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루킨

여러 세포에서 발현하는 사이토카인 그룹

인터루킨(영어: Interleukin, IL)은 백혈구 및 일부 다른 체세포에서 발현되고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그룹이다. 인간 유전체는 50개 이상의 인터루킨 및 관련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

면역계의 기능은 주로 인터루킨에 의존하며, 일부 인터루킨의 드문 결핍이 설명되었으며, 모두 자가 면역 질환 또는 면역결핍질환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 인터루킨은 단핵구, 대식세포내피 세포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보조 T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이들은 T세포 및 B세포, 조혈 세포의 발달 및 분화를 촉진한다.

해마체별아교세포에 있는 인터루킨 수용체는 생쥐의 공간 기억 발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역사와 이름

편집

인터루킨이라는 이름은 1979년에 인터루킨 1(림프구 활성화 인자, 분열 촉진 단백질, T세포 대체 인자 III, B세포 활성화 인자, B세포 분화) 및 인터루킨 2 (TSF 등)을 지정하기 위해 여러 연구 그룹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이름을 대체하기 위해 선택되었다.[3][4][5]

인터루킨이라는 용어는 '사이에서'라는 'inter-'와 '백혈구'를 의미하는 '-leukin'을 합친 말로 백혈구에 의해 생성되고 백혈구에서 작용한다는 뜻이다.

일부 인터루킨은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림프구 생성 사이토카인인 림포카인으로 분류된다.

통상적인 패밀리

편집

인터루킨 1

편집

인터루킨 1 알파인터루킨 1 베타(IL-1α, IL-1β)는 면역 반응, 염증 반응 및 조혈 조절에 참여하는 사이토카인이다.[6] 각각 3개의 세포 외 면역 글로불린(Ig) 유사 도메인, 제한된 서열 유사성(28%) 및 상이한 약리학적 특성을 갖는 2가지 유형의 IL-1 수용체가 마우스 및 인간 세포주로부터 클로닝되었다. 이들은 유형 I 및 유형 II로 명명되었다.[7] 수용체는 막관통(transmembrane, TM) 형태와 가용성 형태로 모두 존재한다. 가용성 IL-1 수용체는 번역 후 막 수용체의 세포 외 부분 절단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두 IL-1 수용체(CD121a/IL1R1, CD121b/IL1R2)는 진화에서 잘 보존된 것으로 보이며 동일한 염색체 위치에 매핑된다.[8] 수용체는 모두 세 가지 형태의 IL-1(IL-1 알파, IL-1 베타 및 IL-1 수용체 길항제) 모두에 결합할 수 있다.

IL1A와 IL1B의 결정 구조가 밝혀져 헤파린 결합 성장 인자 및 Kunitz 유형 대두 트립신 억제제와 동일한 12가닥 베타 병풍 구조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10] 베타 병풍은 중심 축 주위에 4개의 유사한 로브로 배열되어 있으며 8가닥은 역평행 베타 배럴을 형성한다. 여러 영역, 특히 가닥 4와 5 사이의 루프는 수용체 결합과 관련이 있다.

인터루킨 1 베타 변환 효소의 분자 클로닝은 비활성 전구체 분자의 단백질 분해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이 절단을 수행하는 상보적인 DNA 인코딩 프로테아제가 클로닝되었다. 재조합 발현은 세포가 전구체 인터루킨 1 베타를 성숙한 형태의 효소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인터루킨 1은 또한 중추 신경계에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유형 I IL-1 수용체의 유전적 결실이 있는 마우스는 해마의 완전성에 의존하지 않는 기억이 아끼는 것처럼 보이지만 해마 의존적 기억 기능과 장기강화가 현저하게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2][11] 그러나 이 유전적 결실을 가진 쥐의 해마에 야생형 신경전구세포를 주입하고 이 세포가 인터루킨 1 수용체를 포함하는 별아교세포로 성숙하도록 허용하면 쥐는 정상적인 해마 의존적 기억 기능을 나타내고 장기간의 기억 기능을 부분적으로 회복한다.[2]

인터루킨 2

편집

T세포는 분비 단백질 인자의 방출을 통해 T세포 및 특정 B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한다.[12] 인터루킨 2 (IL-2)를 포함하는 이러한 인자는 렉틴 또는 항원 자극 T 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다양한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IL-2는 반응 T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림포카인이다. 또한 수용체 특이 결합을 통해 일부 B세포에 작용하여[13] 성장 인자 및 항체 생성 자극제로 작용한다[14] 단백질은 단일 글리코실화된 폴리펩타이드로 분비되며, 그 활성을 위해서는 신호 서열의 절단이 필요하다.[13] Solution NMR은 IL-2의 구조가 4개의 나선 다발(AD라고 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2개의 짧은 나선과 여러 개의 잘못 정의된 루프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선 A와 나선 A와 B 사이의 루프 영역에 있는 잔기는 수용체 결합에 중요하다. 2차 구조 분석은 IL-4 및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와의 유사성을 제안했다.[14]

인터루킨 3

편집

인터루킨 3 (IL-3)은 과립구 및 대식세포의 생산, 분화 및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조혈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이다.[15][16] 생체 내에서 단량체로 존재하는 단백질은 활성화된 T세포와 비만세포에서 생산되며[15][16] N 말단 신호 서열의 절단에 의해 활성화된다.[16]

IL-3는 항원, 미토겐 또는 포르볼 에스테르와 같은 화학적 활성화제로 자극된 후에만 T 림프구 및 T 세포 림프종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나 IL-3는 골수단핵구성 백혈병 세포주 WEHI-3B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된다.[16] IL-3의 구성적 생산에 대한 세포주의 유전적 변화가 이 백혈병 발병의 핵심 사건인 것으로 생각된다.[16]

인터루킨 4

편집

인터루킨 4 (IL-4)는 B세포가 증식하고 클래스 스위치 재조합 및 체세포 과돌연변이를 겪는 데 도움을 주는 데 특화된 CD4+ T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Th2 세포는 IL-4 생산을 통해 IgG1 및 IgE 이소형에 대한 클래스 스위치 재조합을 포함하는 B세포 반응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인터루킨 5

편집

호산구 분화 인자(EDF)로도 알려진 인터루킨 5 (IL-5)는 호산구 형성을 위한 계통 특이적 사이토카인이다.[17][18] IL-5은 호산구의 성장과 활성화를 조절하고[17] 따라서 천식을 포함하여 증가된 호산구 수치와 관련된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IL-5는 다른 사이토카인(예: IL-2, IL-4 및 GCSF)과 유사한 전체 접힘을 갖지만[18] 이들은 단량체 구조로 존재하지만 IL-5는 동종이합체이다. 접힘에는 두 가닥의 역평행 베타 병풍으로 연결된 왼방향 트위스트가 있는 역평행 4-알파 나선 다발이 포함되어 있다.[18][19] 단량체는 2개의 사슬간 이황화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19]

인터루킨 6

편집

B세포 자극 인자-2 (BSF-2) 및 인터페론 베타-2라고도하는 인터루킨 6 (IL-6)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다.[20] 이는 B세포를 면역글로불린 분비 세포로 최종 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골수종/형질세포종 성장, 신경 세포 분화 및 간세포에서 급성기 반응물을 유도한다.[20][21]

다수의 다른 사이토카인은 서열 유사성에 기초하여 IL-6와 함께 그룹화 될 수 있다.[20][21][22] 여기에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CSF) 및 골수단핵구성 성장 인자(MGF)가 포함된다. GCSF는 혈액 내 2개의 관련된 백혈구 그룹의 생성, 분화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혈 작용을 한다.[22] 또한 MGF는 골수 계통의 정상 및 변형된 조류 세포의 증식 및 콜로니 형성을 자극하는 조혈 작용을 한다.

IL-6/GCSF/MGF 계열의 사이토카인은 2개의 이황화 결합에 관여하는 4개의 보존된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약 170~18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당단백질이다.[22] 이것들은 2개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안정화된 조밀한 구형 접힘 (다른 인터루킨과 유사)을 가지고 있다. 구조의 절반은 왼손잡이 트위스트가 있는 4-alpha-helix 번들에 의해 지배된다.[23] 나선은 이중 가닥 역평행 베타 병풍에 속하는 두 개의 오버핸드 연결이 있는 역평행이다. 네 번째 알파 나선은 분자의 생물학적 활동에 중요하다.[21]

인터루킨 7

편집

인터루킨 7 (IL-7)은 B세포 및 T세포 계통의 초기 림프구 세포에 대한 성장 인자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24]

인터루킨 8

편집

인터루킨 8 (IL-8)은 대식세포상피 세포, 기도 평활근 세포[25] 및 내피 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 유형에 의해 생성되는 케모카인이다. 내피 세포는 저장 소포인 Weibel-Palade 소체에 IL-8을 저장한다.[26][27] 인간에서 인터루킨 8 단백질CXCL8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28] IL-8은 초기에 99개 아미노산의 전구체 펩타이드로 생성되며, 이후 절단을 거쳐 여러 활성 IL-8 이소형을 생성한다.[29] 배양에서 72개 아미노산 펩타이드는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주요 형태이다.[29]

표면 막에는 IL-8에 결합할 수 있는 많은 수용체가 있다. 가장 자주 연구되는 유형은 G 단백질 결합 사문석 수용체 CXCR1 및 CXCR2이다. IL-8에 대한 발현 및 친화력은 두 수용체 간에 다르다 (CXCR1>CXCR2).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IL-8이 분비되며 선천 면역계 반응에서 면역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인터루킨 9

편집

인터루킨 9 (IL-9)은 보조 T세포의 IL-2 독립적 및 IL-4 독립적 성장을 지원하는 사이토카인이다.[30] 초기 연구에서는 인터루킨 9와 7이 진화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31] Pfam, InterPro 및 PROSITE 항목이 인터루킨 7/인터루킨 9 계열에 대해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IL-9는 실제로 IL-7보다 IL-2 및 IL-15에 훨씬 더 가깝다.[32] 더욱이, 이 연구는 IL-7과 γc 수용체(IL-2, IL-4, IL-7, IL-9, IL-15 및 IL-21)를 통해 신호를 보내는 나머지 모든 사이토카인 사이에 양립할 수 없는 구조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인터루킨 10

편집

인터루킨 10 (IL-10)은 활성화된 대식세포 및 헬퍼 T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IFN-감마, IL-2, IL-3, TNF 및 GM-CSF를 비롯한 여러 사이토카인의 합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구조상 IL-10은 이황화 결합에 관여하는 4개의 보존된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약 1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33] IL-10은 감마-인터페론의 합성을 억제하는 앱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BCRF1 단백질과 말 헤르페스 바이러스 2 (말 헤르페스 바이러스 2) 단백질 E7과 매우 유사하다. 그것은 또한 인간 단백질 mda-7과 유사하지만 정도는 적다.[34] 인간 흑색종 세포에서 항증식 특성을 갖는 단백질. Mda-7에는 IL-10의 4개 시스테인 중 2개만 포함되어 있다.

인터루킨 11

편집

인터루킨 11 (IL-11)은 거대 핵세포 생성을 자극하는 분비 단백질로 처음에는 혈소판 생성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후 정상 혈소판 형성에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파골 세포를 활성화하여 상피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또한 세포사멸, 및 대식세포 매개체 생성 억제한다. 이러한 기능은 IL-11의 조혈, 골 및 점막 보호 효과를 매개하는 데 특히 중요할 수 있다.[35]

인터루킨 12

편집

인터루킨 12 (IL-12)는 35 kDa 알파 서브 유닛과 40 kDa 베타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 이황화결합 헤테로다이머이다. 이것은 Leishmania, Toxoplasma, 홍역 바이러스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1 (HIV)과 같은 다양한 세포 내 병원체에 대한 정상적인 숙주 방어를 포함하여 Th1 세포 면역 반응의 자극 및 유지에 관여한다. IL-12는 또한 자연 살해 세포의 세포 독성 기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36][37] 염증성 장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병리학적 Th1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질병에서 IL-12 활성의 억제는 치료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재조합 IL-12의 투여는 병리학적 Th2 반응과 관련된 상태에서 치료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38][39]

인터루킨 13

편집

인터루킨 13 (IL-13)은 염증 및 면역 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발성 사이토카인이다.[40]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하고 인터페론-감마 합성을 조절하는 IL-2와 상승작용을 한다. IL-4 및 IL-13의 서열은 관련이 없다.[41]

인터루킨 15

편집

인터루킨 15 (IL-15)는 세포 면역 반응의 자극 및 유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진 사이토카인이다.[42] IL-15는 IL-15와 IL-15R 알파 및 IL-2R 베타 및 IL-2R 감마 (일반적인 감마 사슬, γc)를 포함하는 IL-2R 성분과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T 림프구의 증식을 자극하지만 IL은 그렇지 않다.

인터루킨 17

편집

인터루킨 17 (IL-17)은 활성화된 기억 T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강력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43] 이 사이토카인은 염증 유발 특성, 호중구 모집 역할, 선천 및 적응 면역의 중요성을 특징으로 한다. IL-17은 RA, 알레르기, 천식, 건선 등과 같은 많은 자가면역 질환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질병의 발병 기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IL-17이 종양 형성(종양의 초기 형성) 및 이식 거부에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4] IL-17 계열은 척추동물 진화 전반에 걸쳐 고도로 보존된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신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43]

인간에서의 인터루킨

편집
이름 분비하는 세포[45] 표적 기능[45]
수용체[45][46] 세포[45]
IL-1 대식세포, B세포, 단핵구,[47] 수지상세포[47] CD121a/IL1R1, CD121b/IL1R2 보조 T세포 보조자극[47]
B세포 성숙과 증식[47]
자연 살해 세포 활성화[47]
대식세포, 혈관내피, 그 외 염증,[47] 소량은 급성기 반응을, 다량은 발열을 유도한다.
IL-2 보조 T세포 (Th1 세포) CD25/IL2RA, CD122/IL2RB, CD132/IL2RG 활성화된[47] T세포B세포, 자연 살해 세포, 대식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T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자극한다. 암을 치료하는 면역요법이나 장기 이식 환자에서 면역을 억제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HIV 양성 환자에서 CD4 수를 늘리기 위해 임상시험(ESPIRIT. Stalwart)에서 이용되기도 했다.
IL-3 활성화된 보조 T세포,[47] 비만 세포, 자연 살해 세포, 혈관내피, 호산구 CD123/IL3RA, CD131/IL3RB 조혈모세포 골수계 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47] 적혈구, 과립구 등으로 분화한다.
비만세포 성장과 히스타민 방출[47]
IL-4 보조 T세포(Th2 세포), 막 활성화된 미성숙 CD4+ 세포, 기억 CD4+ 세포, 비만 세포, 대식세포 CD124/IL4R, CD132/IL2RG 활성화된 B세포 증식과 분화, IgG1IgE 합성.[47] 알레르기 반응에 중요한 역할 (IgE)
T세포 증식[47]
혈관내피 혈관세포부착분자 1(VCAM-1)의 발현을 증가시켜 림프구의 부착을 촉진.[48]
IL-5 보조 T세포(Th2 세포), 비만 세포, 호산구 CD125/IL5RA, CD131/IL3RB 호산구 생산
B세포 분화, IgA 생산
IL-6 대식세포, 보조 T세포(Th2 세포), B세포, 별아교세포, 혈관내피 CD126/IL6RA, CD130/IR6RB 활성 B세포 형질세포로의 분화
형질세포 항체 분비
조혈모세포 분화
T세포, 그 외 급성기 반응, 조혈, 세포 분화, 염증 유도
IL-7 골수가슴샘의 기질세포 CD127/IL7RA, CD132/IL2RG pre/pro-B세포, pre/pro-T세포, 자연살해세포 림프계 전구세포의 분화와 증식, B세포와 T세포, 자연살해세포의 생존과 발달, 항상성에 관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작용 강화
IL-8 (CXCL8) 대식세포, 림프구, 상피 세포, 혈관 내피 세포 CXCR1/IL8RA, CXCR2/IL8RB/CD128 호중구, 호염기구, 림프구 호중구의 화학주성
IL-9 Th2, 특히 CD4+ 보조 T세포 CD129/IL9R T세포, B세포 IgM, IgG, IgE의 작용 강화, 비만 세포 자극
IL-10 단핵구, 보조 T세포(Th2 세포), CD8+ T세포, 비만 세포, 대식세포, B세포 아집단 CD210/IL10RA, CDW210B/IL10RB 대식세포 사이토카인 생산[47]
B cells activation[47]
비만 세포
보조 T세포(Th1 세포) 보조 T세포(Th1)의 사이토카인 (인터페론 감마, TNF-β, IL-2) 생산을 억제
보조 T세포(Th2 세포) 자극
IL-11 골수 기질 IL11RA 골수 기질 급성기 단백질 생산, 파골세포 형성
IL-12 수지상세포, B세포, T세포, 대식세포 CD212/IL12RB1, IR12RB2 활성화된[47] T세포 IL-2와 함께 세포독성 T세포로의 분화 유발,[47]IFN-γ, TNF-α, ↓ IL-10
자연 살해 세포 IFN-γ, TNF-α
IL-13 활성화된 보조 T세포(Th2 세포), 비만 세포, 자연 살해 세포 IL13R Th2 세포, B세포, 대식세포, B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자극 (IgG), Th1 세포와 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1, IL-6) 생산 억제, ↓ IL-8, IL-10, IL-12
IL-14 T세포와 특정 악성 B세포 활성화된 B세포 B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조절, 면역글로불린 분비 억제
IL-15 단핵계 식세포와 그 외 기타 세포. 특히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대식세포 IL15RA T세포, 활성화된 B세포 자연 살해 세포의 생성 유도
IL-16 림프구, 상피세포, 호산구, CD8+ T세포 CD4 CD4+ T세포 CD4+ T세포의 주화성 인자
IL-17 Th17세포 CDw217/IL17RA, IL17RB 상피, 내피, 그 외 파골세포 생성, 혈관신생,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IL-18 대식세포 CDw218a/IL18R1 Th1 세포, 자연 살해 세포 IFNγ 생산 유도, 자연 살해 세포의 활동 증가
IL-19 - IL20R -
IL-20 활성화된 각질세포단핵구 IL20R 각질세포의 증식과 분화 조절
IL-21 활성화된 보조 T세포, NKT세포 IL21R 모든 림프구와 수지상세포 CD8+ T세포의 활성화와 증식에 보조자극 신호 역할,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강화, CD40으로 인한 B세포 증식, 분화, 아형 변환을 강화, Th17세포의 분화를 촉진
IL-22 Th17세포 IL22R 상피세포로부터 디펜신을 생산.[36] 간암 세포에서 STAT1, STAT3을 활성화하고 혈청 아밀로이드 A, 알파 1-안티키모트립신, 합토글로빈 등의 급성기 단백질 생산을 늘림.
IL-23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IL23R IL-17을 생산하는 세포를 유지,[36] 혈관신생을 증가시키나 CD8+ T세포 침윤은 감소시킴.
IL-24 각질세포, 멜라닌세포, 단핵구, T세포 IL20R 세포의 생존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영향을 미쳐 종양의 억제, 상처 치유, 건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
IL-25 T세포, 비만 세포, 호산구, 대식세포, 점막상피세포 LY6E IL-4, IL-5, IL-13의 생산을 유도하여 호산구 증식을 자극.
IL-26 T세포, 단핵구 IL20R1 IL-10, IL-8 분비와 상피세포 표면의 CD54 발현을 강화
IL-27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IL27RA B세포와 T세포의 활성을 조절
IL-28 - IL28R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 방어 기능 수행.
IL-29 -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면역 방어 수행
IL-30 - IL-27의 사슬 하나를 형성
IL-31 보조 T세포(Th2 세포) IL31RA 피부염증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IL-32 - 단핵구와 대식세포가 TNF-α, IL-8, CXCL2을 분비하도록 유도
IL-33 상피세포 보조 T세포가 제2형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도록 유도
IL-35 조절 T세포 보조 T세포 활성화를 억제
IL-36 - 수지상세포T세포 반응을 조절

유사체 및 파생 상품에 대한 국제 일반명

편집
내생 양식 이름 제약 형태 INN 접미사 설명
인터루킨 1 (IL-1) -nakin
인터루킨 1α (IL-1α) -onakin 피포나킨
인터루킨 1β (IL-1β) -benakin 모베나킨
인터루킨 2 (IL-2) -leukin 아다르길류킨 알파, 알데스류킨, 셀몰류킨, 데닐류킨 디프티톡스, 페갈데스류킨, 테셀류킨, 투코투주맙, 셀몰류킨
인터루킨 3 (IL-3) -plestim 다니플스팀, 무플스팀
인터루킨 4 (IL-4) -trakin 비네트라킨
인터루킨 6 (IL-6) -exakin 아텍사킨 알파
인터루킨 8 (IL-8) -octakin 이모타킨
인터루킨 10 (IL-10) -decakin 일로데카킨
인터루킨 11 (IL-11) -elvekin 오프렐베킨
인터루킨 12 (IL-12) -dodekin 에도데킨 알파
인터루킨 13 (IL-13) -tredekin 신트레데킨 베스오톡스
인터루킨 18 (IL-18) -octadekin 이복타데킨

각주

편집
  1. “Evolutionary divergence and functions of the human interleukin (IL) gene family”. 《Human Genomics》 5 (1): 30–55. Oct 2010. doi:10.1186/1479-7364-5-1-30. PMC 3390169. PMID 21106488. 
  2. “Astrocytes support hippocampal-dependent memory and long-term potentiation via interleukin-1 signaling”.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5 (5): 1008–16. Jul 2011. doi:10.1016/j.bbi.2010.11.007. PMID 21093580. 
  3. “Interleukin 1: the first interleukin”. 《Immunology Today》 11 (1): 13–20. Jan 1990. doi:10.1016/0167-5699(90)90005-t. PMID 2405873. 
  4. Habenicht A, 편집. (1990). 〈Interleukin 1〉. 《Growth Factors, Differentiation Factors, and Cytokines》. Berlin, Heidelberg: Springer. 85–102쪽. doi:10.1007/978-3-642-74856-1_7. ISBN 978-3-642-74856-1. 
  5. “Revised nomenclature for antigen-nonspecific T cell proliferation and helper factors”. 《Journal of Immunology》 123 (6): 2928–9. Dec 1979. PMID 91646. 
  6. “cDNA expression cloning of the IL-1 receptor, a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Science》 241 (4865): 585–9. Jul 1988. Bibcode:1988Sci...241..585S. doi:10.1126/science.2969618. PMID 2969618. 
  7.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ternatively processed human type II interleukin-1 receptor mRNA”.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1 (34): 20965–72. Aug 1996. doi:10.1074/jbc.271.34.20965. PMID 8702856. 
  8. “A novel IL-1 receptor, cloned from B cells by mammalian expression, is expressed in many cell types”. 《The EMBO Journal》 10 (10): 2821–32. Oct 1991. doi:10.1002/j.1460-2075.1991.tb07831.x. PMC 452992. PMID 1833184. 
  9. “Crystallographic refinement of interleukin 1 beta at 2.0 A resol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6 (24): 9667–71. Dec 1989. doi:10.1073/pnas.86.24.9667. PMC 298562. PMID 2602367. 
  10. “beta-Trefoil fold. Patterns of structure and sequence in the Kunitz inhibitors interleukins-1 beta and 1 alpha and fibroblast growth factor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223 (2): 531–43. Jan 1992. doi:10.1016/0022-2836(92)90668-A. PMID 1738162. 
  11. “Impaired interleukin-1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deficits in hippocampal memory processes and neural plasticity”. 《Hippocampus》 13 (7): 826–34. 2003. doi:10.1002/hipo.10135. PMID 14620878. 
  12. “Use of a cDNA expression vector for isolation of mouse interleukin 2 cDNA clones: expression of T-cell growth-factor activity after transfection of monkey cel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2 (1): 68–72. Jan 1985. Bibcode:1985PNAS...82...68Y. doi:10.1073/pnas.82.1.68. PMC 396972. PMID 3918306. 
  13. “Cloning, sequence, and expression of bovine interleukin 2”.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3 (10): 3223–7. May 1986. Bibcode:1986PNAS...83.3223C. doi:10.1073/pnas.83.10.3223. PMC 323485. PMID 3517854. 
  14. “Secondary structure of human interleukin 2 from 3D heteronuclear NMR experiments”. 《Biochemistry》 31 (33): 7741–4. Aug 1992. doi:10.1021/bi00148a040. PMID 1510960. 
  15. “Characterization of a human multilineage-colony-stimulating factor cDNA clone identified by a conserved noncoding sequence in mouse interleukin-3”. 《Gene》 55 (1): 115–24. 1987. doi:10.1016/0378-1119(87)90254-X. PMID 3497843. 
  16. “Constitutive synthesis of interleukin-3 by leukaemia cell line WEHI-3B is due to retroviral insertion near the gene”. 《Nature》 317 (6034): 255–8. 1985. Bibcode:1985Natur.317..255Y. doi:10.1038/317255a0. PMID 2413359. 
  17. “Molecular cloning,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human eosinophil differentiation factor (interleukin 5)”.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4 (19): 6629–33. Oct 1987. Bibcode:1987PNAS...84.6629C. doi:10.1073/pnas.84.19.6629. PMC 299136. PMID 3498940. 
  18. “A novel dimer configuration revealed by the crystal structure at 2.4 A resolution of human interleukin-5”. 《Nature》 363 (6425): 172–6. May 1993. Bibcode:1993Natur.363..172M. doi:10.1038/363172a0. PMID 8483502. 
  19. “Human interleukin-5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ssignment of the disulfide bridges of the purified unglycosylated protein”. 《FEBS Letters》 283 (1): 61–4. May 1991. doi:10.1016/0014-5793(91)80553-F. PMID 2037074. 
  20. “Complementary DNA for a novel human interleukin (BSF-2) that induces B lymphocytes to produce immunoglobulin”. 《Nature》 324 (6092): 73–6. 1986. Bibcode:1986Natur.324...73H. doi:10.1038/324073a0. PMID 3491322. 
  21.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charge and an alpha-helical structure of the C-terminus for biological activity of human IL-6”. 《FEBS Letters》 282 (2): 265–7. May 1991. doi:10.1016/0014-5793(91)80491-K. PMID 2037043. 
  22. “Disulfide structures of human interleukin-6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272 (1): 144–51. Jul 1989. doi:10.1016/0003-9861(89)90205-1. PMID 2472117. 
  23. “Crystal structure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4”.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7 (28): 20371–6. Oct 1992. doi:10.2210/pdb2int/pdb. PMID 1400355. 
  24. “Interleukin 7: effects on early events in lymphopoiesis”. 《Immunology Today》 10 (5): 170–3. May 1989. doi:10.1016/0167-5699(89)90175-8. PMID 2663018. 
  25.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regulat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airway myocytes”. 《Am. J. Respir. Cell Mol. Biol.》 23 (1): 86–94. 2000. doi:10.1165/ajrcmb.23.1.4014. PMID 10873157. 
  26. “Endothelial cell "memory" of inflammatory stimulation: human venular endothelial cells store interleukin 8 in Weibel-Palade bodies”. 《J. Exp. Med.》 188 (9): 1757–62. 1998. doi:10.1084/jem.188.9.1757. PMC 2212526. PMID 9802987. 
  27. “Rapid secretion of prestored interleukin 8 from Weibel-Palade bodies of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J. Exp. Med.》 188 (9): 1751–6. 1998. doi:10.1084/jem.188.9.1751. PMC 2212514. PMID 9802986. 
  28. “Monocyte-derived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MDNCF/IL-8) resides in a gene cluster along with several other members of the platelet factor 4 gene superfamily”. 《Hum. Genet.》 84 (2): 185–7. 1990. doi:10.1007/BF00208938. PMID 1967588. 
  29. “The role of interleukin-8 and its receptors in gliomagenesis and tumoral angiogenesis”. 《Neuro-Oncology》 7 (2): 122–133. 2005. doi:10.1215/s1152851704001061. PMC 1871893. PMID 15831231. 
  30. “Human P40/IL-9. Expression in activated CD4+ T cells, genomic organiz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mouse gene”. 《Journal of Immunology》 144 (11): 4235–41. Jun 1990. PMID 1971295. 
  31. “Hematopoietin sub-family classification based on size, gene organization and sequence homology”. 《Current Biology》 3 (9): 573–81. September 1993. doi:10.1016/0960-9822(93)90002-6. PMID 15335670. 
  32. “The tertiary structure of γc cytokines dictates receptor sharing”. 《Cytokine》 116: 161–168. February 2019. doi:10.1016/j.cyto.2019.01.007. PMID 30716660. 
  33. “Crystal structure of interleukin-10 reveals the functional dimer with an unexpected topological similarity to interferon gamma”. 《Structure》 3 (6): 591–601. Jun 1995. doi:10.1016/S0969-2126(01)00193-9. PMID 8590020. 
  34. “Subtraction hybridization identifies a novel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 mda-7, modulated during human melanoma differentiation, growth and progression”. 《Oncogene》 11 (12): 2477–86. Dec 1995. PMID 8545104. 
  35. “Interleukin-11”.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29 (8–9): 1059–62. 1997. doi:10.1016/S1357-2725(97)00017-4. PMID 9416001. 
  36.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판. Philadelphia: Elsevier/Saunders. 2012. ISBN 978-1437715286. 
  37. “Interleukin-12 improves cytotoxicity of natural killer cells via upregulated expression of NKG2D”. 《Human Immunology》 69 (8): 490–500. Aug 2008. doi:10.1016/j.humimm.2008.06.004. PMID 18619507. 
  38. “Il-12: keeping cell-mediated immunity alive”. 《Scandinavian Journal of Immunology》 53 (6): 529–32. Jun 2001. doi:10.1046/j.1365-3083.2001.00917.x. PMID 11422900. 
  39. “The interleukin-12/interleukin-12-receptor system: role in normal and pathologic immune responses”. 《Annual Review of Immunology》 16: 495–521. 1998. doi:10.1146/annurev.immunol.16.1.495. PMID 9597139. 
  40. “Interleukin-13 is a new human lymphokine regulating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Nature》 362 (6417): 248–50. Mar 1993. Bibcode:1993Natur.362..248M. doi:10.1038/362248a0. PMID 8096327. 
  41. “Interleukin-13 as an important cytokine: A review on its roles in some human diseases” (PDF). 《Acta Microbiologica et Immunologica Hungarica》 62 (4): 341–78. December 2015. doi:10.1556/030.62.2015.4.2. PMID 26689873. 
  42. “Role of IL-15 on monocytic resistance to human herpesvirus 6 infection”. 《The New Microbiologica》 23 (2): 105–12. Apr 2000. PMID 10872679. 
  43. “IL-17: prototype member of an emerging cytokine family”.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71 (1): 1–8. January 2002. doi:10.1189/jlb.71.1.1. PMID 11781375. 
  44. “Th17 cells in human disease”. 《Immunological Reviews》 223: 87–113. June 2008. doi:10.1111/j.1600-065X.2008.00628.x. PMC 3299089. PMID 18613831. 
  45. Unless else specified in boxes, then ref is: Lippincott's Illustrated Reviews: Immunology. Paperback: 384 pages. Publish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July 1, 2007). Language: English. ISBN 0-7817-9543-5. ISBN 978-0-7817-9543-2. Page 68
  46. “Cytokines - Master Regulators of the Immune System” (PDF). eBioscience. 2007년 5월 1일. 2006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47. Cytokine tutorial, The University of Arizona 보관됨 2008-02-02 - 웨이백 머신
  48. “Biological activity of IL-4 and IL-13 on human endothelial cells: functional evidence that both cytokines act through the same receptor”. 《Int Immunol》 8 (12): 1915–25. Dec 1996. doi:10.1093/intimm/8.12.1915. PMID 8982776. 
  NODES
3d 1
coding 2
Experiments 1
Intern 1
iOS 1
os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