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페카
알페카 또는 북쪽왕관자리 알파(α Coronae Borealis, α CrB)[7]는 북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75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중성이다.
알페카 A / B | ||
알페카는 'α'이다. | ||
명칭 | ||
---|---|---|
다른 이름 | 알페카, 겜마, 그노시아, 아시타로스, '보석별', Gnosia Stella Coronae, 북쪽왕관자리 5, BD +27°2512, GCTP 3519.00, FK5 578, HD 139006, HIP 76267, HR 5793, SAO 83893.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북쪽왕관자리 | |
적경(α) | 15h 34m 41.268s[1] | |
적위(δ) | +26° 42′ 52.89″[1] | |
겉보기등급(m) | 2.23[2] (2.21 - 2.32)[3] | |
절대등급(M) | +0.16 / +5.05[4] | |
위치천문학 | ||
연주시차 | 43.46 ± 0.28 밀리초각[1] | |
성질 | ||
광도 | A: 74 / B: 0.81[4] | |
나이 | A: 3억 1400만 년 | |
분광형 | A0V/G5V[4] | |
추가 사항 | ||
질량 | A: 2.58 / B: 0.92 M☉[4] | |
표면온도 | A: 9,700 / B: 5,800[4] | |
표면 중력 (log g) | A: 3.89 / B: 4.50[4] | |
자전 속도 | A: 139[5] / B: < 14[6] | |
항성 목록 |
특징
편집알페카 항성계의 구성원 중 밝은 쪽인 알페카 A는 분광형 A0V의 주계열성이며 태양 질량의 2.6배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2.89배에서 3.04배이다.[4][6] IRAS는 알페카 A를 관측하여 24 μm와 70 μm에서 초과 적외선 복사를 감지했다.[8] 이로 보아 A 주위에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원반이 있어 베가에서 관측되는 것과 유사한 원시행성계가 생성 중일 가능성이 있다. 먼지 원반은 항성으로부터 약 60 천문단위 거리까지 확장되어 있다.[9]
짝별 알페카 B는 분광형 G5의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92%, 반지름은 태양의 90%이다. 알페카 B의 엑스선 광도는 6 × 1028 erg s−1로 태양의 최고 광도보다 30배 강한 값이다. 이처럼 강력한 엑스선 발산으로부터 B가 젊은 별임을 추정할 수 있다. 코로나 온도는 약 500만 켈빈으로 태양 코로나보다 훨씬 더 뜨겁다. 항성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 상한선은 14 km/s로 B의 1 자전주기는 3일이 나온다. 다만 보다 신빙성 있는 연구 결과에서는 1 자전주기를 7~9일로 계산하고 있다.[4][6]
A와 B는 서로의 질량 중심을 17.36일에 1회 이심률 큰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 두 항성의 공전궤도는 지구 관측자의 시선에 대해 88.2° 경사각을 보이기 때문에[6] 두 별은 알골과 비슷한 식쌍성으로 지구 관측자에게 보인다. 주기적 식으로 알페카의 광도는 +2.21부터 +2.32까지 변하며 이는 맨눈으로는 인식하기 힘들 정도의 미미한 변화량이다.
알페카 계의 우주속도는 U = +14.257, V = +0.915, W = +3.147 km/s이다. 알페카는 우주 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큰곰자리 운동성군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10]
이름
편집북쪽왕관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알페카 이외에도 과거 사람들이 불러왔던 애칭으로 겜마, 그노시아, 아스테로스(아스타로스)가 있다. 알페카는 아랍어로 نير الفكّة (나이르 알-파카)의 줄임말인데 그 뜻은 '깨진 별의 반지 중 밝은 별'이다. 겜마(Gemma)는 라틴어로 '보석'을 뜻한다. 그노시아(Gnosia) 역시 라틴어로 Gnōsia stella corōnæ (크노소스의 왕관별)이라는 의미이다. 아스테로스(Asteroth)는 히브리어로 풍요 다산의 신이었던 עשתרות (아스테로테)에서 온 명칭이다. 북쪽왕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 때문에 남쪽왕관자리 알파별에는 '알페카 메리디아나'(Alphekka Meridiana) 이름이 붙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명칭심의회(WGSN)를 조직하여[11] 항성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 회의에서[12] 일련의 항성 명칭을 공고했는데 알페카가 이 발표에 포함되었다. '나이르 알-파카' 또는 '니르 알 페카'는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수록된 이름이다.[13]
중화권에서는 천시원에서 관삭(貫索, Guàn Suǒ)에 속하며 '돈꾸러미'라는 의미이다. 관삭의 구성원은 알페카 외에 북쪽왕관자리 파이, 세타,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이오타, 로가 있다.[14] 알페카 단독으로는 관삭사(貫索四, 돈꾸러미 중 네 번째 별)로 표기한다.[15]
각주
편집- ↑ 가 나 다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Vizier catalog entry
- ↑ Johnson, H. L.; Iriarte, B.; Mitchell, R. I.; Wisniewskj, W. Z.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02025. Bibcode:2009yCat....102025S.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Tomkin, J.; Popper, D. M. (June 1986). “Rediscussion of eclipsing binaries. XV - Alpha Coronae Borealis, a main-sequence system with components of types A and G”. 《Astronomical Journal》 91: 1428. Bibcode:1986AJ.....91.1428T. doi:10.1086/114121.
- ↑ Royer, F.; Grenier, S.; Baylac, M.-O.; Gómez, A. E.; Zorec, J. (October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I. Measurement of v sin i”.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3 (3): 897–911. arXiv:astro-ph/0205255. Bibcode:2002A&A...393..897R. doi:10.1051/0004-6361:20020943. Table 8.
- ↑ 가 나 다 라 Güdel, M.; Arzner, K.; Audard, M.; Mewe, R. (May 2003). “Tomography of a stellar X-ray corona: alpha Coronae Boreal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03: 155–171. Bibcode:2003A&A...403..155G. doi:10.1051/0004-6361:2003025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Su, K. Y. L.; 외. (December 2006). “Debris Disk Evolution around A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3 (1): 675–689. arXiv:astro-ph/0608563. Bibcode:2006ApJ...653..675S. doi:10.1086/508649.
- ↑ Pawellek, Nicole; Krivov, Alexander V.; Marshall, Jonathan P.; Montesinos, Benjamin; Ábrahám, Péter; Moór, Attila; 외. (2014). “Disk Radii and Grain Sizes in Herschel-resolved Debris Disks”. 《The Astrophysical Journal》 792 (1): 19. arXiv:1407.4579. Bibcode:2014ApJ...792...65P. doi:10.1088/0004-637X/792/1/65. 65.
- ↑ King, Jeremy R.; Villarreal, Adam R.; Soderblom, David R.; Gulliver, Austin F.; Adelman, Saul J. (April 2003). “Stellar Kinematic Groups. II. A Reexamination of the Membership, Activity, and Age of the Ursa Major Group”. 《The Astronomical Journal》 125 (4): 1980–2017. Bibcode:2003AJ....125.1980K. doi:10.1086/368241.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저.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출판, 2005, ISBN 978-986-7332-25-7.
- ↑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08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