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소르토키아
키소르토키아(학명: Kiisortoqia soperi)는 캄브리아기 초기에 출현했던 멸종한 절지동물로 그린란드에 위치하는 시리우스 파셋 라거슈테테에서 발견되었다. 몸의 외형이 마치 삼엽충과 닮았은 한편으로 방사치목의 것과 유사한 커다란 전방부속지도 달려 있다.
키소르토키아 | |
---|---|
화석 범위: 523–518백만년 전 | |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속: | †키소르토키아속 |
종: | † K. 소페리 |
모식종 | |
†Kiisortoqia soperi | |
Stein, 2010 |
특징
편집키소르토키아의 몸은 단순하게 생긴 머리방패와 몸통마디 16개 그리고 꼬리방패로 이루어져 있다. 외관의 경우 몸의 형태는 거의 타원형으로 세로폭이 가로폭보다 약 2배 더 길며, 제3~5마디 중 앞의 제3마디가 가장 넓은 부분이다.[1]
머리방패는 단순하게 생겼으며 볼록한 모양에 세로폭보다 가로폭이 더 크다. 그리고 전체 몸길이의 약 20%를 차지한다. 체절 길이는 너비의 1/5 수준으로 짧으며 각 체절의 후방 모서리는 뒤에 있는 다른 마디와 길이가 약 1/5 정도 겹친다. 1~5마디 전부 같은 너비이며 뒤에 있는 체절들은 뒤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줄어든다. 체절 가운데에는 마디의 절반을 구성하고 삼엽 모양인 축이 자세히 보인다. 각 체절의 옆면 끝에는 꼬리쪽으로 길이가 늘어난 가시들이 나 있다. 꼬리는 크기가 작으며 반원형이고 길이는 너비의 절반이다.[1]
첫 체절은 커다란 부속지 수직 쌍 하나를 가지고 있는데, 이 부속지는 몸길이의 약 절반에서 2/3만큼 길다. 15마디의 체절들이 원기둥 줄기를 이룬다. 마디는 바깥면이 편평하며 매우 널찍한 가시 2개가 나 있다.[1]
다른 다리들 – 머리 부위의 방패 아래에 있는 다리 3쌍과 몸통마디의 다리 16쌍 – 은 2개의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원절(basipod)은 길고 사다리꼴이며 가시 숫자가 다른 두 줄이 있다. 외지(exopod)는 노 모양의 지느러미이며, 센털 장식이 테두리에 나 있다. 길이는 내돌기 길이를 2/3 이상 약간 넘어간다.[1]
내장은 때떄로 화석 표본에서 3차원 형태로 잘 보존되어 있는데, 그것은 인화(phosphatization)작용으로 화석화된 덕분이다.
생태
편집키소르토키아는 헤엄을 잘 치는 동물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커다란 노 모양 외지는 수영에 적합했을 것이다. 키이소르토키아의 강건한 부속지로 먹잇감을 사냥하여 가시투성이의 원절을 이용해 입으로 먹이를 가져왔을 것이다.[1]
학명
편집속명은 그린란드어로 포식자 또는 사냥꾼을 뜻한다. 종소명은 시리우스 동물군을 발견하고 그 장소에서 첫 화석을 발굴했던 A. K. 히긴스와 함께 했던 노먼 존 소퍼(norman Jahn (Jack) Soper)를 위한 경의를 표하고자 붙인 것이다.[1]
분포
편집그린란드 북부의 페어리랜드(Peary Land)에 위치한 캄브리아기 전기에 해당하는 시리우스 파셋 라거슈타테 보호구역(Sirius Passet Konservat-Lagerstätte)에서 170점 이상의 화석표본들이 1985년에서 2006년에 이르는 몇 번의 탐사 과정에서 복원되었다. 화석표본들은 보통 어느 정도 완전히 복원되었지만 관절이 없는 화석은 발견이 되지 않았다.[1]
시스템학적 위치
편집키소르토키아는 왕관군 절지동물의 상동성 세 가지를 보유하고 있다.(전방부속지, 다리 3쌍이 난 머리방패, 센털이 테두리에 난 지느러미 모양 외지) 하지만 절지동물 내의 정확한 지위는 눈이 결여되어 있으며 꼬리방패 모양이 모호해 구별이 힘들다. 협각류의 다리와의 가능성 있는 공통파생형질은 순전히 추측 상태에 있다. 이후의 계통 분석은 연구된 나머지 왕관군 절지동물의 자매분류군으로 이 동물의 위치 문제를 해결했다.[2] 이후 연구에서도 중국 청지앙 생물군에서 발견된 부시제이아(학명: Bushizheia)와 형태상 닮아있어 매우 연관이 깊을 것으로 추정하였다.[3] 일부 분석에서는 삼엽충과 근연종이 속해있는 측각류(Artiopoda)와 밀접한 관계과 있다고 추론한다.[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Martin Stein (2010). “A new arthropod from the Early Cambrian of North Greenland, with a 'great appendage'-like antennul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8 (3). doi:10.1111/j.1096-3642.2009.00562.x.
- ↑ Martin Stein & Paul A. Selden (2012). “A restudy of the Burgess Shale (Cambrian) arthropod Emeraldella brocki and reassessment of its affinities”. 《Journal of Systematic Palaeontology》 10 (2): 361–383. doi:10.1080/14772019.2011.566634.
- ↑ O’Flynn, Robert J.; Audo, Denis; Williams, Mark; Zhai, Dayou; Chen, Hong; Liu, Yu (2020년 8월 5일). “A new euarthropod with ‘great appendage’-like frontal head limbs from the Chengjiang Lagerstätte, Southwest China”. 《Palaeontologia Electronica》 (영어) 23 (2): 1–23. doi:10.26879/1069. ISSN 1094-8074.
- ↑ Berks, H. O.; Lunde Nielsen, M.; Flannery‐Sutherland, J.; Thorshøj Nielsen, A.; Park, T.‐Y. S.; Vinther, J. (2023). “A possibly deep branching artiopodan arthropod from the lower Cambrian Sirius Passet Lagerstätte (North Greenland)”. 《Papers in Palaeontology》 9 (3). doi:10.1002/spp2.1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