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페카 또는 북쪽왕관자리 알파(α Coronae Borealis, α CrB)[7]북쪽왕관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75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이중성이다.

알페카 A / B
알페카는 'α'이다.
알페카는 'α'이다.
명칭
다른 이름 알페카, 겜마, 그노시아, 아시타로스, '보석별', Gnosia Stella Coronae, 북쪽왕관자리 5, BD +27°2512, GCTP 3519.00, FK5 578, HD 139006, HIP 76267, HR 5793, SAO 83893.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북쪽왕관자리
적경(α) 15h 34m 41.268s[1]
적위(δ) +26° 42′ 52.89″[1]
겉보기등급(m) 2.23[2] (2.21 - 2.32)[3]
절대등급(M) +0.16 / +5.05[4]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43.46 ± 0.28 밀리초각[1]
성질
광도 A: 74 / B: 0.81[4]
나이 A: 3억 1400만 년
분광형 A0V/G5V[4]
추가 사항
질량 A: 2.58 / B: 0.92 M[4]
표면온도 A: 9,700 / B: 5,800[4]
표면 중력 (log g) A: 3.89 / B: 4.50[4]
자전 속도 A: 139[5] / B: < 14[6]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특징

편집

알페카 항성계의 구성원 중 밝은 쪽인 알페카 A분광형 A0V의 주계열성이며 태양 질량의 2.6배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2.89배에서 3.04배이다.[4][6] IRAS는 알페카 A를 관측하여 24 μm와 70 μm에서 초과 적외선 복사를 감지했다.[8] 이로 보아 A 주위에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원반이 있어 베가에서 관측되는 것과 유사한 원시행성계가 생성 중일 가능성이 있다. 먼지 원반은 항성으로부터 약 60 천문단위 거리까지 확장되어 있다.[9]

짝별 알페카 B는 분광형 G5의 주계열성으로 질량은 태양의 92%, 반지름은 태양의 90%이다. 알페카 B의 엑스선 광도는 6 × 1028 erg s−1로 태양의 최고 광도보다 30배 강한 값이다. 이처럼 강력한 엑스선 발산으로부터 B가 젊은 별임을 추정할 수 있다. 코로나 온도는 약 500만 켈빈으로 태양 코로나보다 훨씬 더 뜨겁다. 항성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 상한선은 14 km/s로 B의 1 자전주기는 3일이 나온다. 다만 보다 신빙성 있는 연구 결과에서는 1 자전주기를 7~9일로 계산하고 있다.[4][6]

A와 B는 서로의 질량 중심을 17.36일에 1회 이심률 큰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 두 항성의 공전궤도는 지구 관측자의 시선에 대해 88.2° 경사각을 보이기 때문에[6] 두 별은 알골과 비슷한 식쌍성으로 지구 관측자에게 보인다. 주기적 식으로 알페카의 광도는 +2.21부터 +2.32까지 변하며 이는 맨눈으로는 인식하기 힘들 정도의 미미한 변화량이다.

알페카 계의 우주속도는 U = +14.257, V = +0.915, W = +3.147 km/s이다. 알페카는 우주 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큰곰자리 운동성군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10]

이름

편집

북쪽왕관자리 알파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알페카 이외에도 과거 사람들이 불러왔던 애칭으로 겜마, 그노시아, 아스테로스(아스타로스)가 있다. 알페카는 아랍어로 نير الفكّة (나이르 알-파카)의 줄임말인데 그 뜻은 '깨진 별의 반지 중 밝은 별'이다. 겜마(Gemma)는 라틴어로 '보석'을 뜻한다. 그노시아(Gnosia) 역시 라틴어로 Gnōsia stella corōnæ (크노소스의 왕관별)이라는 의미이다. 아스테로스(Asteroth)는 히브리어로 풍요 다산의 신이었던 עשתרות (아스테로테)에서 온 명칭이다. 북쪽왕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 때문에 남쪽왕관자리 알파별에는 '알페카 메리디아나'(Alphekka Meridiana) 이름이 붙어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명칭심의회(WGSN)를 조직하여[11] 항성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 회의에서[12] 일련의 항성 명칭을 공고했는데 알페카가 이 발표에 포함되었다. '나이르 알-파카' 또는 '니르 알 페카'는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 수록된 이름이다.[13]

중화권에서는 천시원에서 관삭(貫索, Guàn Suǒ)에 속하며 '돈꾸러미'라는 의미이다. 관삭의 구성원은 알페카 외에 북쪽왕관자리 파이, 세타,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이오타, 로가 있다.[14] 알페카 단독으로는 관삭사(貫索四, 돈꾸러미 중 네 번째 별)로 표기한다.[15]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Vizier catalog entry
  2. Johnson, H. L.; Iriarte, B.; Mitchell, R. I.; Wisniewskj, W. Z.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3.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02025. Bibcode:2009yCat....102025S. 
  4. Tomkin, J.; Popper, D. M. (June 1986). “Rediscussion of eclipsing binaries. XV - Alpha Coronae Borealis, a main-sequence system with components of types A and G”. 《Astronomical Journal》 91: 1428. Bibcode:1986AJ.....91.1428T. doi:10.1086/114121. 
  5. Royer, F.; Grenier, S.; Baylac, M.-O.; Gómez, A. E.; Zorec, J. (October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I. Measurement of v sin i”.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3 (3): 897–911. arXiv:astro-ph/0205255. Bibcode:2002A&A...393..897R. doi:10.1051/0004-6361:20020943.  Table 8.
  6. Güdel, M.; Arzner, K.; Audard, M.; Mewe, R. (May 2003). “Tomography of a stellar X-ray corona: alpha Coronae Boreal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03: 155–171. Bibcode:2003A&A...403..155G. doi:10.1051/0004-6361:20030257. 
  7.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8. Su, K. Y. L.; 외. (December 2006). “Debris Disk Evolution around A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3 (1): 675–689. arXiv:astro-ph/0608563. Bibcode:2006ApJ...653..675S. doi:10.1086/508649. 
  9. Pawellek, Nicole; Krivov, Alexander V.; Marshall, Jonathan P.; Montesinos, Benjamin; Ábrahám, Péter; Moór, Attila; 외. (2014). “Disk Radii and Grain Sizes in Herschel-resolved Debris Disks”. 《The Astrophysical Journal》 792 (1): 19. arXiv:1407.4579. Bibcode:2014ApJ...792...65P. doi:10.1088/0004-637X/792/1/65. 65. 
  10. King, Jeremy R.; Villarreal, Adam R.; Soderblom, David R.; Gulliver, Austin F.; Adelman, Saul J. (April 2003). “Stellar Kinematic Groups. II. A Reexamination of the Membership, Activity, and Age of the Ursa Major Group”. 《The Astronomical Journal》 125 (4): 1980–2017. Bibcode:2003AJ....125.1980K. doi:10.1086/368241. 
  11.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2.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13.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55 (8):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14. (중국어)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저.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출판, 2005, ISBN 978-986-7332-25-7.
  15. (중국어)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08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2010-11-23 확인.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