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

한국의 성씨 중 하나
(월성 김씨에서 넘어옴)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혹칭 계림 김씨 또는 신라 김씨라 한다. 시조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이다.

경주 김씨
慶州 金氏
경주 김씨 종문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경주시
시조김알지(金閼智)
중시조김부(金傅)
집성촌경상북도 경주시
주요 인물김인위, 김원정, 김부식, 김돈중, 김인경, 김군수, 김태서, 김약선, 김자수, 김균, 김맹성, 김세필, 김정, 김홍익, 김홍욱, 김주신, 김흥경, 김우경, 김한신, 김사목, 김귀주, 김관주, 김노경, 김도희, 김정희, 김춘희, 김홍집, 김윤남, 김신석
인구(2015년)1,888,121명 (4위)

역사

편집

《삼국사기》에 의하면, 탈해 이사금 9년(65년)에 왕이 금성 서쪽 시림속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신하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니, 숲속 소나무에 금궤가 걸려 있고 궤에서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왕이 친히 가서 금궤를 열어 보니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다.

탈해왕은 이 아이를 길렀는데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이라 했으며, 성장하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알지라 불렀다고 한다.[1]

《삼국사기》〈미추왕조〉 세보에 의하면 알지세한을 낳고, 세한이 아도, 아도가 수류, 수류가 욱보, 욱보가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았다고 하였다. 김알지의 7대손인 미추 이사금이 비로소 김씨 최초 왕에 즉위하였는데, 그가 신라 13대 왕이다. 이후 56대 경순왕까지 신라 왕조가 계속되었다.

본관

편집

경주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6촌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사로·사라라 하고, 수도를 금성이라 하였다. 65년(탈해왕 9) 시림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국호를 신라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고려 태조 왕건에 정권을 이양하자, 금성을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으로 주어 사심관으로 봉했다. 이때 금성이 경주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987년(성종 6) 동경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을 설치하였으며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항쟁으로 지경주사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로 개편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주로 개칭하고,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대구부 경주군이 되었다가,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되었다.

분파

편집

조선후기 들어와서 경순왕고려에 항복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인 낙랑공주 왕씨 소생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김씨들이 경주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하였다. 이들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수십 개의 지파로 나누어졌다.

삼한벽상공신 내사령공파

편집
  •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신라왕의 후손으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으로 내사령을 지냈다.[2] 손자 김의진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이다. 6세손 김인경도 문과 급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이다.
    • 인물: 김주정, 김의진, 김후덕, 김수지, 김영고, 김인경, 김연성, 김영, 김서인, 김충한

평장사공파

편집

태사공파

편집

판도판서공파

편집
  • 파조 김장유(金將有)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 말 판도판서를 역임했다.[5] 6세손 김정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에 선정되고, 순창군수,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기묘사화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시호는 문간이며, 충북 보은 상현서원에 배향되었다. 1685년(숙종 11) 경에 제작한 희귀한 목판본이 남아 있다. 이 목판은 2009년 12월 4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판도판서공파 목판본

장군공파

편집
  • 파조 김순웅(金順雄)은 원성왕의 후예로 고려초 장군을 역임하였다.[6][7] 아들 김인위는 평장사 참지정사를 지내고, 손자 김원정은 평장사 문하시중을 역임했다.
    • 인물: 김인위, 김원정, 김균, 김맹성, 김중성, 김계성, 김안민, 김신민, 김인민, 김승경, 김태경, 김원중, 김민도, 김재휘, 김원립, 김신민, 김종순, 김천령, 김명원, 김남중, 김당, 김경여, 김주신, 김사목, 김정집, 김홍집, 김창희, 원순숙비, 용절덕비, 인목덕비, 인원왕후

계림군파

편집
  • 파조 김균(金稛)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계림군에 봉해지고 제숙의 시호를 받았다. 고려초 장군 김순웅(金順雄)의 아들 김원정의 10세손이다.
    • 인물: 김맹성, 김중성, 김계성, 김안민, 김신민, 김인민, 김승경, 김태경, 김원중, 김민도, 김재휘, 김원립, 김신민, 김종순, 김천령, 김명원, 김남중, 김당, 김경여, 김주신, 김사목, 김정집, 김홍집, 김창희, 원순숙비, 용절덕비, 인목덕비, 인원왕후

호장공파

편집
  • 파조 김위영(金魏英)는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초 호장을 역임했다.[8] 증손자 김부일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태위였으며, 시호는 문간이었으며, 동생 김부식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중서령이었고, 낙랑후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열이다. 인종 묘실에 배향되었다. 동생 김부의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공이었으며, 시호는 문의이다.[9]

상서공파

편집

목사공파

편집

판서공파

편집
  • 파조 김의(金義)는 고려 말 판서를 역임했다.[12]

판서공파

편집

직장공파

편집
  • 파조 김수구(金壽龜)는 상의원 직장을 역임했다.[14]

상호군파

편집
  • 파조 김중약(金仲約)은 조선 조 상호군을 역임했다.[15]

지파

편집
  • 벽상공신내사령공파
    • 두계공파(杜溪公派) - 평장사 김인경의 현손 김충유[16]
    • 수은공파(樹隱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한
    • 시어사공파(侍御使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보
    • 참찬공파(參贊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익
    • 밀직공파(密直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원
    • 병판공파(兵判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남보
    • 판삼사사공파(判三司事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남비
    • 월성부원군파(月城府院君派) - 정숙공 김인경의 6세손 김천서
    • 강릉공파(江陵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충하
    • 부사공파(府使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상한
    • 현감공파(縣監公派) - 정숙공 김인경의 현손 김정심
  • 평장사공파
    • 병판공파(兵判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덕재
    • 백촌공파(白村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문기
    • 익화군파(益和君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인찬
    • 충선공파(忠宣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혼
    • 참판공파(參判公派) - 평장사 김봉모의 후손 김광재
  • 태사공파(太師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9세손 김자정
    • 상촌공파(桑村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9세손 김자수
    • 우재공파(愚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0세손 김한
    • 송재공파(松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1세손 김수량
    • 도사공파(都事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초
    • 감사공파(監司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이자
    • 판관공파(判官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년
    • 좌랑공파(佐郞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원
    • 사승공파(司丞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전
    • 공평공파(恭平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후손 김영유
    • 남곡공파(南谷公派) - 태사공 김인관의 16세손 김의[17]
  • 판도판서공파
    • 판군기감사공파(判軍器監事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식
    • 감사공파(監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돈
    • 직장공파(直長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당
    •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을귀
    • 이조판서공파(吏曹判書公派) - 판서공 김장유의 손자 김원기
  • 호장공파
    • 태사공파(太射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일
    •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식
    • 사공공파(司空公派) - 호장 김위영의 손자 김부의

집성촌

편집

항렬자

편집
  • 영분공파, 대안군파(파조로 1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55세 56세 57세 58세 59세 60세
호(鎬)
전(銓)
口수(洙)
口영(永)
동(東)
병(柄)
口렬(烈)
口걸(杰)
규(奎)
효(孝)
口현(鉉)
口흠(欽)
홍(洪)
영(泳)
口식(植)
口수(秀)
훈(勳)
병(炳)
口중(重)
口곤(坤)
종(鍾)
건(鍵)
口락(洛)
口태(泰)
주(株)
권(權)
口혁(赫)
口엽(燁)
재(在)
교(敎)
口옥(鈺)
口석(錫)
철(澈)
하(河)
口근(根)
口영(榮)
희(熙)
경(炅)
口기(基)
口채(埰)
용(鎔)
진(鎭)
口준(浚)
口호(浩)
상(相)
동(東)
口환(煥)
口섭(燮)
성(聲)
재(載)
口수(銖)
口탁(鐸)
해(海)
제(濟)
口집(集)
口표(杓)
현(炫)
형(炯)
口희(禧)
口철(喆)
  • 태사공파 상촌공파(파조로 1세)
13세
21세
14세
22세
15세
23세
16세
24세
17세
25세
18세
26세
19세
27세
20세
28세
21세
29세
22세
30세
23세
31세
24세
32세
25세
33세
26세
34세
27세
35세
28세
36세
29세
37세
30세
38세
31세
39세
32세
40세
33세
41세
한(漢) 口주(柱) 노(魯) 口재(載)
口희(喜)
수(秀)
상(商)
용(容)
口제(濟)
口호(浩)
교(敎)
동(東)
口원(元)
口호(鎬)
口환(煥)
口열(烈)
口익(翼)
홍(鴻)
기(基)
주(周)
口집(執)
口식(植)
口호(鎬)
口종(鍾)
병(炳)
연(淵)
택(澤)
口규(圭)
口직(稙)
口목(穆)
병(丙)
창(昌)
口준(浚)
口규(奎)
춘(椿)
선(善)
진(鎭)
口구(求)
口세(世)
인(寅)
영(營)
口하(夏)
口연(然)
정(廷)
준(埈)
口석(錫)
口현(鉉)
용(溶)
태(泰)
  • 평장사공파 예의판서공파(파조로 1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口선(善)
상(相)
口병(炳)
口노(魯)
口섭(燮)
규(奎)
규(圭)
헌(憲)
口진(晉)
口조(釣)
口진(鎭)
영(泳)
낙(洛)
철(澈)
口락(樂)
口동(東)
口식(植)
희(熙)
병(炳)
환(煥)
口채(埰)
口주(周)
口기(基)
석(錫)
현(鉉)
口준(準)
口식(湜)
口한(漢)
주(柱)
모(模)
口훈(勳)
口찬(燦)
철(喆)
재(在)
口종(鍾)
口용(鎔)
하(河)
제(濟)
口근(根)
口림(林)
돈(焞)
형(炯)
식(埴)
준(埈)
정(鉦)
호(鎬)
  • 장군공파 계림군파(파조로 1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口집(集) 口희(熙)
口원(遠)
교(敎)
口상(商)
정(正) 口식(植)
口경(經)
학(學)
지(知)
口기(基)
口식(式)
진(鎭)
시(是)
口수(洙)
口우(友)
상(相)
주(胄)
口환(煥) 규(奎) 口현(鉉) 해(海) 口표(杓) 병(炳) 口배(培) 석(錫) 口한(漢) 주(柱) 口변(變)
口섭(燮)
길(吉) 口옥(鈺) 윤(潤)
  • 판도판서공파(파조로 1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상(商) 口태(泰)
口정(鼎)
수(秀) 口희(熙) 기(基)
재(在)
口구(九)
口호(鎬)
口현(鉉)
홍(洪)
영(永)
한(漢)
口식(植)
口환(桓)
口모(模)
응(應)
병(炳)
口규(圭) 진(鎭) 口호(浩) 동(東) 口렬(烈) 재(載) 口석(錫) 낙(洛) 口근(根) 용(容) 口균(均) 종(鍾) 口한(漢) 영(榮) 口환(煥)

왕실과의 인척 관계

편집

고려

편집

조선

편집

인구

편집
  • 1985년 361,189가구 1,523,469명
  • 2000년 542,018가구 1,736,798명
  • 2015년 경주 김씨 1,800,853명 + 월성 김씨 87,268명 = 1,888,121명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김알지의 '알지'는 알타이어로 '금'이란 뜻으로 '김씨'의 한자 의미 그대로 금을 의미한다. 같은 의미의 단어를 두 번 연속해서 쓰는 경우는 현대 한국어 용례에도 종종 남아 있으며 '역전앞'과 같은 것이 그 사례이다.
  2. 『고려묘지명집성』에 후손 김자류는 신라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제3자로 추정되는 인물인 영분공 김명종이 파조이라 한다. 김예겸은 김명종의 6세손(영분공-임흥공-김억종-김계옹-아개공-김예겸)이라 한다.
  3. 《고려사》에는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조 말 우연히 발견된 《김은열 묘지석》 이후 경순왕의 제4자로 추정되는 인물인 김은열이 파조이며, 김봉모는 그의 후손이라 한다.
  4. 《고려사》에는 헌강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경순왕의 후예 혹은 헌강왕의 7세손이라 한다.
  5.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6. 「김지우 묘지명」에 신라 원성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 또는 대안군 김은열의 후손이라 한다.
  7. 일부 대장군공파라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거짓이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파조 김균의 셋째 아들인 김계성의 유일한 아들인 김종순을 부인하고, 여러 동생들을 붙여 대장군공파라 주장한다. 이는 족보 조작꾼들이 만들어낸 다 가짜이다. 김순웅 장군은 계림군파의 먼 조상으로 대장군도 아니다. 따라서 장군공파 또는 대장군파도 역시 조작꾼들이 꾸며낸 허구일뿐 실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8. 《고려사》 김부일 열전에 그는 경주사람으로 그 선조는 신라의 종성인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 고려 태조가 처음 경주를 설치할 때 김위영을 주장으로 삼았으니 곧 김부일의 증조이다.
  9. 아버지 김근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국자감 좨주 좌간의대부였다.
  10.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경주 김씨 계림군파 갑자보에 의하면 조선 개국공신 김균의 9세손 김여진이 지금의 경북 상주군 공검면에 세거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11.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공민왕 7년에 광록대부 형부상서를 역임한 문간공 청주 이씨 이정의 신도비문을 태종 3년(1403) 권근이 찬하였는데, 맏아들 형부낭중 유신의 둘째 사위가 대호군 김소라는 기록이 보인다. 세종 7년(1425) 술잔치를 벌인 도총제 이순몽의 죄를 적용할 율을 올리면서 전 목사 김소의 이름이 보인다.
  12. 《고려사》에 고려에 귀화한 호인으로 본명은 김야열가(金也列哥)이다. 고려 말 공민왕 때 밀직부사 동지사사등을 역임했다
  13.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일설에 김은열의 12세손이라 한다. 조선 개국 보좌공신에 책록되고 병조판서를 역임한 후 함경도 정평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14. 안강 김씨로 분적하였다.
  15. 정종 (조선)의 아들 선성군 이무생의 빙부이다.
  16. 김인경은 파조 김예겸의 6세손이며, 평장사 양신공 김의진의 4세손이다. 고려 명종때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중서시랑평장사 시호는 정숙공이다.
  17. 파조 김의는 김세필의 증손으로 익산군수를 역임하고, 충북 음성군 지천서원에 배향되었다.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