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산염

폼산의 짝염기

폼산염(영어: formate)은 폼산짝염기이다. 포름산염이라고도 하며, IUPAC 이름은 메탄산염(영어: methanoate)이다. 폼산염은 포름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HCO
2
) 또는 그 유도체를 말한다. 폼산염의 에스터는 일반적으로 무색이다.[1]

폼산염
Stereo skeletal formula of formate
Aromatic ball and stick model of formate
Aromatic ball and stick model of formate
Space-filling model of formate
Space-filling model of formate
이름
우선명 (PIN)
formate
체계명
methanoate
별칭
formylate,
methylate,
isocarbonite,
carbonite(1-),
hydrogencarboxylate,
metacarbonoate,
oxocarbinate,
oxomethyl oxide ion,
oxomethox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MeSH Formates
UNII
  • O=C[O-]
성질
HCOO
or HCO
2
몰 질량 45.017 g mol−1
짝산 폼산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기초

편집

물에 용해되면 폼산은 폼산염으로 변환된다.

HCO
2
H → HCO
2
+ H+

폼산염은 평면상의 음이온이다. 폼산염에 존재하는 두 개의 산소 원자는 서로 동등하며 부분적으로 음전하를 띤다. 나머지 C-H 결합은 산성이 아니다.

생화학

편집
 

폼산염은 유기 시스템에서의 일반적인 C-1 공급원으로, 콜린, 세린, 사르코신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구체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일부 핵산의 생합성 과정에서 C-1의 공급원이다. 폼산염(또는 폼산)은 일부 스테롤탈메틸화에서 이탈기로 사용된다.[2] 이러한 전환은 O2산화제로 사용하는 아로마타제 효소에 의해 촉매된다. 이러한 특정 전환의 예로는 테스토스테론에서 에스트라디올로, 안드로스텐디온에서 에스트론으로의 전환이 있다.[3]

폼산염은 Desulfovibrio gigas폼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가역적으로 산화된다.[4]

HCO
2
→ CO
2
+ H+
+ 2 e

폼산염 에스테르

편집

폼산염 에스테르는 HCOOR라는 화학식을 가지고 있는데(또 다른 표기 방법으로 ROC(O)H 또는 RO2CH가 있다), 이중 다수는 알코올이 폼산에 용해될 때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가장 중요한 폼산염 에스테르는 메틸 폼산염으로 폼산이 생성되는 도중에 중간생성물로 생성된다. 메탄올일산화 탄소는 나트륨 메톡사이드와 같은 강염기 존재 하에서 반응한다.[1]

CH
3
OH + CO → HCOOCH
3

메틸 폼산염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폼산과 메탄올이 생성된다.

HCOOCH
3
→ HCOOH + CH
3
OH

폼산은 산업계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폼산염 에스터는 종종 향이 나거나 특유의 냄새가 난다. 보다 일반적인 다른 아세테이트 에스터에 비해 폼산염 에스터는 덜 안정적이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5] 에틸 포메이트는 일부 과자류에서 발견된다.[1]

폼산염의 염

편집

폼산염의 염은 M(O2CH)(H2O)x 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염은 탈카복실화되기 쉽다. 예를 들어, 수화된 폼산 니켈은 약 200°C에서 탈카복실화되어 Ni2+가 미세한 분말 니켈 금속으로 환원된다.

Ni(HCO
2
)
2
(H
2
O)
2
→ Ni + 2 CO
2
+ 2 H
2
O + H
2

이러한 미세 분말은 수소화 촉매로서 유용하다.[1]

 
구리(II) 포름산염 수화물

각주

편집
  1. Werner Reutemann and Heinz Kieczka "Formic Acid"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2, Wiley-VCH, Weinheim. doi 10.1002/14356007.a12_013
  2. Pietzke, Matthias; Meiser, Johannes; Vazquez, Alexei (2020). “Formate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Molecular Metabolism》 33: 23–37. doi:10.1016/j.molmet.2019.05.012. PMC 7056922. PMID 31402327. 
  3. Lephart, E. D. (1996). “A Review of Brain Aromatase Cytochrome P450”. 《Brain Res. Rev.》 22 (1): 1–26. doi:10.1016/0165-0173(96)00002-1. PMID 8871783. 
  4. T. Reda, C. M. Plugge, N. J. Abram and J. Hirst, "Reversible interconversion of carbon dioxide and formate by an electroactive enzyme", PNAS 2008 105, 10654–10658. doi 10.1073/pnas.0801290105
  5. Johannes Panten and Horst Surburg "Flavors and Fragrances, 2. Aliphatic Compoun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15, Wiley-VCH, Weinheim.doi 10.1002/14356007.t11_t01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