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텝긴털족제비
스텝긴털족제비(Mustela eversmanii)는 중부 유럽괴 동부 유럽 그리고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족제비과 동물의 일종이다.[2] 여러 보호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고, 서식지 변동에 대해 어느 정도 내성을 갖고 있으며,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Species)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아주 연한 노란색을 띠고 다리쪽과 얼굴 부분은 어두운 색을 보인다.[3] 근연종 긴털족제비와 비교하여, 스텝긴털족제비가 더 크며, 더 튼튼한 두개골 골격을 갖고 있다.[4] 스텝긴털족제비는 먹이, 주로 땅다람쥐류가 절멸될 때까지는 일반적으로 한 지역에 정착하는 유목 동물의 일종이다.[5] 3월과 5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고, 보통 한 번에 3~6 마리의 새끼를 낳아 기르고, 완전히 성장하는 데 2년 정도 걸린다.[6] 우는토끼류와 마멋류 등과 같은 큰 먹이를 사냥한다.[7]
스텝긴털족제비 | ||
---|---|---|
스텝긴털족제비 박제 밀랍 표본(체코 돌니 네므치)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아목: | 개아목 | |
과: | 족제비과 | |
아과: | 족제비아과 | |
속: | 족제비속 | |
종: | 스텝긴털족제비 (M. eversmanii) | |
학명 | ||
Mustela eversmanii | ||
(Lesson, 1827) | ||
아종 | ||
| ||
스텝긴털족제비의 분포 | ||
스텝긴털족제비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아종
편집7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8] 베링 육교 지역에서 서식했던 베링스텝긴털족제비(M. e. beringiae)와 현존하는 가장 큰 스텝긴털족제비인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보다 더 컸던 M. e. michnoi 등 멸종한 아종은 제외했다.[9]
- 페트로파블로프스텝긴털족제비 (M. e. eversmanii)
- 중국스텝긴털족제비 (M. e. admirata)
- 아무르스텝긴털족제비 (M. e. amurensis
- 유럽스텝긴털족제비 (M. e. hungarica)
- 티베트스텝긴털족제비 (M. e. larvatus)
-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 (M. e. michnoi)
- 투르키스탄스텝긴털족제비 (M. e. talassicus)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10]
족제비아과 |
| ||||||||||||||||||||||||||||||||||||||||||||||||||||||||||||||||||||||||||||||||||||||||||
각주
편집- ↑ 가 나 “Mustela eversmann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 ↑ Heptner & Sludskii 2002, 1136–1137쪽
- ↑ Heptner & Sludskii 2002, 1143쪽
- ↑ Heptner & Sludskii 2002, 1169–1170쪽
- ↑ Heptner & Sludskii 2002, 1172–1173쪽
- ↑ Heptner & Sludskii 2002, 1166–1167쪽
- ↑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Kurtén, Björn (1980). “Pleistocene mammals of North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03733-3.
- ↑ Law, C. J.; Slater, G. J.; Mehta, R. S. (2018년 1월 1일).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Systematic Biology》 67 (1): 127–144. doi:10.1093/sysbio/syx047. PMID 28472434.
- Allen, Glover Morrill (1938). “The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Volume 1”. New York :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 Kurtén, Björn (1968). “Pleistocene mammals of Europe”. Weidenfeld and Nicolson.
외부 링크
편집- Russian article with phot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