성의 위성들 간의 상대적인 질량. 유로파보다 작은 위성들은 이 정도의 규모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전부 합친다고 해도 100배가량 확대해야 보인다.

목성의 규칙 위성들은 원시 행성계 원반과 유사한, 목성 주위를 둘러싼 먼지와 가스의 원반에서 형성되었다고 거의 확실시되고 있으며,[3][4] 이 위성들은 행성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졌던 대형 위성들의 잔해일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3][5]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결과에서는, 어느 특정한 지점에서 원반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컸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반에 이끌리는 물질의 양이 매우 크게(몇십 퍼센트가량) 증가하게 되는데, 현재 목성의 위성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오직 2% 정도의 질량만이 필요하다.[3] 따라서, 목성 형성 당시에는 크기가 갈릴레이 위성 정도인 위성들이 여러 차례를 거쳐 형성되었으리라 추정된다. 각 세대의 위성들은 원반과의 마찰로 인해 목성 방향으로 낙하하며, 이 와중에 외곽에서는 새로운 위성이 형성된다.[3] 현재(5번째) 위성이 형성될 무렵, 원반의 밀도는 매우 낮아져 위성들의 궤도에 영향을 줄 수 없게 되었다.[5] 하지만 현재의 갈릴레이 위성들은 여전히 영향을 받았었고, 궤도 공명을 통해 불완전하게나마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는 현재까지 존재하며, 가니메데의 질량이 이오나 유로파보다 큰 점으로 보아 가니메데가 유로파나 이오보다 목성 쪽으로 더 빠르게 이동하였음을 시사한다.[3]

바깥쪽의 불규칙 위성들은 원반이 아직 바깥쪽의 위성들에 영향을 주어 붙잡을 수 있을 즈음 소행성이 포획된 것이라고 여겨지며, 대부분은 포획 과정에서 힘을 받아 부서지거나 다른 소행성들과 충돌하여 현재의 위성들이 만들어졌다고 추측되고 있다.[6]

발견

편집
 
25 cm 미드 LX200 망원경을 통해 본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
 
갈릴레이 위성. 목성에서 가까운 순으로 왼쪽부터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이다.

중국의 옛 천문학자 감덕이 기원전 364년 목성의 위성을 관측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는 하지만,[7] 관측했음이 확실한 최초 기록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관측이다.[8] 1610년 1월, 갈릴레이는 손수 제작한 30배율 망원경으로 네 개의 위성을 관측하였고, 같은 해 3월 이 결과를 출판하였다.[9] 시몬 마리우스는 갈릴레이의 발견 하루 후에 갈릴레이와는 독립적으로 이 위성들을 발견하였지만, 마리우스는 이 결과를 1614년까지 발표하지 않았다. 현재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라는 이름은 시몬 마리우스가 처음 제안한 이름들이다.[10] 1892년 바너드가 아말테아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추가적인 위성이 발견되지 않았다.[11] 20세기에는 사진술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위성 발견이 줄을 이었고, 1979년 보이저 탐사선이 목성에 도달하기 전까지 13개의 위성이 발견되어 있었다.[12][13]

20년 동안 새로운 위성들이 발견되지 않고 있었지만, 1999년 8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과학자들은 민감한 장비를 사용하여 34개의 위성을 발견하고, 추후 이름을 붙였다.[14] 이 위성들은 평균 지름 3 km 이내로, 역행 위성이며 궤도 이심률이 높아 궤도가 매우 찌그러진 위성들이다. 이 위성들 모두는 소행성이나 혜성 등이 포획되어 여러 조각으로 갈라진 것이라고 여겨지지만,[15] 이 위성들에 대해 알려진 정보는 매우 적다. 2003년 이후, 18개의 위성이 추가로 발견되었지만 아직 이름붙여지지는 않았다.[16] 이 위성들을 합산하면, 목성의 위성 수는 69개가 된다.[1] 2022년 기준으로, 목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로 위성이 많다.

명칭

편집

갈릴레이 위성(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명칭은 시몬 마리우스가 1610년 자신의 발견 직후에 붙인 이름이다.[17] 하지만 이 이름들은 20세기까지 사용되지 않고, 대신 단순히 "목성 I"(Jupiter I), "목성 II", … 또는 "목성의 첫 번째 위성", "목성의 두 번째 위성", … 등으로 불렀다.[17] 다른 위성들이 V (5) ~ XII (12)라는 이름을 부여받고 있을 즈음인 20세기에는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라는 이름이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18] 1892년에 발견된 "목성 V"는 비공식적으로 아말테아라고 불렸고, 이 이름은 프랑스 천문학자 카미유 플라마리옹이 처음 사용하였다.[19]

1970년대까지 대부분의 천문학 문헌에서는 다른 위성들까지 로마 숫자를 붙여서 표기하였다.[20] 1975년, 국제 천문 연맹(IAU)의 외태양계 위성 명명법 관련 모임에서는 V ~ XIII 위성에 이름을 붙였고,[21] 추후 발견되는 위성들의 이름 규칙 또한 결정하였다.[21] 규칙의 내용은, 추후 발견되는 목성(주피터)의 위성들은 제우스(주피터)가 연정을 품거나 아꼈던 인물들로 결정한다는 것이다.[22] 또한, XXXIV(에우포리에)부터 모든 위성들의 이름은 제우스의 딸의 이름을 따 명명된다.[22]

몇몇 소행성들, 9 메티스, 38 레다, 52 유로파, 113 아말테아, 239 아드라스테아는 목성의 위성들과 이름이 같으며, 두 개의 소행성, 1036 가니메드(Ganymed)와 204 칼리스토(Kallisto)는 국제천문연맹이 철자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각각 가니메데(Ganymede), 칼리스토(Callisto)와 이름이 동일했다.

위성군

편집
 
불규칙 위성들의 궤도와, 서로 위성군으로 묶인 모습을 보여준다. 원은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다.

규칙 위성

편집

모두 순행 운동을 하고 궤도가 원에 가까우며, 두 군으로 나뉜다.

  • 내부 위성 또는 아말테아군: 메티스, 아드라스테아, 아말테아, 테베가 해당한다. 궤도는 목성에 매우 가까우며, 가장 안쪽의 두 위성은 공전 주기가 목성의 자전 주기보다 짧다. 나머지 둘은 각각 목성계에서 다섯 번째, 일곱 번째로 큰 위성이다. 관측 결과에 의하면, 가장 큰 위성인 아드라스테아는 현재의 궤도에서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행성으로부터 더 먼 곳에서 형성되었거나 목성에 포획되었다고 추정된다.[23] 이 위성들은 목성의 고리를 유지시켜 주며,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주 고리를, 아말테아와 테베는 각자의 옅은 고리를 유지시킨다.[24][25]
  • 주요 위성 또는 갈릴레이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가 해당하며, 이 위성들은 알려진 왜행성들보다도 질량이 크다. 심지어 가니메데의 지름은 수성보다 크며, 네 위성은 각각 태양계에서 4번째, 6번째, 1번째, 3번째로 큰 위성이다. 갈릴레이 위성은 목성 주위의 위성들의 질량 합 중 99.997%를 차지한다. 안쪽의 세 위성은 1:2:4 궤도 공명을 일으킨다. 이론들에 따르면, 이 위성들은 약 10만 년 간 존재하던 저밀도 "목성 가스 성운"에서 강착을 통해 형성되었다.[26] 이오를 제외한 나머지 세 위성은 지하에 로 이루어진 바다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불규칙 위성

편집
 
바깥쪽 위성들의 심하게 뒤틀려진 궤도들.

불규칙 위성들은 크기가 더 작고, 궤도 이심률이 크다. 이 위성들은 궤도 성질(장반경, 경사각, 이심률)이 비슷하고 물리적 성질 또한 거의 같아, 목성의 중력에 잡힌 작은 소행성이 쪼개져 생긴 위성들이라고 여겨진다. 이 위성군들의 이름은 위성군에서 가장 크기가 큰 위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7][28][29]

  • 테미스토[28]는 불규칙 위성 중 가장 안쪽에 있으며 위성군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27]
  • 카르포는 순행 불규칙 위성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하며 위성군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27]
 
역행 위성들을 나타낸 그림으로, 가로축은 이심률, 세로축은 경사를 나타낸다. 카르메군(주황색)과 아난케군(노란색)이 표시되어 있다.
  • S/2003 J 12S/2011 J 1은 역행 위성 중 가장 안쪽에 있으며 위성군에 소속되어 있지 않다.
  • 아난케군은 카르메군보다 더 퍼져 있으며, 장반경 2.4 기가미터, 궤도 경사 8.1°(150.25 ± 4.55°), 궤도 이심률 0.02 ~ 0.28 정도로 퍼져 있다. 위성 대부분의 색은 회색이며, 포획된 소행성이 분열하여 생성된 것으로 추측된다.[15]
  • 파시파에군은 상당히 덜 퍼져 있으며, 장반경 1.3 기가미터, 궤도 경사 144.5°~ 158.3°, 궤도 이심률 0.25 ~ 0.43 정도로 퍼져 있다.[15] 표면의 색 또한 빨간색부터 회색까지 매우 다양하며, 여러 번의 충돌을 통해 생성되었다고 여겨진다. 시노페는 표면이 다른 위성들과 다르게 빨갛고, 궤도 경사각이 다른 점을 들어 파시파에군과 서로 독립적으로 포획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5][28][30]
  • S/2003 J 2는 목성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어느 위성군에도 속하지 않는다.

탐사

편집

첫 번째로 목성을 방문했던 탐사선은 1973년 파이어니어 10호11호로, 갈릴레이 위성들을 저해상도로 촬영하였다. 이후 1979년에는 보이저 1호2호이오에서 화산을, 유로파의 표면에서 얼음을 발견하였다. 카시니-하위헌스 토성 탐사선은 2000년 목성 스윙바이 도중 갈릴레이 위성과 목성의 상부 대기권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또한 2007년에 역시 목성을 스윙바이한 명왕성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는 위성들의 궤도 정보를 더 상세히 측정하였다.

갈릴레오 탐사선은 목성 주위의 궤도로 진입한 최초의 탐사선으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탐사를 진행하였다. 탐사 기간 동안 갈릴레오는 갈릴레이 위성들을 상세히 관찰하여 세 위성에 옅은 대기권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표면 아래에 지하 바다가 있을 가능성 또한 제기하는 등 목성계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었다.

2016년, 주노 탐사선은 위성들을 궤도면 위 방향에서 바라보며 위성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연속 사진을 촬영하였다.[31]

위성 목록

편집
범례

갈릴레이 위성

순행 불규칙 위성

역행 불규칙 위성

목성의 위성을 공전 주기순으로 배열하였으며, 정역학적 평형을 이룬 위성은 굵은 글씨로 나타냈다. 과 크기가 비슷한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 4개가 있고, 다른 위성들은 이에 비해 매우 작다. 갈릴레이 위성 중 가장 가벼운 위성인 유로파조차 다른 소위성을 모두 합한 것보다 질량이 7,000배 크다. 불규칙 위성순행 위성일 경우 옅은 회색으로, 역행 위성일 경우 짙은 회색으로 나타내었다. 모든 궤도는 2017년 9월 3일 (JD 2457000) 기준이다. 2018년 기준으로 잃어버린 상태로 간주되는 위성은 S/2003 J 2, S/2003 J 4, S/2003 J 9, S/2003 J 10, S/2003 J 12, S/2003 J 16, S/2003 J 23이다.

순서 번호
[참조 1]
이름 원문 사진 절대등급 지름 (km)[참조 2] 질량 (×10^16 kg) 긴반지름 (km)[32] 공전 주기 ()[32][참조 3] 기울기 (°)[32] 이심률[27] 발견 연도[14] 발견자[14] 위성군
1 XVI 메티스 Metis
 
10.5 60 × 40 × 34
(43)
≈ 3.6 128852 +7h 10m 16s 2.226 0.0077 1979 시넛
(보이저 1호)
내부 위성
2 XV 아드라스테아 Adrastea
 
12 20 × 16 × 14
(16.4)
≈ 0.2 129000 +7h 15m 21s 2.217 0.0063 1979 제위트
(보이저 2호)
내부 위성
3 V 아말테아 Amalthea
 
7.1 250 × 146 × 128
(167±4.0)
208 181366 +12h 01m 46s 2.565 0.0075 1892 바너드 내부 위성
4 XIV 테베 Thebe
 
9.0 116 × 98 × 84
(98.6)
≈ 43 222452 +16h 16m 02s 2.909 0.0180 1979 시넛
(보이저 1호)
내부 위성
5 I 이오 Io
 
−1.7 3660.0
× 3637.4
× 3630.6
(3643.2)
8931900 421700 +1.7691 0.050[33] 0.0041 1610 갈릴레이 갈릴레이
6 II 유로파 Europa
 
−1.4 3121.6 4800000 671034 +3.5512 0.471[33] 0.0094 1610 갈릴레이 갈릴레이
7 III 가니메데 Ganymede
 
−2.1 5268.2 14819000 1070412 +7.1546 0.204[33] 0.0011 1610 갈릴레이 갈릴레이
8 IV 칼리스토 Callisto
 
−1.2 4820.6 10759000 1882709 +16.689 0.205[33] 0.0074 1610 갈릴레이 갈릴레이
9 XVIII 테미스토 Themisto   13.5 8 0.069 7393216 +129.87 45.762 0.2115 1975/2000 코왈 & 뢰머/
셰파드
테미스토
10 XIII 레다 Leda 12.8 20 0.6 11187781 +240.82 27.562 0.1673 1974 코왈 히말리아
11 VI 히말리아 Himalia
 
8.3 139.6 670 11451971 +250.23 30.486 0.1513 1904 페린 히말리아
12 LXXI 에르사 Ersa 15.9 3 0.0015 11453004 +250.40 30.606 0.0944 2018 셰파드 히말리아
13 LXV 판디아 Pandia 16.2 3 0.0015 11494801 +251.77 28.155 0.1800 2017 셰파드 히말리아
14 X 리시테아 Lysithea   11.3 36 6.3 11740560 +259.89 27.006 0.1322 1938 니컬슨 히말리아
15 VII 엘라라 Elara
 
9.9 86 87 11778034 +259.64 29.691 0.1948 1905 페린 히말리아
16 LIII 디아 Dia 16.3 4 0.0090 12570424 +287.93 27.584 0.2058 2001 셰파드 히말리아
17 XLVI 카르포 Carpo 16.2 3 0.0045 17144873 +458.62 56.001 0.2735 2003 셰파드 카르포
18 (실종) S/2003 J 12 17.0 1 0.00015 17739539
(28717431±1136944)[34]
−482.69
(-944.29)[34]
142.680
(152.5±1.3)[34]
0.4449
(0.115±0.011)[34]
2003 셰파드 아난케 (미확인)
19 LXII 발레투도 Valetudo 16.9 1 18928095 +532.00 34.014 0.2219 2016 셰파드 발레투도
20 XXXIV 에우포리에 Euporie 16.4 2 0.0015 19088434 −538.78 144.694 0.0960 2002 셰파드 아난케
21 LX 에우페메 Eupheme 16.9 2 0.0015 19621780 −561.52 146.363 0.2507 2003 셰파드 아난케
22 LV S/2003 J 18 16.5 2 0.0015 20219648 −587.38 146.376 0.1048 2003 글래드먼 아난케
23 LII S/2010 J 2 17.5 1 20307150 −588.36 150.4 0.307 2010 베일렛 아난케
24 XLII 텔크시노에 Thelxinoe 16.4 2 0.0015 20453753 −597.61 151.292 0.2684 2003 셰파드 아난케
25 XXXIII 유안테 Euanthe 16.5 3 0.0045 20464854 −598.09 143.409 0.2000 2002 셰파드 아난케
26 XLV 헬리케 Helike 16.1 4 0.0090 20540266 −601.40 154.586 0.1374 2003 셰파드 아난케
27 XXXV 오르토시에 Orthosie 16.7 2 0.0015 20567971 −602.62 142.366 0.2433 2002 셰파드 아난케
28 LXVIII S/2017 J 7 16.6 2 0.0015 20571458 −602.77 143.438 0.2147 2017 셰파드 아난케
29 LIV S/2016 J 1 17.0 3 0.0015 20595483 −603.83 139.839 0.1377 2016 셰파드 아난케
30 LXIV S/2017 J 3 16.5 2 0.0015 20639315 −605.76 147.915 0.1477 2017 셰파드 아난케
31 XXIV 이오카스테 Iocaste 15.5 5.2 0.019 20722566 −609.43 147.248 0.2874 2001 셰파드 아난케
32 (실종) S/2003 J 16 16.4 2 0.0015 20743779 −610.36 150.769 0.3184 2003 글래드먼 아난케
33 XXVII 프락시디케 Praxidike 14.9 7 0.043 20823948 −613.90 144.205 0.1840 2001 셰파드 아난케
34 XXII 하르팔리케 Harpalyke 15.9 4.4 0.012 21063814 −624.54 147.223 0.2440 2001 셰파드 아난케
35 XL 므네메 Mneme 16.4 2 0.0015 21129786 −627.48 149.732 0.3169 2003 글래드먼 아난케
36 XXX 헤르미페 Hermippe   15.6 4 0.0090 21182086 −629.81 151.242 0.2290 2002 셰파드 아난케
37 XXIX 티오네 Thyone 15.9 4 0.0090 21405570 −639.80 147.276 0.2525 2002 셰파드 아난케
38 LXX S/2017 J 9 16.1 2 0.0015 21429955 −640.90 152.661 0.2288 2017 셰파드 아난케
39 XII 아난케 Ananke   12.0 28 3.0 21454952 −640.38 151.564 0.3445 1951 니컬슨 아난케
40 L 헤르세 Herse 16.6 2 0.0015 22134306 −672.75 162.490 0.2379 2003 글래드먼 카르메
41 XXXI 아이트네 Aitne 16.0 3 0.0045 22285161 −679.64 165.562 0.3927 2002 셰파드 카르메
42 LXVII S/2017 J 6 16.4 2 0.0015 22394682 −684.66 155.185 0.5569 2017 셰파드 파시파에 (비주류)
43 LXXII S/2011 J 1 16.7 1 22401817 −694.98 163.341 0.2328 2011 셰파드 카르메
44 XXXVII 칼레 Kale 16.4 2 0.0015 22409207 −685.32 165.378 0.2011 2002 셰파드 카르메
45 XX 타이게테 Taygete 15.6 5 0.016 22438648 −686.67 164.890 0.3678 2001 셰파드 카르메
46 LXI S/2003 J 19 16.8 2 0.0015 22696750 −698.55 166.657 0.2572 2003 글래드먼 카르메
47 XXI 칼데네 Chaldene 16.0 3.8 0.0075 22713444 −699.33 167.070 0.2916 2001 셰파드 카르메
48 LVIII 필로프로시네 Philophrosyne 16.7 2 0.0015 22720999 −699.68 141.812 0.0932 2003 셰파드 파시파에
49 (실종) S/2003 J 10 16.8 2 0.0015 22730813
(22462575±670198)[35]
−700.13
(-687.83)[35]
163.813
(162.38±0.90[35]
0.3438
(0.095±0.014)[35]
2003 셰파드 카르메
50 (실종) S/2003 J 23   16.8 2 0.0015 22739654 −700.54 148.849 0.3930 2004 셰파드 파시파에
51 XXV 에리노메 Erinome 16.1 3.2 0.0045 22986266 −711.96 163.737 0.2552 2001 셰파드 카르메
52 XLI 아오에데 Aoede 15.6 4 0.0090 23044175 −714.66 160.482 0.4311 2003 셰파드 파시파에
53 XLIV 칼리코레 Kallichore 16.3 2 0.0015 23111823 −717.81 164.605 0.2041 2003 셰파드 카르메
54 LXVI S/2017 J 5 16.5 2 0.0015 23169389 −720.49 164.331 0.2842 2017 셰파드 카르메
55 LXIX S/2017 J 8 17.0 1 0.0015 23174446 −720.73 164.782 0.3118 2017 셰파드 카르메
56 XXIII 칼리케 Kalyke 15.5 5.2 0.019 23180773 −721.02 165.505 0.2139 2001 셰파드 카르메
57 XI 카르메 Carme   11.0 46 13 23197992 −702.28 165.047 0.2342 1938 니컬슨 카르메
58 XVII 칼리로에 Callirrhoe
 
14.1 8.6 0.087 23214986 −727.11 139.849 0.2582 2000 Spacewatch 파시파에
59 XXXII 유리도메 Eurydome 16.3 3 0.0045 23230858 −723.36 149.324 0.3769 2002 셰파드 파시파에
60 LXIII S/2017 J 2 16.9 2 0.0015 23240957 −723.83 166.398 0.2360 2017 셰파드 카르메
61 XXXVIII 파시티 Pasithee 16.8 2 0.0015 23307318 −726.93 165.759 0.3288 2002 셰파드 카르메
62 LI S/2010 J 1 16.5 2 23314335 −724.34 163.2 0.320 2010 제이콥슨 등 카르메
63 XLIX 코레 Kore 16.6 2 0.0015 23345093 −723.72 137.371 0.1951 2003 셰파드 파시파에
64 XLVIII 킬레네 Cyllene 16.3 2 0.0015 23396269 −731.10 140.148 0.4115 2003 셰파드 파시파에
65 LVI S/2011 J 2 16.9 1 23400981 −731.32 148.77 0.3321 2011 셰파드 파시파에
66 XLVII 유켈라데 Eukelade 16.0 4 0.0090 23483694 −735.20 163.996 0.2828 2003 셰파드 카르메
67 LIX S/2017 J 1 16.8 2 0.0015 23483978 −734.15 149.197 0.3969 2017 셰파드 파시파에
68 (실종) S/2003 J 4 16.7 2 0.0015 23570790
(22766748±1780215)[36]
−739.29
(-701.85)[36]
147.175
(143.2±1.3)[36]
0.3003
(0.1111±0.0077)[36]
2003 셰파드 파시파에
69 VIII 파시파에 Pasiphae   10.4 60 30 23609042 −739.80 141.803 0.3743 1908 멜로테 파시파에
70 XXXIX 헤게모네 Hegemone 16.0 3 0.0045 23702511 −745.50 152.506 0.4077 2003 셰파드 파시파에
71 XLIII 아르케 Arche   16.3 3 0.0045 23717051 −746.19 164.587 0.1492 2002 셰파드 카르메
72 XXVI 이소노에 Isonoe 16.0 3.8 0.0075 23800647 −750.13 165.127 0.1775 2001 셰파드 카르메
73 (실종) S/2003 J 9 17.0 1 0.00015 23857808 −752.84 164.980 0.2761 2003 셰파드 카르메
74 LVII 에이레네 Eirene 15.9 4 0.0090 23973926 −758.34 165.549 0.3070 2003 셰파드 카르메
75 IX 시노페 Sinope   11.4 38 7.5 24057865 −739.33 153.778 0.2750 1914 니컬슨 파시파에
76 XXXVI 스폰데 Sponde 16.7 2 0.0015 24252627 −771.60 154.372 0.4431 2002 셰파드 파시파에
77 XXVIII 아우토노에 Autonoe 15.6 4 0.0090 24264445 −772.17 151.058 0.3690 2002 셰파드 파시파에
78 XIX 메가클리테 Megaclite 15.0 5.4 0.021 24687239 −792.44 150.398 0.3077 2001 셰파드 파시파에
79 (실종) S/2003 J 2 16.6 2 0.0015 28570410
(27734694±10756087)[37]
-981.55
(-943.69)[37]
153.521
(151.3±2.5)[37]
0.4074
(0.1197±0.0024)[37]
2003 셰파드 파시파에 (미확인)
주석
  1. 이름이 붙여진 순서에 따라 로마 숫자를 매긴다.
  2. "60×40×34" 와 같이 여러 개의 숫자로 나타낸 지름은 완벽한 타원체가 아님을 반영하며 각 수치는 측정된 값이다.
  3. 주기가 음수인 것들은 역행이며, h, m, s로 표기된 것들은 주기가 1일보다 작아 시, 분 초로 표기된 것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heppard, Scott S. (2015년 3월). “The Jupiter Satellite and Moon page”. 《Carnegie Institution,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2017년 5월 28일에 확인함. 
  2. “Solar System Bodies”. JPL/NASA. 2008년 9월 9일에 확인함. 
  3. Canup, Robert M.; Ward, William R. (2009). 〈Origin of Europa and the Galilean Satellites〉. 《Europa》. University of Arizona Press (in press). Bibcode:2008arXiv0812.4995C. 
  4. Alibert, Y.; Mousis, O.; Benz, W. (2005). “Modeling the Jovian subnebula I. Thermodynamic conditions and migration of proto-satellites”. 《Astronomy & Astrophysics》 439 (3): 1205–13. arXiv:astro-ph/0505367. Bibcode:2005A&A...439.1205A. doi:10.1051/0004-6361:20052841. 
  5. Chown, Marcus (2009년 3월 7일). “Cannibalistic Jupiter ate its early moons”. New Scientist. 2009년 3월 18일에 확인함. 
  6. Jewitt, David; Haghighipour, Nader (2007). “Irregular Satellites of the Planets: Products of Capture in the Early Solar System” (PDF).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 (1): 261–95. arXiv:astro-ph/0703059. Bibcode:2007ARA&A..45..261J. doi:10.1146/annurev.astro.44.051905.092459. 2007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2일에 확인함. 
  7. Xi, Zezong Z. (1981). “The Discovery of Jupiter's Satellite Made by Gan De 2000 years Before Galileo”. 《Acta Astrophysica Sinica》 1 (2): 87. 
  8. Galilei, Galileo (1989). Albert Van Helden, 편집. 《Sidereus Nuncius》. Chicago &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16쪽. ISBN 0-226-27903-0. 
  9. Van Helden, Albert (1974년 3월). “The Telesc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 《I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65 (1): 38–58. doi:10.1086/351216. 
  10. Pasachoff, Jay M. (2015). “Simon Marius's Mundus Iovialis: 400th Anniversary in Galileo's Shadow”.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46 (2): 218–234. Bibcode:2015AAS...22521505P. doi:10.1177/0021828615585493. 
  11. Barnard, E. E. (1892). “Discovery and Observation of a Fifth Satellite to Jupiter”. 《The Astronomical Journal》 12: 81–85. Bibcode:1892AJ.....12...81B. doi:10.1086/101715. 
  12. Marsden, Brian G. (1975년 8월 3일). “Probable New Satellite of Jupiter” (discovery telegram sent to the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Circulars》 (Cambridge, US: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2845.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13. Synnott, S.P. (1980). “1979J2: The Discovery of a Previously Unknown Jovian Satellite”. 《Science》 210 (4471): 786–788. Bibcode:1980Sci...210..786S. doi:10.1126/science.210.4471.786. PMID 17739548. 
  14.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Working Group for 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WGPSN)》. U.S. Geological Survey. 2008년 11월 7일.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15. Sheppard, Scott S.; Jewitt, David C. (2003년 5월 5일). “An abundant population of small irregular satellites around Jupiter”. 《Nature》 423 (6937): 261–263. Bibcode:2003Natur.423..261S. doi:10.1038/nature01584. PMID 12748634. 
  16. Sheppard, Scott S. “Jupiter's Known Satellites”. Departa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at Carniege Institution for science. 2008년 8월 28일에 확인함. 
  17. Marazzini, C. (2005). “The names of the satellites of Jupiter: from Galileo to Simon Marius”. 《Lettere Italiane》 (이탈리아어) 57 (3): 391–407. 
  18. Nicholson, Seth Barnes (1939년 4월). “The Satellites of Jupiter”.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51 (300): 85–94. Bibcode:1939PASP...51...85N. doi:10.1086/125010. 
  19.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Working Group for 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WGPSN)》. U.S. Geological Survey. 2008년 11월 7일.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20. Payne-Gaposchkin, Cecilia; Haramundanis, Katherine (1970). 《Introduction to Astronom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SBN 0-13-478107-4. 
  21. Marsden, Brian G. (1975년 10월 3일). “Satellites of Jupiter”.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Circulars》 2846.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22. “Planet and Satellite Names and Discoverer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3. Anderson, J.D.; Johnson, T.V.; Shubert, G. (2005). “Amalthea's Density Is Less Than That of Water”. 《Science》 308 (5726): 1291–1293. Bibcode:2005Sci...308.1291A. doi:10.1126/science.1110422. PMID 15919987. 
  24. Burns, J.A.; Simonelli, D. P.; Showalter, M.R. (2004). 〈Jupiter's Ring-Moon System〉. Bagenal, F.; Dowling, T.E.; McKinnon, W.B. 《Jupiter: The Planet, Satellites and Magnetosphe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Burns, J. A.; Showalter, M. R.; Hamilton, D. P. (1999). “The Formation of Jupiter's Faint Rings”. 《Science》 284 (5417): 1146–1150. Bibcode:1999Sci...284.1146B. doi:10.1126/science.284.5417.1146. PMID 10325220. 
  26. Canup, Robin M.; Ward, William R. (2002). “Formation of the Galilean Satellites: Conditions of Accretion” (PDF). 《The Astronomical Journal》 124 (6): 3404–3423. Bibcode:2002AJ....124.3404C. doi:10.1086/344684. 
  27. Sheppard, Scott S. “Jupiter's Known Satellites”. Departa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at Carniege Institution for science. 2008년 8월 28일에 확인함. 
  28. Grav, T.; Holman, M.; Gladman, B.; Aksnes, K. (2003). “Photometric survey of the irregular satellites”. 《Icarus》 166 (1): 33–45. arXiv:astro-ph/0301016. Bibcode:2003Icar..166...33G. doi:10.1016/j.icarus.2003.07.005. 
  29. Sheppard, Scott S.; Jewitt, David C.; Porco, Carolyn (2004). 〈Jupiter's outer satellites and Trojans〉. Fran Bagenal; Timothy E. Dowling; William B. McKinnon. 《Jupiter. The planet, satellites and magnetosphere》 (PDF). 《Cambridge planetary science》 1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3–280쪽. ISBN 0-521-81808-7. 2011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2일에 확인함. 
  30. Nesvorný, David; Beaugé, Cristian; Dones, Luke (2004). “Collisional Origin of Families of Irregular Satellites” (PDF). 《The Astronomical Journal》 127 (3): 1768–1783. Bibcode:2004AJ....127.1768N. doi:10.1086/382099. 
  31. “Juno Approach Movie of Jupiter and the Galilean Moons”. NASA. 2016년 7월. 
  32. “Natural Satellites Ephemeris Service”. IAU: Minor Planet Center. 2011년 1월 8일에 확인함. 
  33. Siedelmann P.K.; Abalakin V.K.; Bursa, M.; Davies, M.E.; 외. (2000). The Planets and Satellites 2000 (보고서). IAU/IAG Working Group on Cartographic Coordinates and Rotational Elements of the Planets and Satellites. 2011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31일에 확인함. 
  34. Gray, Bill. “Pseudo-MPEC for S/2003 J 12”. 《projectpluto.com》. 2018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35. Gray, Bill. “Pseudo-MPEC for S/2003 J 10”. 《projectpluto.com》. 2018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36. Gray, Bill. “Pseudo-MPEC for S/2003 J 4”. 《projectpluto.com》. 2018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37. Bill, Gray. “Pseudo-MPEC for S/2003 J 2”. 《projectpluto.com》. 2018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NODES
INTERN 3
Projec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