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加髢) 혹은 다리, 다래는 일종의 가발로, 근대 이전 한국의 여성들이 사용하였다.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여성들과 기생들이 가체를 사용하였다. 서양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여성들도 더 크고 무거운 가발이 더 아름답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상황이 심해지자 1788년 조선 정조는 왕명으로 가체의 사용을 금지하였다(가체 대신 족두리를 쓰라고 했다, 머리를꾸미고 싶으면.). 당시의 가체는 그 길이가 무려 1척(30.3 cm)에 이를 정도였다.[1]

가체는 얹은머리형태로 양반층만이 아니라 일반 서민층 부녀자에게도 크게 유행했으며 좋은 다래로 땋은 머리 를 틀어서 얹은 가체를 행사나 명절에 한번씩 사용하는 것을 큰 자랑이어서 일부 가정에는 재정적 부담이 과중해지는 결과가 일어나기도 했다.[2] 이에 따라 당시에는 부녀자의 가체를 통해 그 집안의 경제 사정을 가늠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그 가체의 무게 때문에 시집오는 처녀가 혼례 중에 혼절하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국가 주요 행사시에 왕의 가족들이 착용할 가체제작에 필요한 머리카락을 각종 공출을 통해 강제 수집하는 등[3] 백성의 불만을 초래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19세기 들어 양반 계급의 여성들은 족두리를 쓰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가체의 대용품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기생들은 계속해서 가체를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 장식을 포함한 가체의 무게는 보통 3~4kg정도이다.

가체를 한 머리형을 가체머리 혹은 얹은 머리라고 불렀으며 현대에 와서는 사극에 출현하는 배우들이 가체의 무게에 따른 고통을 토로하기도 한다.[4][5][6]

가체의 종류

편집

여러 나라의 가체

편집

중국

편집

초기 가체는 머리카락을 자연스럽게 연장하거나 부피를 증가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는 그 형태와 기능이 더욱 정교하고 화려해졌습니다.이렇게 변화된 가체는 상류층과 궁중 여성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습니다. 가체의 크기와 장식이 여성의 우아함과 권위, 그리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 종류
  1. 단순 가체 :머리를 자연스럽게 연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가체로, 머리의 길이와 풍성함을 강조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2. 량바오투 :청나라 여성들이 즐겨 착용했던 가체로, 두 개의 큰 머리뭉치가 머리 양옆으로 나뉘어져 있는 독특한 형태입니다. 이는 만주족 여성들이 많이 사용했으며, 명나라의 가체와는 다른 심플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3. 양파두 :중국 청나라 때에 황후, 후궁, 공주, 궁녀, 입궐하는 여인 등이 황궁 안에서 착용하던 머리장식입니다. 일명 기두(旗頭)라고도 하며, 신분에 따라 장식에 다는 꽃의 색깔 등이 달랐습니다.
 
양파두를 착용한 황족 여인
  • 사회적 의의: 중국에서 가체는 단순한 머리 장식 이상의 의미를 지녔습니다. 가체는 착용자의 신분과 부를 상징했으며, 그 화려함은 그들의 권력과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특히 궁중 여성들에게는 가체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가체 착용이 필수였습니다.

가체 사진

편집

민화에 나타난 가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김지영, 《규방공예》, 컬처라인, 32쪽
  2. 대한모발학회, 《모난 사람이 되자》, 무한, 2008년, 257쪽
  3. 정철순, 《성격분장》, 광문사, 2009년, 212쪽
  4. '선덕여왕' 이요원 "20kg 가체, 가장 견디기 힘들어" 아이뉴스 2009-11-24
  5. 이윤지 “사극 촬영하다 가체 쓰고 대학 시험봤다" 뉴스엔 2009-10-24
  6. 하지원, "'황진이' 가체, '첫경험' 표시예요" 마이데일리 2006-09-22

외부 링크

편집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