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크씨슬(milk thistle), 또는 흰무늬엉겅퀴(학명Silybum marianum)은 엉겅퀴류의 한 종이다. 국화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식물 또는 두해살이 식물로 분류된다. 전형적인 엉겅퀴의 특징인 붉은색에서 보라색 계열의 꽃과, 하얀 잎맥이 있는 반짝이는 옅은 녹색 잎이 있다. 남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나 현재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밀크씨슬
밀크씨슬의 꽃봉우리
밀크씨슬의 꽃봉우리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국화과

학명이명
이명 목록
  • Silybum marianum (L.) Gaertn.

묘사

편집
 
그림

밀크씨슬은 직립형 초본으로 키가 30 ~ 200cm까지 자랄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뿔 모양을 하고 있다.[1] 뿌리가 퍼져나가는 영역은 최대 160cm이다. 줄기는 홈이 파여 있고 가벼운 솜털로 덮여 있곤 하다.[2] 현재까지 수집된 가장 큰 표본은 줄기의 속이 비어있었다.

잎은 길게 늘린 직사각형 형태로, 15에서 60cm 길이의 우상 잎인데 다른 엉겅퀴들과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가시가 돋아있다.[1] 솜털은 없으며, 우윳빛 잎맥이 있는 반짝이는 녹색 잎이다.[1]

꽃차례는 길이가 4~12cm이고 폭이 넓으며, 빨강-보라색이다. 꽃차례는 북반구에서는 6~8월에, 남반구에서는 12~2월에 핀다.[2] 꽃차례는 털이 없는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삼각형의 가시가 나 있다.

열매는 긴 흰색 깃털이 달린 검은색 수과로, 노란 고리모양의 띠가 바닥에 그려져있는 것이 특징이다.[3][1] 깃털은 민들레와 마찬가지로 낙하산의 역할을 하여 바람에 날려 멀리 흩뿌려질 수 있게끔 한다.[4]

분포

편집

지중해 전역에 분포하며 유럽, 중앙아시아, 인도에서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에티오피아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5] 북아메리카, 태평양 군도, 콜롬비아 등에서도 외래종으로서 유입되었다.[2][6][7]

볕이 들고 따뜻한 초원에서 자라는데, 잡석들 사이에서도 자랄 수 있다. 건물의 외벽이나 연석 사이, 보도블럭 사이 등에서도 자주 관찰되나 건조하고 돌이 많은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8][9] 화마가 훑고 지나간 지역에서도 관찰되는데 생태계 복원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0][11][12]

화학

편집
 
Silibinin

시중에서 유통되는 밀크씨슬 추출물은 씨앗에서 추출한 것이다. 씨앗은 65~80%의 실리마린, 20~35%의 지방산(리놀레산 등)으로 구성되어있다.[13] 실리마린은 폴리페놀계 화합물로, 일곱 종류의 플라보노리그난과 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를 가지고 있다.[13] 특히 이들 중 실리비닌간장약으로 사용된다.[13][14]

각주

편집
  1.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편집.). Silybum marianum.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FNA)》. New York and Oxford – eFloras.org, 미주리 식물원,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경유. 
  2. 《Flora of Australia Volume 37 : Asteraceae.》. Melbourne: CSIRO Publishing. 2015. ISBN 9781486304158.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3. Rose, Francis (1981). 《The Wild Flower Key》. Frederick Warne. 388–9쪽. ISBN 978-0-7232-2419-8. 
  4. “Milk Thistle”. 《www.fviss.ca》. Fraser Valley Invasive Species Society. 2021년 1월 24일에 확인함. 
  5. Silybum marianum (L.) Gaertn..”.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6. Bernal; Gradstein; Celis (2019). 《Catálogo de plantas y líquenes de Colombia》. Bogotá: Instituto de Ciencias Naturales, 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2016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1월 16일에 확인함. 
  7. “Silybum marianum”. 《plantpono》.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8. “Silybum marianum // Mariendistel”. 《galasearch.de》. 
  9. Oberdorfer, Erich (c. 2001). 《Pflanzensoziologische Exkursionsflora für Deutschland und angrenzende Gebiete》 8.,ark überarb. u erg. Aufl판. Stuttgart. 967쪽. ISBN 3-8001-3131-5. OCLC 50980051. 
  10. Lambert, Adam; D'antonio, Carla; Dudley, Tom (2010). “Invasive species and fire in California ecosystems”. 《Fremontia》 38 (2): 29–36. CiteSeerX 10.1.1.468.2022. 
  11. Knapp, John (2010). “CATALINA ISLAND'S INVASIVE PLANT MANAGEMENT PROGRAM, WITH AN EMPHASIS ON INVASION AND PROTECTION OF OAK ECOSYSTEMS” (PDF). 《Catalina Island Conservancy》. Proceedings of an on-island workshop, February 2–4, 2007: 35–46. 2022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12. Bean, Caitiln. “ELEMENT STEWARDSHIP ABSTRACT for Silybum marianum” (PDF). The Nature Conservancy. 2020년 8월 9일에 확인함. 
  13. Kroll, D. J.; Shaw, H. S.; Oberlies, N. H. (2007). “Milk Thistle Nomenclature: Why It Matters in Cancer Research and Pharmacokinetic Studies”.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6 (2): 110–9. doi:10.1177/1534735407301825. PMID 17548790. 
  14. Hogan, Fawn S.; Krishnegowda, Naveen K.; Mikhailova, Margarita; Kahlenberg, Morton S. (2007). “Flavonoid, Silibinin, Inhibits Proliferation and Promotes Cell-Cycle Arrest of Human Colon Cancer”.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143 (1): 58–65. doi:10.1016/j.jss.2007.03.080. PMID 17950073. 

외부 링크

편집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