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공양

(인신공희에서 넘어옴)

인신공양(人身供養, 영어: human sacrifice)은 제사 때 산 사람을 신에게 희생물로 바친 것을 말한다. 옛날의 제사에서 공양의 희생물로 인간을 신에게 바친 일이며 '인신공여', '인신공희'라고도 한다.[1] 인권 개념이 희박하던 고대에 지역·종교·인종을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나타나던 풍습이었다.[2]

잉카 문명의 인신공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자의 미라

역사

편집

사람을 희생으로 바치는 제의는 죽은 자를 위한 영원한 봉사를 뜻하는 ‘순장(殉葬)’의 형태이지만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신공양은 전 세계에 걸쳐 수렵시대·유목시대를 거쳐 농경시대까지 폭넓게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신화와 전설, 고고학적 자료로 미루어 볼 때 페루·잉카·고대 이집트·메소포타미아·팔레스타인·이란·인도·그리스·로마·중국 등 고대 문명의 발상지에서는 대부분 인신공양이 있었다. 그러므로 제물을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 행위의 기원이 인신공양에 있다는 설도 있다.

특히 고고학사에서 멕시코 지역(테오티우아칸[3])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달의 피라미드 때문이다. 이 피라미드는 도시 전체를 관통하며 설계된 길인 이른바 ‘죽은 자의 길’ 끝에 우뚝 솟은 거대 피라미드였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했던 왕국답게 이 곳에서는 사람의 심장과 피를 제물을 바쳤던 것으로 연구됐다.

로마의 왕정 시대에 그리스도 교인들은 식인의 풍습이 있는 것으로 의심을 받아서 로마인들로부터 박해를 받기도 하였다.[4]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었는데 놀라운 것은 ‘인신공양’가 다른 지역에서 사라진 뒤에도 유독 테오티우아칸[3] 을 중심으로 한 중남미 지역에서는 오래 유지됐다는 부분이다. 테오티우타칸[3] 이 7세기 홀연히 자취를 감춘 뒤에도 무려 16세기, 에스파냐가 이 지역을 점령한 뒤까지 이 의식이 유지됐다는 기록이다.[1][5]

한국사

편집

신라의 인신공양

편집

2000년 여름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부지의 발굴에서 우물 바닥 가까운 곳에서 유골이 발견된다.[6] 학자들은 이 8~9세 어린아이 유골을 9세기 통일신라 제의(祭儀)의 희생물로 추정하였다.[6] 이 우물은 신라 왕실에서 관리하는 것이 명백하였으며, 통일신라 말 혼란기에 왕실의 안전과 풍요를 비는 제사였을 수도 있었다.[6] 이 우물은 신라에 불교가 들어와 공인되기 전 인신공양의 흔적으로 분석되었다.[7]

경주 월성 해자에서도 여러 인골들이 나왔다.[8] 2015년부터 발굴 중이던 경주 궁터인 월성 성곽의 성벽 토층부에서 건장한 성인의 유골이 발견되는데 의도적으로 주검을 넣은 정황이 뚜렷하다.[8] 이 성곽에서 유골의 발굴은 다른 한반도 일대의 사례들에 비해 인신공양 제례의 실체가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첫 사례이다.[8]

문무왕이 창건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봉덕사에[9] 성덕대왕신종의 전설도 있다.

백제의 인신공양

편집

삼국시대 330년에 축조된[10] 전라북도 김제 벽골제에서 조사 때에 여러 인골들이 나와서 땅기운을 다스리는 풍습을 보여주었다.[8]

가야의 인신공양

편집

창녕 송현동 가야고분군의 10대 순장소녀,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의 무더기 순장 흔적 등이 있다.[8]

조선의 인신공양

편집

400여년 전 청송에서는 선비 윤반을 살리기 위해서 동자승이 항아리에 담겨서 속에 들어갔다는 인신공양 민담이 전해진다.[11] 김필 선생이 축조한 장흥 어인보[12]는 보의 둑이 잘 터지니 산 사람을 제물을 바쳤다는 설화가 있으나 인과응보를 담은 내용도 있다.[13]

국보 305호 통영 세병관 건물을 지을때 에밀레종 전설처럼 통제사가 비구니 스님을 인신공양했다는 전설이 있다.[14]

설화

편집

한국의 인신공양 관련 설화는 대체로 인신을 제물로 바치는 악습이 없어지게 된 유래담이 많다. 개성의 지네산전설, 청주 지네장터전설, 제주도의 금녕사굴전설 등이 있다.

이러한 인신공양 설화는 고전소설 『심청전』의 근원설화(根源說話)가 되기도 하였다. 『심청전』에 영향을 끼친 '거타지' 설화도 역시 인신공양을 줄거리로 삼고 있다. 거대한 토목공사를 할 때에 어떤 사람을 물 속이나 흙 속, 혹은 그 재료 속에 파묻는 것을 인주(人柱)라 하고, 인신을 제공하는 인신공여는 이를 소재로 한 설화로 인신공양 설화의 한 종류이다. 인신공여라는 설화는 신라성덕대왕신종 전설(에밀레종 전설)이 유명하다.[1]

인신공양 설화는 인신공양을 통하여 신과의 대화를 뜻한다. 이 설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어 각종 구비전승과 신화에서 발견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문학비평용어사전(2006년 국학자료원 출판) 참조
  2. “[논설위원의 뉴스 요리] '인신공양'은 정말 사라졌을까”. 부산신문. 2021년 9월 25일. 
  3. 테오티우아칸(teotihuacan)은 멕시코시(市)에서 북동쪽으로 52km 떨어져 있었던 왕국으로 기원전 2세기경 건설되기 시작하여, 기원 후 4세기부터 7세기 사이에 전성기를 맞았다고 하는데 전성기 인구는 대략 12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테오티우아칸은 광범위한 교역을 통해 경제력을 축적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해 중미 전역에 세력을 떨쳤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대유적, 모리노 다쿠미·마쓰시로 모리히로 지음, 이만옥 옮김, 2007년 들녘 출판) 참조
  4. 그리스도교 서양문화의 어머니 1강 그리스도교의 태동과 최초의 토착화 과정 Archived 2019년 9월 21일 - 웨이백 머신 가톨릭평화방송 2014-06-03
  5. 고승희 기자 (2013년 1월 31일). “멕시코서 해골 150구 발견…“인간제물 흔적””. 헤럴드경제. 2013년 7월 1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우물에 던져진 아이… 9세기 신라엔 무슨 일이?”. 조선일보. 2011년 6월 3일. 
  7. “장례식만 27개월? 공주 정지산 ‘무령왕비 빈소’의 비밀 [김상운 기자의 발굴왕]”. 동아신문. 2019년 11월 18일. 
  8. “경주 월성성벽 속에서 ‘인신공양’ 신라인골이 나왔다”. 한겨레신문. 2017년 5월 16일. 
  9. “호국신앙 (護國信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1월 14일에 확인함. 
  10. “김제 벽골제 미스터리…삼국시대 저수지 맞나”. 중앙일보. 2013년 1월 11일. 
  11. “「윤반과 유지」”.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2. “(특별기고) 장흥 사인정 바로알기”. 장흥투데이. 2022년 5월 20일. 
  13. “인주설화 (人柱說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0월 10일에 확인함. 
  14. “비구니 스님의 인신공양으로 세워진 세병관?”. 프레시안. 2012년 12월 16일.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