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복(일본어: 割腹 (かっぷく)·切腹 (せっぷく)·腹切り (はらきり)·屠腹 (とふく) 갓푸쿠·셋푸쿠·하라키리·도후쿠[*])은 10세기 이후 무로마치 시대부터 일본무사 계급인 사무라이들이 사용한 자살 방법이다. 17세기 이후에는 무사의 명예를 존중한 사형제도로서 형식을 갖추게 된다. 할복 때 무사는 미리 정해 놓은 규칙(배의 가운데의 복부를 깊이 가르고 다시 L자로 긋는다)에 따라 그들의 복부를 깊게 가르며, 보조자(가이샤쿠)가 뒤에서 무사의 머리를 베어준다. 이 때 할복자의 신분에 따라 보조자의 예식이 다르다고 한다. 참고로, 무로마치 시대 이전에 할복 문화가 없었을 때에는 물에 뛰어들어 입수 형태로 죽는 경우가 많았었다.

또한 다이묘에게 충성을 표시하거나 숭고한 목적을 위해서도 행해졌으며 전쟁이 끝난 이후 패배한 세력의 수장 역시 패배를 인정하는 의미에서 할복을 시행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배려 덕에 모리 데루모토, 우키타 히데이에, 우에스기 가게카쓰 등이 유일하게 할복을 모면하고 영지삭감으로 일단락지어졌으며 이를 제외하면 일본의 모든 역사를 통틀어 패배한 다이묘는 무조건 할복했다.

니토베 이나조는 <무사도>에서 할복의 이유를 '복부에 인간의 영혼과 애정이 깃들어 있다는 고대의 해부학적인 신앙에서 용사의 배를 갈라 무사도를 지키는 자결방법으로 적절히 여겨졌다' 고 기술하였다.

할복 제도는 1873년 (메이지6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긴 했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에도 군인과 우익 인사 사이에서 할복 자살은 계속되었다. 메이지 천황의 죽음에 노기 마레스케 육군대장의 자결과 1945년 8월 25일 도쿄 요요기 연병장에서 14인의 할복, 1970년 우익작가 미시마 유키오육상 자위대에서 연설 후 할복자살한 사건 등이 있다. 할복은 제도적으로는 없어졌지만 무인다운 명예로운 자살이라는 사상은 아직도 남아있다.

같이 보기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NODES
Don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