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화 지방산

지방산 사슬이 단일 결합만으로 구성된 지방산
(포화지방에서 넘어옴)

포화 지방산(飽和脂肪酸, 영어: saturated fatty acid)은 지방산 사슬이 전부 또는 대부분 단일 결합을 가지고 있는 지방산이다. 포화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지방을 포화 지방이라고 한다. 지방글리세롤지방산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지방은 탄소(C) 원자들의 긴 사슬로 만들어진다. 탄소 원자들은 단일 결합(−C−C−)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중 결합(−C=C−)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1] 이중 결합은 수소와 반응하여 단일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두 번째 결합이 끊어지고, 결합의 각 절반이 수소 원자와 결합하기 때문에, 포화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동물성 지방은 포화 지방이다. 식물어류의 지방은 일반적으로 불포화 지방이다.[1] 포화 지방은 불포화 지방보다 녹는점이 더 높으며, 실온에서 보통 고체이다. 반면, 불포화 지방은 실온에서 보통 액체이다. 포화 지방 및 불포화 지방은 둘 다 체온에서 액체이다.

포화 지방산의 대표적인 예인 팔미트산의 입체 구조

지방의 종류에 따라 포화 지방과 불포화 지방의 비율이 다르다. 포화 지방의 함량이 높은 식품의 예로는 크림, 치즈, 버터, 기타 유제품콜레스테롤을 함유한 지방이 많은 육류와 같은 동물성 지방 식품이 있다.[2] 코코넛 기름팜핵유와 같은 포화 지방의 함량이 높은 식물성 지방 식품도 존재한다.[3] 피자, 유제품 디저트, 소시지와 같이 조리된 많은 음식들은 포화 지방의 함량이 높다.[2][4]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한 많은 의료 기구들이 발표한 지침들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많은 리뷰 기사들은 또한 포화 지방이 적은 식단을 권장하며, 이것이 심혈관계 질환,[5] 당뇨병 또는 사망의 위험을 낮춰줄 것이라고 주장한다.[6] 포화 지방과 심혈관계 질환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의학적인 의견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소수의 리뷰들은 이러한 결론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7][8][9]

지방의 개요

편집

포화 지방산은 영양성분표에 표시되지만, 포화 지방산들의 비율은 식품마다 다르다. 라우르산미리스트산은 "열대" 기름(예: 팜핵유, 코코넛 기름) 및 유제품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육류, 계란, 카카오, 견과류의 포화 지방은 주로 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이다.

일반적인 식품의 포화 지방의 개요, 총 지방 중 에스터화된 지방산의 백분율[10]
식품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코코넛 기름 47% 18% 9% 3%
팜핵유 48% 1% 44% 5%
버터 3% 11% 29% 13%
간 쇠고기 0% 4% 26% 15%
연어 0% 1% 29% 3%
계란 노른자위 0% 0.3% 27% 10%
캐슈 2% 1% 10% 7%
콩기름 0% 0% 11% 4%

포화 지방산의 예

편집

포화 지방산의 일반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포화 지방산의 목록
일반명 계통명 구조식 지질 번호
뷰티르산 부탄산 CH3(CH2)2COOH C4:0
발레르산 펜탄산 CH3(CH2)3COOH C5:0
카프로산 헥산산 CH3(CH2)4COOH C6:0
에난트산 헵탄산 CH3(CH2)5COOH C7:0
카프릴산 옥탄산 CH3(CH2)6COOH C8:0
펠라르곤산 노난산 CH3(CH2)7COOH C9:0
카프르산 데칸산 CH3(CH2)8COOH C10:0
운데실산 운데칸산 CH3(CH2)9COOH C11:0
라우르산 도데칸산 CH3(CH2)10COOH C12:0
트라이데실산 트라이데칸산 CH3(CH2)11COOH C13:0
미리스트산 테트라데칸산 CH3(CH2)12COOH C14:0
펜타데실산 펜타데칸산 CH3(CH2)13COOH C15:0
팔미트산 헥사데칸산 CH3(CH2)14COOH C16:0
마르가르산 헵타데칸산 CH3(CH2)15COOH C17:0
스테아르산 옥타데칸산 CH3(CH2)16COOH C18:0
노나데실산 노나데칸산 CH3(CH2)17COOH C19:0
아라키드산 에이코산산 CH3(CH2)18COOH C20:0
헨에이코실산 헨에이코산산 CH3(CH2)19COOH C21:0
베헨산 도코산산 CH3(CH2)20COOH C22:0
트라이코실산 트라이코산산 CH3(CH2)21COOH C23:0
리그노세르산 테트라코산산 CH3(CH2)22COOH C24:0
펜타코실산 펜타코산산 CH3(CH2)23COOH C25:0
세로트산 헥사코산산 CH3(CH2)24COOH C26:0
카보세르산 헵타코산산 CH3(CH2)25COOH C27:0
몬탄산 옥타코산산 CH3(CH2)26COOH C28:0
노나코실산 노나코산산 CH3(CH2)27COOH C29:0
멜리스산 트라이아콘탄산 CH3(CH2)28COOH C30:0
헨트라이아콘틸산 헨트라이아콘탄산 CH3(CH2)29COOH C31:0
라세로산 도트라이아콘탄산 CH3(CH2)30COOH C32:0
프실산 트라이트라이아콘탄산 CH3(CH2)31COOH C33:0
게드산 테트라트라이아콘탄산 CH3(CH2)32COOH C34:0
세로플라스트산 펜타트라이아콘탄산 CH3(CH2)33COOH C35:0
헥사트라이아콘틸산 헥사트라이아콘탄산 CH3(CH2)34COOH C36:0
헵타트라이아콘틸산 헵타트라이아콘탄산 CH3(CH2)35COOH C37:0
옥타트라이아콘틸산 옥타트라이아콘탄산 CH3(CH2)36COOH C38:0
노나트라이아콘틸산 노나트라이아콘탄산 CH3(CH2)37COOH C39:0
테트라콘틸산 테트라콘탄산 CH3(CH2)38COOH C40:0
 
다양한 식품들에서 지방의 조성
음식 포화 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다불포화

지방산

전체 지방 중 질량 백분율(%)
식용유
카놀라유 08 64 28
코코넛기름 87 13 00
옥수수기름 13 24 59
면실유[11] 27 19 54
올리브유[12] 14 73 11
팜핵유[11] 86 12 02
팜유[11] 51 39 10
땅콩기름[13] 17 46 32
겨기름 25 38 37
홍화유, 올레산[14] 06 75 14
홍화유, 리놀레산[11][15] 06 14 75
콩기름 15 24 58
해바라기씨유[16] 11 20 69
겨자기름 11 59 21
유제품
유지방[11] 66 30 04
일반 치즈 64 29 03
저지방 치즈 60 30 00
일반 아이스크림 62 29 04
저지방 아이스크림 62 29 04
전유 62 28 04
우유, 2% 62 30 00
*휘핑 크림[17] 66 26 05
육류
쇠고기 33 38 05
소 등심 38 44 04
돼지 갈비살 35 44 08
35 49 16
닭 가스살 29 34 21
닭고기 34 23 30
칠면조 가슴살 30 20 30
칠면조 다리 32 22 30
생선, 오렌지 러피 23 15 46
연어 28 33 28
핫도그, 소고기 42 48 05
핫도그, 칠면조 28 40 22
햄버거 36 44 06
치즈버거 43 40 07
빵가루 입힌 치킨 샌드위치 20 39 32
구운 치킨 샌드위치 26 42 20
폴리쉬 소시지 37 46 11
칠면조 소시지 28 40 22
소시지 피자 41 32 20
치즈 피자 60 28 05
견과류
볶은 아몬드 09 65 21
볶은 캐슈 20 59 17
볶은 마카다미아 15 79 02
볶은 땅콩 14 50 31
볶은 피칸 08 62 25
아마 08 23 65
참깨 14 38 44
14 22 57
해바라기씨 11 19 66
볶은 호두 09 23 63
과자 및 빵류
캔디, 초콜릿 바 59 33 03
과일맛 캔디 14 44 38
오트밀 건포도 쿠키 22 47 27
초콜릿 칩 쿠키 35 42 18
케이크 60 25 10
데니쉬 페이스트리 50 31 14
식탁에 또는 요리 중에 첨가되는 지방
버터, 스틱 63 29 03
버터, 휘프트 62 29 04
마가린, 스틱 18 39 39
마가린, 통 16 33 49
마가린, 가벼운 통 19 46 33
라드 39 45 11
쇼트닝 25 45 26
닭고기 지방 30 45 21
쇠고기 지방 41 43 03
거위고기 지방[18] 33 55 11
드레싱, 블루 치즈 16 54 25
드레싱, 라이트 이탈리안 14 24 58
기타
계란 노른자 지방[19] 36 44 16
아보카도[20] 16 71 13
표에 특별히 명시되지 않은 경우 참조는 다음과 같다.[21]
* 3%는 트랜스 지방이다.

질병과의 관련성

편집

심혈관계 질환

편집

포화 지방의 섭취,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유행 간에는 강한, 일관된, 등급화된 관계가 존재한다.[6] 이러한 관계는 인과 관계로 받아들여진다.[22][23]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학 학회,[24] 영국 영양학 협회,[25] 미국 심장 협회,[6] 세계 심장 연합,[26] 영국 국민 건강 서비스,[27] 등과 같은 많은 보건 당국들은[28][29] 포화 지방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라고 조언한다. 2015년 5월에 세계보건기구는 포화 지방에서 불포화 지방으로 바꿀 것을 권장하였다.[30]

미국 심장 협회의 무작위 통제 임상시험에 의한 2017년 리뷰에 따르면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단일불포화 지방 및 다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면 혈중 콜레스테롤을 정상 한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스타틴(Statin) 치료에 의해 달성되는 것과 유사하게 심혈관계 질환을 약 30% 줄일 수 있다.[6]

무작위 통제 시험의 또 다른 2017년 리뷰에 따르면 포화 지방을 대부분 n-6 다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는 것이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및 이로 인한 사망률 또는 총 사망률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31]

이는 과거 지방산의 식이 섭취에 대한 관찰 연구, 혈액 내의 측정된 지방산 농도에 대한 관찰 연구, 다불포화 지방 보충에 대한 중재 연구 등을 검토한 2014년의 리뷰에서 '긴 사슬 오메가-3 다불포화 지방산 및 긴 사슬 오메가-6 다불포화 지방산의 많은 소비를 촉진하고 전체 포화 지방산의 섭취를 줄일 것을 제안하는 심혈관계 지침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많은 현대 연구결과가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2015년의 리뷰에서의 '포화 지방 섭취와 심장 질환, 뇌졸중 또는 당뇨병의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단지 관찰 연구만을 했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를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7]는 맥락의 결과에서처럼 최근의 연구결과가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설계함으로써 이전 리뷰를 보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32] 또한 미국 심장 협회는 임상시험과 달리, 이러한 코호트 연구는 포화 지방을 덜 섭취하는 사람들을 위한 대체 주영양소로 탄수화물의 섭취를 통제하기가 더 어렵다고 지적했지만[6] 이후의 최근 연구결과가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을 광범위하고 보다 정밀하게 설계함으로써 이전 리뷰를 보완한 결과들에서 연구자들은 지속적으로 특히 초기에 건강한 사람들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있다. 이러한 리뷰에서 잠재적인 약점으로 인해 전문가들은 사람들이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 현재의 지침을 지킬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33][34] 그러나 최근 연구결과들은 포화지방산의 섭취비율에서 불포화지방산이나 식물성 단백질의 대체비율이 증가했을 때 관상동맥 심장질환을 효율면에서 이를 현저히 개선한다는 보다 포괄적이고 향상된 맥락의 권고를 제안하고 있다.[35][36]

포화지방산 섭취와 관련한 연구결과의 변천
불포화지방산의 국제 권장사항에 대한 글로벌 컨소시엄,2019[37] 주요 불포화 지방산 식이 섭취의 오메가-6 지방산은 심혈관 질환의 높은 위험과의 관련이 없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
미국 심장 협회, 2017[6] 심혈관계 질환(CVD)은 2013년에 전세계 사망자의 31.5%에 해당하는 연간 1,730만명의 사망자를 차지하는 세계 주요 사망 원인이다. 2014년에 미국에서 약 808,000명이 심장 질환, 뇌졸중 및 기타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는 데, 이는 3명 중 1명 꼴이다.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이를 단일 불포화 식물성 기름 및 다중불포화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하면 스타틴 처리에 의한 감소와 유사하게 심혈관계 질환이 약 30% 감소했다.
디니콜안토니오, 2016[38] 많은 증거들은 관상동맥 심장 질환(CHD)에서 병인학적으로 포화 지방산보다 설탕을 더 섭취한 것이 원인이라고 암시하고 있다. 이에 포화 지방을 줄이기 위한 권고에서 벗어나 설탕을 피하기 위한 권고로 방향을 바꿀 것을 촉구한다.
하콤비, 2015[39] 혈장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화 지방을 다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했을 때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및 모든 원인 사망률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데 소우자, 2015[7] 포화 지방은 모든 원인 사망률, 심혈관계 질환, 관상동맥 심장 질환, 허혈성 뇌졸중 또는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없지만, 증거는 방법론적 한계로 여러 다른 종륟ㄹ로 이루어져 있다.
슈바브, 2014[40] 포화 지방을 다불포화 지방으로 부분적으로 대체하면 특히 남성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다.
초두리, 2014[32] 포화 지방 섭취량이 많은 것은 관상동맥 질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증거는 다불포화 지방산의 많은 섭취와 총 포화 지방의 적은 섭취를 장려하는 심혈관계 지침을 명확하게 지지하지 않았다.
후퍼, 2012[41] 식단에서 포화 지방을 줄였을 때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14% 감소시켰지만, 사망률을 낮추진 못했다.
미샤, 2010[42] 사람에 대한 연구의 일관된 증거에 기초하여 포화 지방을 다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면 5%의 에너지 대체에 대해 약 10%의 위험 감소와 함께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을 완만하게 낮춘다. 포화 지방산을 탄수화물로 대체하는 것은 아무런 이점이 없으며, 포화 지방산을 단일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는 것은 불확실한 영향을 미친다.
모자파리안, 2010[43]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포화 지방산 대신에 다불포화 지방산을 섭취하는 것이 무작위 대조 실험에서 관상동맥 심장 질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칼로리의 백분율로 포화 지방산을 다불포화 지방산으로 대체하면 관상동맥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감소한다.
시리-타리노, 2010[44] 347,747명의 피험자들을 5~23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11,006명이 관상동맥 심장 질환 또는 뇌졸중으로 발전했다. 전향적 역학 연구의 메타 분석에 따르면 포화 지방이 관상동맥 심장 질환 또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에 대한 중요한 증거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네이, 2009[45] 적은 양의 다불포화 지방산의 섭취는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성이 1~5% 증가한다.
멘테, 2009[46] 단일 영양소 무작위 대조 시험은 포화 지방산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여부를 아직 평가하지 않았다. 다불포화 지방산의 섭취의 경우, 대부분의 무작위 대조 시험은 충분한 동력을 얻지 못하고 관상동맥 심장 질환의 현저한 감소를 발견하지 못했다.
스키프, 2009[47] 포화 지방산의 섭취는 관상동맥 심장 질환 사망률과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으며 RR은 1.14였다. 다불포화 지방산의 섭취는 관상동맥 심장 질환 사망률과 크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RR은 1.25였다. 건강 전문가들의 후속 연구 및 EUROASPIRE 연구 결과는 총 다불포화 지방산의 결과와 유사했다. 리놀레산의 섭취는 관상동맥 심장 질환과 상당히 관련이 있었다.
야콥센, 2009[48] 협회는 포화 지방산을 단일불포화 지방산 또는 탄수화물보다는 다불포화 지방산으로 대체하는 것이 광범위한 섭취에서 관상동맥 심장 질환을 막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반 호른, 2008[49] 25-35% 지방이지만 7% 이하의 포화 지방산 및 트랜스 지방산은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많은 연구에서 포화 지방 대신에 다불포화 지방을 섭취하는 것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더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6] 또한 단일불포화 지방 또는 탄수화물을 대체하는 것의 효과는 불분명하다[50][51]는 연구 결과 보다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보고에서 불포화 지방산이나 식물성 단백질등으로의 대체비율에서의 섭취량 조절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지지하고있다.

이상지질혈증

편집

포화 지방의 섭취는 일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의 위험 인자로 간주되며, 이는 일부 유형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이기도 하다.[52][53][54][55][56]

비정상적인 혈중 지질 수준, 즉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수치가 높으며,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나쁜"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거나,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좋은"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낮은 것은 모두 심장 질환 및 뇌졸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26]

메타-분석을 통해 포화 지방과 혈장 콜레스테롤 수치 사이에 중요한 관련성을 발견했다.[6][57] 많은 요인들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총 콜레스테롤의 높은 수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58][59]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의 높은 비율과 같은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다른 지표들은 총 혈장 콜레스테롤보다 예측성이 높다.[59] 52개국의 심근 경색에 대한 연구에서 ApoB/ApoA1 (각각 저밀도 지질단백질 및 고밀도 지질단백질과 관련)의 비율은 모든 위험 요소들 중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였다.[60] 심혈관계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수치, 인슐린 저항성, 내피 기능, 혈전생성 등과 관련된 다른 경로들이 있지만 혈중 지질 프로파일이 없으면 알려진 다른 위험 인자들은 약한 죽상동맥경화증의 영향을 나타낸다.[61] 다른 포화 지방산들은 다양한 지질 수준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62]

유방암

편집

2003년에 발표된 메타 분석으로 포화 지방과 유방암 사이의 대조 실험과 코호트 연구에서 유이미한 관련성을 발견했다.[63] 그러나 두 개의 후속 리뷰들은 포화 지방의 섭취와 유방암 발병의 위험이 약하거나 미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으며[64][65] 교란 요인의 유병률에 주목했다.[64][66]

대장암

편집

어떤 리뷰에서는 동물성 지방의 섭취와 대장암 발병률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제한된 증거를 발견했다.[67]

난소암

편집

임상 연구의 메타 분석은 포화 지방을 많이 섭취함으로써 난소암의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68][69]

전립선암

편집

일부 연구자들은 미리스트산,[70][71][72] 팔미트산[71][72]알파-토코페롤 보충제[70]와 결합된 혈장 팔미트산이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전립선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관성은 실제 원인이라기 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이들 지방산의 섭취 또는 대사의 차이로 인한 것일 수 있다.[71]

수집된 증거들은 식단에 포함된 지방의 양과 종류가 뼈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증거들의 대부분은 동물 연구로부터 수집되었다. 어떤 연구의 데이터에 따르면 골밀도는 포화 지방의 섭취와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며, 남성들이 특히 취약할 수 있다.[73]

식이 권장사항

편집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거나 제한하기 위한 권장사항들은 세계보건기구,[74] 미국 심장 협회,[6] 캐나다 보건부,[75] 미국 보건복지부,[76] 영국 국민 건강 서비스,[77]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보건복지부,[78] 싱가포르 건강촉진국,[79] 인도 정부 시민건강포털,[80] 뉴질랜드 보건부,[81] 홍콩 식품안전청[82] 등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3년에 세계보건기구(WHO)와 식량농업기구(FAO)의 전문가 협의 보고서는 포화 지방산의 섭취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83] 기존의 목표는 포화 지방산의 섭취를 일일 에너지 섭취량의 10% 미만, 고위험군의 경우 7%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만약 10% 미만을 섭취하는 경우 섭취량을 늘리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한계 내에서 미리스트산 및 팔미트산이 풍부한 음식의 섭취는 이러한 특정 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음식으로 대체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인구 집단의 에너지 섭취가 불충분할 수 있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높고 체지방 저장량이 작다(BMI <18.5 kg/m2). 지방 공급의 양과 질은 에너지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고려되어야 한다. 코코넛기름팜유와 같은 특정 포화 지방의 공급원들은 저비용으로 에너지를 제공하며 빈곤층에게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 될 수 있다.[83]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04년에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인들은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기 위해 계속 노력할 필요가 있다"라고 언급했다.[84] 또한, 미국 심장 협회의 검토를 통해 협회는 2006년의 권장사항에 따라 포화 지방의 섭취를 총 칼로리의 7% 미만으로 줄이도록 권고했다.[85][86] 이것은 포화 지방의 섭취의 감소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장 질환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한 미국 보건복지부의 결론과 일치한다.[87]

영국국민 건강 서비스는 대다수의 영국인들이 포화 지방을 너무 많이 섭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영국 심장 재단은 또한 사람들에게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도록 권고하고 있다. 사람들은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구매한 식품의 영양성분표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88][89]

2004년의 리뷰에서는 "특정 포화 지방산 섭취의 하한치가 안전한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개인의 생활 양식과 유전적 배경의 차이를 감안한 포화 지방산 섭취의 영향이 향후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권고했다.[90]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학 학회의 2010년 회의 토론에서 포화 지방의 섭취를 낮추기 위한 권고는 건강한 지방과 정제되지 않은 탄수화물의 섭취 증가를 강조하기 보다는 포화 지방의 섭취 감소에 너무 좁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불포화 지방의 섭취를 배제하고 비만 및 심장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정제된 탄수화물로 포화 지방을 대체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표명되었다. 패널들 중 어느 누구도 포화 지방의 과다 섭취를 권장하지 않았으며, 대신 심혈관계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식단의 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91]

미국 심장 협회는 2017년에 문헌 및 임상시험에 대한 종합적인 리뷰에서 포화 지방의 섭취를 줄이거나 단일불포화 지방 및 다불포화 지방이 함유된 식품으로 대체할 것을 권고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30% 줄일 수 있는 식이 조절을 할 것을 발표하였다.[6]

포화 지방산 분자에 대한 설명

편집
 
포화 지방산인 미리스트산의 2차원 구조식
 
포화 지방산인 미리스트산의 공간채움 모형

미리스트산 분자(전체 분자에는 14개의 탄소 원자, 꼬리 부분에는 13개의 탄소 원자가 존재함)의 2차원 그림은 탄소 사슬 꼬리의 각 탄소 원자마다 수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탄소 원자는 두 직선 사이의 교차점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암묵적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포화는 일반적으로 옥텟 규칙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꼬리 부분의 각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수소 원자의 최대 수를 지칭한다. 포화는 또한 꼬리 부분의 탄소 원자들 사이에 단일 결합(시그마 결합)만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Reece, Jane; Campbell, Neil (2002). 《Biology》. San Francisco: Benjamin Cummings. 69–70쪽. ISBN 978-0-8053-6624-2. 
  2. “Saturated fat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4. 2014년 3월 1일에 확인함. 
  3. “What are "oils"?”. ChooseMyPlate.gov,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2015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4. “Top food sources of saturated fat in the US”. Harvard University School of Public Health. 2014. 2014년 3월 1일에 확인함. 
  5. Hooper L, Martin N, Abdelhamid A, Davey Smith G (June 2015). “Reduction in saturated fat intake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6 (6): CD011737. doi:10.1002/14651858.CD011737. PMID 26068959. 
  6. Sacks FM, Lichtenstein AH, Wu JH, Appel LJ, Creager MA, Kris-Etherton PM, Miller M, Rimm EB, Rudel LL, Robinson JG, Stone NJ, Van Horn LV (July 2017). “Dietary Fat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Presidential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36 (3): e1–e23. doi:10.1161/CIR.0000000000000510. PMID 28620111. 
  7. de Souza RJ, Mente A, Maroleanu A, Cozma AI, Ha V, Kishibe T, Uleryk E, Budylowski P, Schünemann H, Beyene J, Anand SS (August 2015). “Intake of saturated and tran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BMJ》 351 (Aug 11): h3978. doi:10.1136/bmj.h3978. PMC 4532752. PMID 26268692. 
  8. Ramsden CE, Zamora D, Leelarthaepin B, Majchrzak-Hong SF, Faurot KR, Suchindran CM, 외. (February 2013). “Use of dietary linoleic acid for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death: evaluation of recovered data from the Sydney Diet Heart Study and updated meta-analysis”. 《BMJ》 346: e8707. doi:10.1136/bmj.e8707. PMC 4688426. PMID 23386268. 
  9. Ramsden CE, Zamora D, Majchrzak-Hong S, Faurot KR, Broste SK, Frantz RP, Davis JM, Ringel A, Suchindran CM, Hibbeln JR (April 2016). “Re-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diet-heart hypothesis: analysis of recovered data from Minnesota Coronary Experiment (1968-73)”. 《BMJ》 353: i1246. doi:10.1136/bmj.i1246. PMC 4836695. PMID 27071971. 
  10.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7. 2016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Anderson D. “Fatty acid composition of fats and oils” (PDF). Colorado Springs: University of Colorado, Department of Chemistry. 2016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8일에 확인함. 
  12. “NDL/FNIC Food Composition Database Home Pag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5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1일에 확인함. 
  13. “Basic Report: 04042, Oil, peanut, salad or cooking”. USDA.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14. “Oil, vegetable safflower, oleic”. 《nutritiondata.com》. Condé Nast. 2019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15. “Oil, vegetable safflower, linoleic”. 《nutritiondata.com》. Condé Nast. 2019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16. “Oil, vegetable, sunflower”. 《nutritiondata.com》. Condé Nast. 2010년 9월 27일에 확인함. 
  17. “USDA Basic Report Cream, fluid, heavy whipping”.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18. “Nutrition And Health”. 《The Goose Fat Information Service》. 2018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19. “Egg, yolk, raw, fresh”. 《nutritiondata.com》. Condé Nast.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20. “09038, Avocados, raw, Californi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4년 8월 14일에 확인함. 
  21. “Feinberg School > Nutrition > Nutrition Fact Sheet: Lipids”. Northwestern University. 201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22. Graham I, Atar D, Borch-Johnsen K, Boysen G, Burell G, Cifkova R, 외. (2007). “European guidelin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executive summary”. 《European Heart Journal》 28 (19): 2375–2414. doi:10.1093/eurheartj/ehm316. PMID 17726041. 
  23. Labarthe D (2011). 〈Chapter 17 What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global challenge》 2판.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ISBN 978-0-7637-4689-6. 
  24. Kris-Etherton PM, Innis S (September 2007).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and Dietitians of Canada: Dietary Fatty Acid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7 (9): 1599–1611 [1603]. doi:10.1016/j.jada.2007.07.024. PMID 17936958. 
  25. “Food Fact Sheet - Cholesterol” (PDF).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26.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World Heart Federation. 2017년 5월 30일. 2012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27. “Lower your cholesterol”. National Health Service.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28. “Nutrition Facts at a Glance - Nutrients: Saturated Fat”.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년 12월 22일.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29.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fats, including saturated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rans fatty acids, and cholesterol”.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0년 3월 25일. 2012년 5월 3일에 확인함. 
  30. “Healthy diet Fact sheet N°394”. May 2015. 2015년 8월 12일에 확인함. 
  31. Hamley S (May 2017). “The effect of replacing saturated fat with mostly n-6 polyunsaturated fat on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Journal》 16 (1): 30. doi:10.1186/s12937-017-0254-5. PMC 5437600. PMID 28526025. 
  32. Chowdhury R, Warnakula S, Kunutsor S, Crowe F, Ward HA, Johnson L, 외. (March 2014). “Association of dietary, circulating, and supplement fatty acids with coronary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60 (6): 398–406. doi:10.7326/M13-1788. PMID 24723079. 
  33. “Saturated fats and heart disease link 'unproven'. 《NHI Choices》. 2014년 3월 18일. 2017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34. “Dietary fat and heart disease study is seriously misleading”. 《The Nutrition Source》 (미국 영어). 2014년 3월 19일. 2018년 12월 10일에 확인함. 
  35. (메디칼업저버-포화지방산 '1%'만 줄여도 심장건강 지킨다)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193
  36. (메디칼업저버 -매일 아몬드 한줌 10년 심혈관 위험 3.5% 낮춰)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08
  37. ( Circulation. 2019 May 21;139(21):2422-2436. Biomarkers of Dietary Omega-6 Fatty Acids and Incident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Matti Marklund , Jason H Y Wu , Fumiaki Imamura 외 다수 PMID: 30971107 PMCID: PMC6582360 DOI: 10.1161/CIRCULATIONAHA.118.038908 ) https://pubmed.ncbi.nlm.nih.gov/30971107/
  38. DiNicolantonio JJ, Lucan SC, O'Keefe JH (March 2016). “The Evidence for Saturated Fat and for Sugar Related to Coronary Heart Disease”.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58 (5): 464–72. doi:10.1016/j.pcad.2015.11.006. PMC 4856550. PMID 26586275. 
  39. Harcombe, Zoë; Baker, Julien S; Cooper, Stephen Mark; Davies, Bruce; Sculthorpe, Nicholas; DiNicolantonio, James J; Grace, Fergal (January 2015). “Evidence from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did not support the introduction of dietary fat guidelines in 1977 and 1983: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en Heart》 2 (1): e000196. doi:10.1136/openhrt-2014-000196. PMC 4316589. PMID 25685363. 
  40. Schwab U, Lauritzen L, Tholstrup T, Haldorssoni T, Riserus U, Uusitupa M, Becker W (2014). “Effect of the amount and type of dietary fat on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ancer: a systematic review”. 《Food & Nutrition Research》 58: 25145. doi:10.3402/fnr.v58.25145. PMC 4095759. PMID 25045347. 
  41. Hooper L, Summerbell CD, Thompson R, Sills D, Roberts FG, Moore HJ, Davey Smith G (May 2012). “Reduced or modified dietary fat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5): CD002137. doi:10.1002/14651858.CD002137.pub3. PMC 6486029. PMID 22592684. 
  42. Micha R, Mozaffarian D (October 2010). “Saturated Fat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and Diabetes: a Fresh Look at the Evidence”. 《Lipids》 45 (10): 893–905. doi:10.1007/s11745-010-3393-4. PMC 2950931. PMID 20354806. 
  43. Mozaffarian D, Micha R, Wallace S (March 2010). “Effects on Coronary Heart Disease of Increasing Polyunsaturated Fat in Place of Saturated Fa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LoS Medicine》 7 (3): e1000252. doi:10.1371/journal.pmed.1000252. PMC 2843598. PMID 20351774. 
  44. Siri-Tarino PW, Sun Q, Hu FB, Krauss RM (2010).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evaluating the association of saturated fat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91 (3): 535–546. doi:10.3945/ajcn.2009.27725. PMC 2824152. PMID 20071648.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45. Danaei G, Ding EL, Mozaffarian D, Taylor B, Rehm J, Murray CJ, Ezzati M (April 2009). “The Preventable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Dietary, Lifestyle, and Metabolic Risk Factors”. 《PLoS Medicine》 6 (4): e1000058. doi:10.1371/journal.pmed.1000058. PMC 2667673. PMID 19399161. 
  46. Mente A, de Koning L, Shannon HS, Anand SS (April 2009).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causal link between dietary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rch. Intern. Med.》 169 (7): 659–69. doi:10.1001/archinternmed.2009.38. PMID 19364995.  Free full-text
  47. Skeaff CM, Miller J (2009). “Dietary fat and coronary heart disease: summary of evidence from prospective cohort a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n. Nutr. Metab.》 55 (1–3): 173–201. doi:10.1159/000229002. PMID 19752542. 
  48. Jakobsen MU, O'Reilly EJ, Heitmann BL, Pereira MA, Bälter K, Fraser GE, Goldbourt U, Hallmans G, Knekt P, Liu S, Pietinen P, Spiegelman D, Stevens J, Virtamo J, Willett WC, Ascherio A (2009). “Major types of dietary fat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pooled analysis of 11 cohort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9 (5): 1425–32. doi:10.3945/ajcn.2008.27124. PMC 2676998. PMID 19211817. 
  49. Van Horn L, McCoin M, Kris-Etherton PM, Burke F, Carson JA, Champagne CM, Karmally W, Sikand G (February 2008). “The evidence for dietar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8 (2): 287–331. doi:10.1016/j.jada.2007.10.050. ISSN 0002-8223. PMID 18237578. 
  50. Astrup A, Dyerberg J, Elwood P, Hermansen K, Hu FB, Jakobsen MU, Kok FJ, Krauss RM, Lecerf JM, LeGrand P, Nestel P, Risérus U, Sanders T, Sinclair A, Stender S, Tholstrup T, Willett WC (April 2011). “The role of reducing intakes of saturated fat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where does the evidence stand in 2010?”. 《Am. J. Clin. Nutr.》 93 (4): 684–8. doi:10.3945/ajcn.110.004622. PMC 3138219. PMID 21270379. 
  51. Jebb SA, Lovegrove JA, Griffin BA, Frost GS, Moore CS, Chatfield MD, Bluck LJ, Williams CM, Sanders TA (October 2010). “Effect of changing the amount and type of fat and carbohydrate on insulin sensitivity and cardiovascular risk: the RISCK (Reading, Imperial, Surrey, Cambridge, and Kings) trial”. 《Am. J. Clin. Nutr.》 92 (4): 748–58. doi:10.3945/ajcn.2009.29096. PMC 3594881. PMID 20739418. 
  52. Faculty of Public Health of the Royal Colleges of Physicians of the United Kingdom. Position Statement on Fat [Retrieved 2011-01-25].
  53.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2003).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년 3월 11일에 확인함. 
  54. “Cholesterol”. Irish Heart Foundation.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55.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cember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PDF) 7판.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8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56. Cannon C, O'Gara P (2007). 《Critical Pathways in Cardiovascular Medicine》 2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43쪽. 
  57. Clarke R, Frost C, Collins R, Appleby P, Peto R (1997). “Dietary lipids and blood cholesterol: quantitative meta-analysis of metabolic ward studies”. 《BMJ (Clinical Research Ed.)》 314 (7074): 112–7. doi:10.1136/bmj.314.7074.112. PMC 2125600. PMID 9006469. 
  58. Bucher HC, Griffith LE, Guyatt GH (February 1999). “Systematic review on the risk and benefit of different cholesterol-lowering interventions”.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19 (2): 187–195. doi:10.1161/01.atv.19.2.187. PMID 9974397. 
  59. Lewington S, Whitlock G, Clarke R, Sherliker P, Emberson J, Halsey J, Qizilbash N, Peto R, Collins R (December 2007). “Blood cholesterol and vascular mortality by age, sex, and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61 prospective studies with 55,000 vascular deaths”. 《Lancet》 370 (9602): 1829–39. doi:10.1016/S0140-6736(07)61778-4. PMID 18061058. 
  60. Labarthe D (2011). 〈Chapter 11 Adverse Blood Lipid Profil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global challenge》 2판.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90쪽. ISBN 978-0-7637-4689-6. 
  61. Labarthe D (2011). 〈Chapter 11 Adverse Blood Lipid Profil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global challenge》 2판.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77쪽. ISBN 978-0-7637-4689-6. 
  62. Thijssen MA, Mensink RP (2005). 〈Fatty acids and atherosclerotic risk〉. 《Atherosclerosis: Diet and Drugs》. Hand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70. Springer. 165–94쪽. doi:10.1007/3-540-27661-0_5. ISBN 978-3-540-22569-0. PMID 16596799. 
  63. Boyd NF, Stone J, Vogt KN, Connelly BS, Martin LJ, Minkin S (November 2003). “Dietary fat and breast cancer risk revisited: a meta-analysis of the published literature”. 《British Journal of Cancer》 89 (9): 1672–1685. doi:10.1038/sj.bjc.6601314. PMC 2394401. PMID 14583769. 
  64. Hanf V, Gonder U (2005년 12월 1일). “Nutrition and primary prevention of breast cancer: foods, nutrients and breast cancer risk.”.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23 (2): 139–149. doi:10.1016/j.ejogrb.2005.05.011. PMID 16316809. 
  65. Lof M, Weiderpass E (February 2009). “Impact of diet on breast cancer risk.”.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21 (1): 80–85. doi:10.1097/GCO.0b013e32831d7f22. PMID 19125007. 
  66. Freedman LS, Kipnis V, Schatzkin A, Potischman N (Mar–Apr 2008). “Methods of Epidemiology: Evaluating the Fat–Breast Cancer Hypothesis – Comparing Dietary Instruments and Other Developments”. 《Cancer Journal (Sudbury, Mass.)》 14 (2): 69–74. doi:10.1097/PPO.0b013e31816a5e02. PMC 2496993. PMID 18391610. 
  67. Lin OS (2009). 《Acquired risk factors for colorectal cancer》. 《Methods Mol Biol》.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472. 361–72쪽. doi:10.1007/978-1-60327-492-0_16. ISBN 978-1-60327-491-3. PMID 19107442. 
  68. Huncharek M, Kupelnick B (2001). “Dietary fat intake and risk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a meta-analysis of 6,689 subjects from 8 observational studies”. 《Nutrition and Cancer》 40 (2): 87–91. doi:10.1207/S15327914NC402_2. PMID 11962260. 
  69. Qiu W, Lu H, Qi Y, Wang X (June 2016). “Dietary fat intake and ovarian cancer risk: a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al studies”. 《Onco_target》 7 (24): 37390–37406. doi:10.18632/onco_target.8940. PMC 5095084. PMID 27119509. 
  70. Männistö S, Pietinen P, Virtanen MJ, Salminen I, Albanes D, Giovannucci E, Virtamo J (December 2003). “Fatty acids and risk of prostate cancer in a nested case-control study in male smoker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2 (12): 1422–8. PMID 14693732. 
  71. Crowe FL, Allen NE, Appleby PN, Overvad K, Aardestrup IV, Johnsen NF, Tjønneland A, Linseisen J, Kaaks R, Boeing H, Kröger J, Trichopoulou A, Zavitsanou A, Trichopoulos D, Sacerdote C, Palli D, Tumino R, Agnoli C, Kiemeney LA, Bueno-de-Mesquita HB, Chirlaque MD, Ardanaz E, Larrañaga N, Quirós JR, Sánchez MJ, González CA, Stattin P, Hallmans G, Bingham S, Khaw KT, Rinaldi S, Slimani N, Jenab M, Riboli E, Key TJ (November 2008).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s and risk of prostate cancer in a case-control analysis nested with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8 (5): 1353–63. doi:10.3945/ajcn.2008.26369 (년 이후로 접속 불가 2019-08-20). PMID 18996872. 
  72. Kurahashi N, Inoue M, Iwasaki M, Sasazuki S, Tsugane AS (April 2008). “Dairy product, saturated fatty acid, and calcium intake and prostate cancer in a prospective cohort of Japanese me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7 (4): 930–7. doi:10.1158/1055-9965.EPI-07-2681. PMID 18398033. 
  73. Corwin RL, Hartman TJ, Maczuga SA, Graubard BI (2006). “Dietary saturated fat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bone density in humans: Analysis of NHANES III”. 《The Journal of Nutrition》 136 (1): 159–165. doi:10.1093/jn/136.1.159. PMID 16365076. 
  74. see the article Food pyramid (nutrition) for more information.
  75. “Choosing foods with healthy fats”. Health Canada.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76. “Cut Down on Saturated Fats” (PD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77. “Fat: the facts”. United Kingdom's National Health Service.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78. “Fat”. Australia's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and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201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79. “Getting the Fats Right!”. Singapore's Ministry of Health.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80. “Health Diet”. India's Ministry of Health and Family Welfare. 2016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81. “Eating and Activity Guidelines for New Zealand Adults” (PDF). New Zealand's Ministry of Health. 2016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82. “Know More about Fat”. Hong Kong's Department of Health. 2018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83.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2003).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81–94쪽. ISBN 978-92-4-120916-8. 2016년 4월 4일에 확인함. 
  84. “Trends in Intak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at, and Saturated Fat — United States, 1971–200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04. 200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5. Lichtenstein AH, Appel LJ, Brands M, Carnethon M, Daniels S, Franch HA, Franklin B, Kris-Etherton P, Harris WS, Howard B, Karanja N, Lefevre M, Rudel L, Sacks F, Van Horn L, Winston M, Wylie-Rosett J (July 2006). “Diet and lifestyle recommendations revision 2006: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Circulation》 114 (1): 82–96. doi:10.1161/CIRCULATIONAHA.106.176158. PMID 16785338. 
  86. Smith SC, Jackson R, Pearson TA, Fuster V, Yusuf S, Faergeman O, Wood DA, Alderman M, Horgan J, Home P, Hunn M, Grundy SM (June 2004). “Principles for national and regional guidelin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World Heart and Stroke Forum” (PDF). 《Circulation》 109 (25): 3112–21. doi:10.1161/01.CIR.0000133427.35111.67. PMID 15226228. 
  87.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PD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5. 
  88. Eat less saturated fat
  89. Fats explained
  90. German JB, Dillard CJ (September 2004). “Saturated fats: what dietary intak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0 (3): 550–559. doi:10.1093/ajcn/80.3.550. PMID 15321792. 
  91. Zelman K (2011). “The Great Fat Debate: A Closer Look at the Controversy—Questioning the Validity of Age-Old Dietary Guidanc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1 (5): 655–658. doi:10.1016/j.jada.2011.03.026. PMID 21515106. 

더 읽을거리

편집
  NODES
admin 1
Association 12
chat 2
INTERN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