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비단뱀
공비단뱀(Ball python)은 볼파이톤, 볼비단구렁이라고도 불리는 비단뱀과에 속하는 큰 뱀의 일종이다. 이 종은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초원, 관목 지대, 탁 트인 숲에서 서식한다. 이 뱀은 광범위한 분포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 최소관심종로 등재되어 있고, 고기와 국제 애완동물 무역을 위해 사냥을 함으로써 위협을 받고 있다.[2] 이 비독성 수축체는 아프리카비단뱀 중 가장 작고, 최대 길이 182cm까지 자란다.[3] "공비단뱀"이라는 이름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겁에 질렸을 때 공 모양으로 말려드는 경향을 말한다.[4]
공비단뱀 | |
---|---|
공비단뱀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과: | 비단뱀과 |
속: | 비단뱀속 |
종: | 공비단뱀 (P. regius) |
학명 | |
Python regius | |
Shaw, 1802 | |
공비단뱀의 분포 | |
공비단뱀의 분포 (연두색) | |
보전상태 | |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
설명
편집공비단뱀은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으로 뒷면과 옆면에 연한 갈색 얼룩이 있고, 흰색이나 크림색 배에는 검은 자국이 흩어져 있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머리와 부드러운 비늘을 가진 땅딸막한 뱀이다.[4] 성인의 최대 길이는 182cm에 이른다. 수컷은 보통 8~10개의 아궁이 음계를 측정하고 암컷은 보통 2~4개의 아궁이 음계를 측정한다.[5] 암컷은 평균 주둥이부터 배까지 길이가 116.2cm, 44.3mm, 꼬리 길이는 8.7cm, 몸무게는 1.635kg에 이른다. 수컷은 주둥이에서 배까지 평균 길이가 111.3cm, 턱이 43.6mm, 꼬리가 8.6cm, 몸무게가 1.561kg로 더 작다.[6] 남녀 모두 환기구 양쪽에 골반 박동이 있다. 짝짓기를 하는 동안 수컷은 암컷을 잡기 위해 이 박차를 사용한다.[7] 수컷은 박동이 더 큰 경향이 있으며, 성관계는 수컷 헤미페니스를 수동으로 변형하거나 반전된 헤미페니스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총배설강에 탐침을 삽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8]
분포 및 서식지
편집공비단뱀은 세네갈, 말리,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 가나, 베냉, 나이지리아를 거쳐 카메룬, 차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거쳐 수단과 우간다에 이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자생한다.[2] 초원, 사바나, 드문드문 숲이 우거진 곳을 선호한다.[4]
행동 및 생태
편집이 지상종은 머리와 목을 가운데로 집어넣고 위협을 받으면 팽팽한 공 모양으로 꼬여 나가는 방어 전략으로 유명하다. 이 상태에서는 말 그대로 굴러다닐 수 있다. 즐겨 찾는 은신처로는 포유류의 굴과 지하 은신처 등이 있으며, 이 곳에서도 서식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비교적 작은 몸집과 차분한 성격으로 다루기 쉬워 좋은 애완 동물로 여겨진다.[4] 수컷은 반인륜적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반면 암컷은 육지적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9]
각주
편집- ↑ 국가생물다양성센터. “Python regius (Shaw, 1802) 볼파이톤”.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 가 나 Auliya, M.; Schmitz, A. (2010). “Python regi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0: e.T177562A7457411. doi:10.2305/IUCN.UK.2010-4.RLTS.T177562A7457411.en. 2018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McDiarmid, R. W.; Campbell, J. A.; Touré, T. (1999). 《Snake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1. Washington, DC: Herpetologists' League. ISBN 1-893777-00-6.
- ↑ 가 나 다 라 Mehrtens, J. M. (1987). 〈Ball Python, Royal Python (Python regius)〉. 《Living Snakes of the World in Color》. New York: Sterling Publishers. 62–쪽. ISBN 080696460X.
- ↑ Barker, D. G.; Barker, T. M. (2006). 《Ball Pythons: The History, Natural History, Care and Breeding》. Pythons of the World 2. Boerne, TX: VPI Library. ISBN 0-9785411-0-3.
- ↑ Aubret, F.; Bonnet, X.; Harris, M.; Maumelat, S. (2005). “Sex Differences in Body Size and Ectoparasite Load in the Ball Python, Python regius”. 《Journal of Herpetology》 39 (2): 315–320. doi:10.1670/111-02N. JSTOR 4092910. S2CID 86230972.
- ↑ Rizzo, J. M. (2014). “Captive care and husbandry of ball pythons (Python regius)”. 《Journal of Herpetological Medicine and Surgery》 24 (1): 48–52. doi:10.5818/1529-9651-24.1.48. S2CID 162806864.
- ↑ McCurley, K. (2005). 《The Complete Ball Python: A Comprehensive Guide to Care, Breeding and Genetic Mutations》. ECO & Serpent's Tale Natural History Books. ISBN 978-097-131-9.
- ↑ Luiselli, L.; Angelici, F. M. (1998). “Sexual size dimorphism and natural history traits are correlated with intersexual dietary divergence in royal pythons (Python regius) from the rainforests of southeastern Nigeria”. 《Italian Journal of Zoology》 65 (2): 183–185. doi:10.1080/11250009809386744.
외부 링크
편집- “Python regius”. 미국 통합 분류학 정보 시스템(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 Python regius - Reptarium.cz Reptile Database. 12 September 2007에 확인함.
- Krishnasamy, Vikram; Stevenson, L.; Koski, L.; Kellis, M.; Schroeder, B.; Sundararajan, M.; Ladd-Wilson, S.; Sampsel, A.; Mannell, M.; Classon, A.; Wagner, D.; Hise, K.; Carleton, H.; Trees, E.; Schlater, L.; Lantz, K.; Nichols, M. (2018). “Exposure to Salmonella”.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7 (19): 562–563. doi:10.15585/mmwr.mm6719a7. PMC 6048943. PMID 2977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