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한씨
청주 한씨(淸州 韓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나라 | 한국 |
---|---|
관향 | 충청북도 청주시 |
시조 | 한란(韓蘭) |
주요 인물 | 한강, 한사기, 한수, 한방신, 한상경, 한확, 한명회, 한계희, 한치형, 한치례, 소혜왕후, 장순왕후, 안순왕후, 한보, 공혜왕후, 한효원, 한석봉, 한백겸, 한준겸, 한효순, 한흥일, 인렬왕후, 한원진, 한익모, 한광회, 한규설, 한용운, 한상룡, 한승수, 한화갑, 한광옥, 한명숙, 한덕수, 한민구, 한범덕, 한동훈 |
인구(2015년) | 752,689명 |
비고 | 청주한씨 중앙종친회 |
기원
편집《청주한씨세보》에 따르면 마한 9대 원왕(元王)의 세 아들 우평(友平), 우량(友諒), 우성(友誠)이 각각 태원 선우씨(太原 鮮于氏), 청주 한씨(淸州 韓氏), 행주 기씨(幸州 奇氏)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개국공신 한란(韓蘭)을 시조로 삼는다.
《선조실록》에 윤근수(尹根壽) 등이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1]
세상에서 전하기로는 청주 한씨(淸州韓氏)가 기자의 후손이라 합니다.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이 삼한(三韓)이 국호이었으므로, 한을 가리켜 기자의 후손이라 합니다. 공가(孔哥)·인가(印哥)·선우가(鮮于哥)도 다 기자의 후손입니다. 대개 기자의 작은 아들이 우(于)에 봉해졌으므로, 선우라 합니다. 고시(古詩)에 "기자의 후손에는 털북숭이가 많다. [箕子枝裔多髯翁]" 하였는데, 대개 선우추(鮮于樞)를 가리킨 것입니다. 평안도에서는 선우(鮮于)가가 대대로 기자전(箕子殿)의 참봉(參奉)이 된다 합니다."
시조
편집청주 한씨(淸州 韓氏)의 시조 한란(韓蘭)은 현재의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에서 한지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40세 무렵에 현재의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方西洞)으로 이주하여 마을 언덕에 무농정(務農亭)을 짓고 방정리(方井里) 무농평(務農坪)의 농토를 개척한 호족이었다. 928년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하여 청주를 지날 때 당시 가뭄으로 왕건의 군사와 군마 등이 모두 지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란은 왕건을 군례(軍禮)로 맞이하고 자신의 군사와 군마 그리고 10만 대군이 먹을 수 있는 군량미 제공했으며, 왕건과 함께 종군(從軍)하여 큰 전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한란은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이 되었으며, 벼슬은 삼중대광 태위(三重大匡 太尉)에 올랐다고 한다.
역사
편집백제의 공신인 한세기(韓世奇)를 시작으로 고려 시대에 삼한벽상공신 한란, 신의 왕후, 한상경, 한충 등의 인물들을 배출하며 고대에도 명문가였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315명, 상신(相臣) 12명, 공신(功臣) 24명, 대제학 1명, 왕비 6명을 배출하였고, 한확과 한명회가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배향되어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진다.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
편집-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
- 덕종비 소혜왕후(인수대비)
- 예종 정비 장순왕후
- 예종 계비 안순왕후
- 성종 정비 공혜왕후
- 중종 후궁 귀인 한씨
- 명종 후궁 숙의 한씨
- 선조 후궁 온빈 한씨
- 인조 정비 인열왕후
- 양녕대군(태종의 장남)의 사위 한치형
- 계양군(세종의 8남)의 처 정선군부인 한씨
- 창원군(세조의 4남) 세번째 부인 군부인 한씨
- 구성군(임영대군의 차남)의 처 천안군부인 한씨
- 흥안군(선조의 10남)의 전처 청주군부인 한씨
- 의혜공주(중종의 6녀)의 남편 청원위 한경록
- 정혜옹주(성종의 11녀) 남편 청평위 한기
- 공신옹주(성종의 4녀)의 남편 청녕위 한경침
- 정신옹주(중종의 9녀)의 남편 청천위 한경우
인물
편집- 한강(韓康, 1228년 ~ 1303년): 고려 고종조에 과거에 급제하고, 충렬왕 때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으로 치사하였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 한사기(韓謝奇): 한강의 아들.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에 이르렀다.
- 한수(韓脩, 1333년 ~ 1384년): 1347년(충목왕 3) 과거에 합격하였다. 청성군(淸城君)에 봉해되고 1383년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경(文敬).
- 한방신(韓方信, ~ 1376년): 홍건적의 난에 동북면도병마사로서 경성을 수복하였고, 서원군(西原君)에 봉군되었으며,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아들 한안(韓安)이 공민왕을 시해하여 우왕 때 처형됐다.
- 한상경(韓尙敬, 1360년 ~ 1423년): 한수의 아들. 1382년(고려 우왕 8)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추록되었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으로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
- 한확(韓確, 1400년 ~ 1456년): 누이 공신부인이 명 선덕제의 여비로 책봉되었다.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 1등에 책록되고, 좌의정에 올랐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세조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양절(襄節)이다. 딸은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이다.
- 한명회(韓明澮, 1415년 ~ 1487년): 예종비 장순왕후와 성종비 공혜왕후의 아버지이다.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진봉되었으며, 1466년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성(忠成).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한계희(韓繼禧. 1423년 ~ 1482년): 한상경의 손자. 1447년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471년(성종 2)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1478년 좌찬성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정(文靖).
- 한백륜(韓伯倫, 1427년 ~ 1474년): 1468년(예종 즉위년) 장녀가 안순왕후로 책봉되었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우의정에 올라서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시호는 양혜(襄惠).
- 한치형(韓致亨, 1434년 ~ 1502년): 1451년(문종 1) 군직에 음보된 뒤 경기도관찰사,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병조판서, 좌찬성, 대사헌 등을 거쳐 우의정을 역임한 뒤 1500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질경(質景).
- 한치례(韓致禮, 1441년 ~ 1499년): 한확의 3자로 성종의 외숙부이다. 무과 급제하여 이조·호조·병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으며, 좌참찬, 영돈녕부사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이다. 시호는 장간(莊簡).
- 한효원(韓效元, 1468년 ~ 1534년):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531년 우의정, 1532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성(章成).
- 한백겸(韓百謙, 1552년 ~ 1615년): 1579년(선조 12) 생원시에 합격하여 호조좌랑, 형조좌랑, 청주목사, 판결사,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등을 역임하였다. 『동국지리지』 등을 저술하였다.
- 한준겸(韓浚謙, 1557년 ~ 1627년): 1586년(선조 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딸이 인렬왕후로 책봉되자 영돈녕부사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익(文翼).
- 한흥일(韓興一, 1587년 ~ 1651년): 한백겸의 아들.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51년 우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정온(靖溫).
- 한원진(韓元震, 1682년 ~ 1751년): 한상경의 후손.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인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했다.
- 한익모(韓翼謩, 1703년 ~ 1781년): 1733년(영조 9)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772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문숙(文肅).
- 한치윤(韓致奫, 1765년 ~ 1814년):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조카 한진서와 함께 해동역사를 저술하였다.
- 한규설(韓圭卨, 1848년 ~ 1930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96년 법부대신 겸 고등재판소 재판장에 임명되었고, 1905년 의정부참정대신이 되어 을사조약 체결을 반대하였다.
- 한용운(韓龍雲, 1879년 ~ 1944년):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
- 한기악(韓基岳, 1898년 ~ 1941년): 언론인, 독립운동가.
- 한승수(韓昇洙, 1936년 ~ ): 제39대 국무총리
- 한화갑(韓和甲, 1939년 ~ ): 제14·15·16·17대 국회의원
- 한광옥(韓光玉, 1942년 ~ ): 제11·13·14·15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 대통령비서실장
- 한명숙(韓明淑, 1944년 ~ ): 제37대 국무총리
- 한덕수(韓悳洙, 1949년 ~ ): 제38대 국무총리
- 한민구(韓民求, 1951년 ~ ): 제44대 국방부 장관
- 한동훈(韓東勳, 1973년 ~ ): 제69대 법무부 장관
본관
편집청주(淸州)는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본래 마한이었고, 백제시대에는 상당현(上黨縣)이었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淸州牧)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청주목의 토성(土姓)으로 한(韓)·이(李)·김(金)·곽(郭)·손(孫)·경(慶)·송(宋)·고(高)·준(俊)·양(楊)·동방(東方)·정(鄭) 12성이 기록되어 있다.[2] 1946년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고, 1949년 청주시로 개칭하였다.
분파
편집- 창맹공파 한천(韓蕆)
- 충성공파(忠成公派) 한명회(韓明澮)
- 판윤공파(判尹公) 한억호(韓億虎)
- 이양공파(夷襄公派) 한명진(韓明溍)
- 현감공(縣監公) 한학대(韓學大)
- 판서공(判書公) 한여직(韓汝稷)
- 절도사공(節度使公) 한근(韓根)
- 검교참판공파(檢校參判公派) 한계윤(韓繼胤)
- 문양공파(文襄公派) 한계미(韓繼美)
- 장령공(掌令公) 한형(韓瀅)
- 문절공파(文節公派)
- 문정공파(文靖公派) 한계희(韓繼禧)
- 참판공(參判公) 한천뢰(韓天賚)
- 율헌공(栗軒公) 한명욱(韓明勖)
- 판서공(判書公) 한치응(韓致應)
- 문익공(文翼公) 한준겸(韓浚謙)
- 좌윤공(左尹公) 한회일(韓會一)
- 판서공(判書公) 한치범(韓致範)
- 판서공(判書公) 한치조(韓致肇)
- 판서공(判書公) 한진정(韓鎭庭)
- 판서공(判書公) 한돈원(韓敦源)
- 판서공(判書公) 한경원(韓敬源)
- 찬정공(贊政公) 한기동(韓耆東)
- 참판공(參判公) 한필원(韓必遠)
- 호조참판공파(戶曹參判公派) 한계선(韓繼善)
- 양평공파(襄平公派) 한계순(韓繼純)
- 찬성공파(贊成公派) 한장손(韓長孫)
- 절제공파(節制公派) 한중손(韓仲孫)
- 판윤공(判尹公) 한질(韓晊)
- 안양공파(安襄公派) 한종손(韓終孫)
- 충숙공(忠肅公) 한규직(韓圭稷)
- 시정공(時正公) 한계상(韓繼常)
- 부사공(府使公) 한득신(韓得信)
- 승지공(承旨公) 한정칙(韓正則)
- 찬성공(贊成公) 한유량(韓有良)
- 첨지공파(僉知公派) 한천손(韓千孫)
- 절도공파(節度公派) 한만손(韓萬孫)
- 이랑공파(吏郞公派) 한서봉(韓瑞鳳)
- 목사공(牧使公) 한언륜(韓彦倫)
- 현감공(縣監公) 한화산(韓華山)
- 양이공파(襄夷公派) 한서구(韓瑞龜)
- 참봉공(參奉公) 한정륜(韓正倫)
- 판윤공(判尹公) 한성근(韓聖根)
- 판사공파(判事公派) 한제(韓劑)
- 감찰공(監察公) 한을부(韓乙副)
- 정당공파(政堂公派) 한공연(韓公衍)
- 부사공(府使公) 한주(韓柱)
- 판관공(判官公) 한홍보(韓洪甫)
- 서원군(西原君) 한복(韓復)
- 감사공(監司公) 한암(韓巖)
- 부정공(副正公) 한정(韓鼎)
- 부호군공(副護軍公) 한자강(韓自强)
- 송제공 한충
- 양혜공파(襄惠公派) 한백륜(韓伯倫)
- 청원군(淸原君) 한경석(韓慶錫)
- 판윤공(判尹公) 한후기(韓後琦)
- 현령공파(縣令公派) 한숙륜(韓叔倫)
- 봉익공파(奉翊公派) 한수부(韓壽府)
- 양절공파(襄節公派) 한확(韓確)
- 공안공파(恭安公派) 한치인(韓致仁)
- 서원군(西原君) 한호문(韓好問)
- 판서공(判書公) 한인급(韓仁及)
- 서윤공(庶尹公) 한율(韓嵂)
- 청원군(淸恩君) 한배하(韓配夏)
- 판사공(判事公) 한사득(韓師得)
- 정혜공(靖惠公) 한사직(韓師直)
- 충정공(忠貞公) 한병득(韓炳得)
- 판사공(判事公) 한광회(韓光會)
- 판서공(判書公) 한광경(韓光경)
- 판사공(判事公) 한만유(韓晩裕)
- 정헌공(靖獻公) 한용탁(韓用鐸)
- 효정공(孝靖公) 한정교(韓正敎)
- 제학공(提學公) 한광수(韓光洙)
- 장도공파(章悼公派) 한치의(韓致義)
- 공평공(恭平公) 한위(韓偉)
- 장간공(莊簡公) 한치례(韓致禮)
- 참의공파(參議公) 한전(韓磌)
- 병사공(兵使公) 한충인(韓忠仁)
- 부정공(副正公) 한충의(韓忠義)
- 부정공(副正公) 한충례(韓忠禮)
- 참의공(參議公) 한충지(韓忠智)
- 참판공(參判公) 한충신(韓忠信)
- 첨사공(僉使公) 한충상(韓忠常)
- 도정공(都正公) 한충순(韓忠順)
- 정랑공파(正郞公派) 한질(韓질)
- 첨정공(僉正公) 한치원(韓致元)
- 공간공(恭簡公) 한세환(韓世桓)
- 질경공(質景公) 한치형(韓致亨)
- 회양공(淮陽公) 한치량(韓致良)
- 감사공(監司公) 한덕원(韓德遠)
- 봉사공(奉事公) 한치미(韓致美)
- 세마공파(洗馬公派) 한근(韓瑾)
- 학사공(學士公) 한공서(韓公瑞)
- 몽계공파(夢溪公派) 한철충(韓哲沖)
- 서제공파(徐濟公派)
- 예빈윤파 한진규 한완규
분관
편집항렬자
편집- 대동항렬(시조로 1세)
|
- 호조참판공파(중시조로 1세) 한계선(韓繼善)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용(用) 진(鎭) 석(錫) 응(應) |
口이(履) 원(源) 口회(會) |
口교(敎) 口동(東) 백(百) |
석(錫) 口우(愚) 口택(澤) 口우(愚) |
口수(洙) 기(基) |
상(相) 口현(鉉) |
口희(熙) 口덕(悳) |
규(奎) 재(載) |
口종(鍾) 口탁(鐸) |
태(泰) | 口식(植) |
- 충성공파(중시조로 1세) 한명회(韓明澮)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진(鎭) 口용(用) |
口호(浩) 口이(履) |
동(東) 口교(敎) |
口현(炫) 口석(錫) |
기(基) 口수(洙) |
口흠(欽) 상(相) |
태(泰) 口희(熙) |
口근(根) 재(載) |
병(炳) 口탁(鐸) |
口중(重) 태(泰) |
용(鎔) 口식(植) |
- 양평공파(중시조로 1세) 한계순(韓繼純)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진(鎭) 口용(用) |
口원(源) 口이(履) |
口동(東) 口교(敎) |
口우(遇) 口석(錫) |
기(基) 口수(洙) |
만(萬) 口현(鉉) 상(相) |
口구(九) 口희(熙) |
병(丙) 口재(在) |
口영(寧) 口원(元) |
성(成) 口옥(玉) |
口희(熙) 口헌(憲) |
- 이양공파(중시조로 1세) 한명진(韓明溍)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용(用) 口현(鉉) |
口이(履) 口원(源) |
口교(敎) 口동(東) |
口석(錫) 口우(愚) |
口식(植) 口기(基) |
희(熙) 口현(鉉) |
口기(基) 口택(澤) |
석(錫) 口표(杓) |
태(泰) 병(炳) |
口근(根) 口배(培) |
병(炳) 종(鍾) |
- 문양공파(중시조로 1세) 한계미(韓繼美)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용(用) 진(鎭) |
口이(履) 口원(源) |
口교(敎) 口동(東) |
口석(錫) 口우(愚) |
口수(洙) 기(基) |
상(相) 口현(鉉) |
口섭(燮) 口희(熙) |
口재(在) 口규(奎) |
口원(元) 口진(鎭) |
口옥(玉) | 口헌(憲) |
- 문정공파(중시조로 1세) 한계희(韓繼禧)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진(鎭) 응(應) 口용(用) |
口원(源) 口회(會) 口이(履) |
口동(東) 백(百) 口교(敎) |
口우(愚) 口택(澤) 口석(錫) |
기(基) 동(東) 口수(洙) |
만(萬) 口현(鉉) 상(相) 口섭(燮) |
口구(九) 口희(熙) 재(在) |
병(丙) 口규(奎) 口용(鏞) |
口녕(寧) 口대(大) 口탁(鐸) |
성(成) 口원(元) |
口희(熙) 口옥(玉) |
- 참판공파(중시조로 1세) 한계윤(韓繼胤)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진(鎭) 용(用) 口기(基) |
口원(源) 口이(履) 口회(會) |
口동(東) 백(百) 口교(敎) |
口우(愚) 口택(澤) 口석(錫) |
기(基) 석(晳) 口수(洙) |
만(萬) 口현(鉉) 상(相) |
口희(熙) | 병(丙) 口규(奎) |
口원(元) 口종(鍾) |
口옥(玉) | 口헌(憲) |
- 찬성공파(중시조로 1세) 한장손(韓長孫)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상(相) 용(用) 口준(俊) |
口열(烈) 口이(履) 口진(鎭) |
口규(圭) 口교(敎) |
진(鎭) 口석(錫) |
口호(浩) 口수(洙) |
병(秉) 口주(柱) |
口희(熙) 口덕(悳) |
규(奎) 재(載) |
口기(錡) 口탁(鐸) |
태(泰) 승(承) |
口식(植) 口근(根) |
- 공안공파(중시조로 1세) 한치인(韓致仁)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
口용(用) 口사(思) 口홍(洪) |
口이(履) 口정(廷) 口낙(洛) 용(容) |
口교(敎) 우(友) |
口석(錫) 口현(鉉) 口호(鎬) |
문(汶) 口수(洙) |
상(相) 정(楨) |
口희(熙) 口섭(燮) 口덕(悳) |
口규(奎) 재(載) |
종(鍾) 口탁(鐸) |
태(泰) 口영(泳) 口호(浩) 口용(鎔) |
- 몽계공파(중시조로 1세) 한철충(韓哲沖)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
용(用) | 口이(履) | 口교(敎) | 口석(錫) | 口수(洙) | 상(相) | 口희(熙) 口섭(燮) |
규(圭) 재(在) |
대(大) 탁(鐸) 종(鍾) |
인구
편집- 1985년 142,894가구, 597,600명
- 2000년 199,642가구, 642,992명
- 2015년 752,689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