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마크(Almach)는 안드로메다자리에 있는 별이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안드로메다자리 감마(γ And / γ Andromedae)라고 읽는다. 사중성계이며, 지구에서 약 350광년 떨어져 있다.

알마크
명칭
바이어 명명법 안드로메다자리 감마 A
안드로메다자리 γ A
플램스티드 명명법 안드로메다자리 57 A
밝은 별 목록 HR 337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2533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37734
소천성표 BD +41°395
히파르코스 목록 HIP 9640
다른 이름 안드로메다자리 감마1, STF 205A, ADS 1630 A, WDS 02039+4220A
관측 정보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적경(α) 02h 03m 53.9531s[1]
적위(δ) +42° 19′ 47.009″[1]
겉보기등급(m) 2.10[1]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1.7 ± 0.9 km/s[1]
적경 고유운동 43.08 mas/yr[1]
적위 고유운동 -50.85 mas/yr[1]
연주시차 9.19 ± 0.73 mas[1]
거리 355 ly (109 pc)[2][3]
성질
광도 약 2,600 L☉[주 1]
분광형 K2+IIb[1]
U-B 색지수 0.92[1]
B-V 색지수 1.20[1]
V-R 색지수 0.94[1]
R-I 색지수 0.69[1]
J-H 색지수 0.60[1]
J-K 색지수 0.74[1]
추가 사항
질량 5.54 M☉[4][5]
반지름 83 R☉[6][7]
표면온도 4,319 ± 18 K[2][3]
중원소 함량 (Fe/H) 0.04 ± 0.05[2][3]
표면 중력 (log g) 1.50 ± 0.08[2][3]
자전 주기 최소 약 39일[주 2]
자전 속도 < 17 km/s[8]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안드로메다자리 감마2
명칭
바이어 명명법 안드로메다자리 감마 BC
안드로메다자리 γ BC
플램스티드 명명법 안드로메다자리 57 BC
밝은 별 목록 HR 604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12534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37735
히파르코스 목록 HIP 9640
다른 이름 STF 205BC, ADS 1630 BC, WDS 02039+4220BC
관측 정보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적경(α) 02h 03m 73.9999s[9]
적위(δ) +42° 19′ 51.337″[9]
겉보기등급(m) 5.1 (B)[10]

6.3 (C)[10]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14.0 ± 5.0 km/s[9]
적경 고유운동 30.021 mas/yr[9]
적위 고유운동 -51.640 mas/yr[9]
연주시차 12.57 ± 0.59 mas[9]
성질
분광형 B8V (B)[9]
A0V (C)[9]
U-B 색지수 -0.12[11]
B-V 색지수 0.03[12]
V-R 색지수 0.08[12]
추가 사항
질량 8.75 ± 2.28 M☉ (BC)[10]
표면온도 9,164 K[13]
자전 속도 75 km/s (B)[14]
70 km/s (C)[14]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명명

편집

공식 이름을 부여 받기 전부터 알마크라는 이름으로 불려 왔으며 변형된 이름도 많다. 1515년에 라틴어로 번역된 알마게스트와, 1521년에 출판된 알폰신 테이블에는 알라막(alamac)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아랍어인 العناق الأرض카라칼에서 유래했다.[15] 그리고 2016년에 공식적으로 알마크라는 이름을 부여 받았다.[16]

예전에는 다중성계 내의 별의 이름을 명명할 때, 한편으로는 알파벳을 붙이거나, 또 한편으로는 숫자를 붙이는 등의 중구난방이었다. 알마크도 예외는 아니라, 안드로메다자리 감마1, 감마2, 이렇게 붙였는데, IAU에서 이를 체계화하여 이제는 알파벳으로만 붙이게 되었다.[17]

중국어로는 天大將軍一이라고 부르는데, 의미는 '하늘의 대장군 중 첫째'라는 뜻이다.

특징

편집

1778년, 요한 토비어스 마이어는 알마크가 쌍성이라는 것을 발견했다.[18]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단일 별이 아니라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주성(A)은 노랗게, 반성(B)은 푸르게 보인다. 두 별은 약 10각초 떨어져 있다.[19] 1842년에는 빌헬름 스트루베도, B별도 쌍성(C별)이라는 것, 그리고 그 두 별은 서로 불과 1각초 이내로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20] 그리고 1957년부터 2년에 걸친 관측으로 B별도 분광 쌍성(Ba, Bb)이라는 것이 밝혀졌다.[21] 결과적으로, 알마크는 맨눈으로 보면 별 하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중것이다.[22]

B별과 짝별인 C별은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64년에 한 번씩 공전하고[4][5], Ba별과 Bb별은 둘 다 B형 주계열성으로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3일에 한 번씩 공전한다.[21]

주해

편집
  1.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이용한 계산
  2. 자전 속도와 반지름을 이용한 계산

각주

편집
  1. “gam01 and”. 《SIMBAD》.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2. Wu, Yue; 외. (2011년 1월). “Coudé-feed stellar spectral library - atmospheric parameters”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EDP Sciences): 1~21. 
  3. “Atmospheric parameters for 1273 stars (Wu+, 2011)”.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4. Andrei, Tokovinin (2017년 8월). “Orbit Alignment in Triple Stars” (PDF). 《The Astrophysical Journal》: 1~7. 
  5. “Orbit alignment in triple stars (Tokovinin, 2017)”.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6. Pasinetti Fracassini, L. E.; 외. (2001년 2월).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 Third edition - Comments and statistics”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EDP Sciences): 1~4. 
  7. “Catalogue of Stellar Diameters (CADARS) (Pasinetti-Fracassini+ 2001)”.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8. “HR 603”.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9. “gam02 and”. 《SIMBAD》.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10. Docobo, J. A.; 외. (2007년 4월). “Orbits and System Masses of 14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Type Components”. 《The Astronomical Journal》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211. 
  11.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Hoffleit+, 1991)”.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12. Kohman, Truman P. (2005년 6월). “Visual Star Colours from Instrumental Photometry”.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104. 
  13. “aia DR2 (Gaia Collaboration, 2018)”. 《VizieR》.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14. Giuricin, G.; 외. (1984년 6월). “Synchronization in early-type spectroscopic binary stars”. 《Journ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394. 
  15. Allen, Richard H.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G. E. Stechert & Co. 36쪽. 
  16. “IAU List of Star Names”. 《국제천문연맹》.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17. F. V. Hessman; 외. (2010년 12월 3일).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18. Olcott, W. Tyler (2012). 《Star Lore: Myths, Legends, and Facts》. Dover Publications, Inc. 27쪽. 
  19. Robert Burnham Jr. (1978).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Dover Publications, Inc. 113쪽. 
  20. Allen, Richard H.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G. E. Stechert & Co. 37쪽. 
  21. Maestre, L. A., Wright, J. A. (1960년 1월). “A Preliminary Study of the Spectroscopic Binary Gamma Andromedae B”. 《Astrophysical Journa》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19~120. 
  22. Robert Burnham Jr. (1978).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Dover Publications, Inc. 114쪽.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