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사놀라이나
티사놀라이나(thysanolaena, 학명: Thysanolaena latifolia 티사놀라이나 라티폴리아[*])은 기장아과의 단형 족인 티사놀라이나족(thysanolaena族, 학명: Thysanolaeneae 티사놀라이네아이[*])의 단형 속인 티사놀라이나속(thysanolaena屬, 학명: Thysanolaena 티사놀라이나[*])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1][2][3]
티사놀라이나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기장아과 |
족: | 티사놀라이나족 Thysanolaeneae C.E.Hubb., 1934 |
속: | 티사놀라이나속 Thysanolaena Nees, 1835 |
종: | 티사놀라이나 |
학명 | |
Thysanolaena latifolia | |
(Roxb. ex Hornem.) Honda, 1930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
|
중국(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저우성, 하이난성, 타이완, 윈난성)과 방글라데시, 부탄, 캄보디아,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뉴기니섬, 필리핀, 스리랑카, 태국, 베트남 지역에 분포한다. 또한 모리셔스와 세이셸, 감비아, 탄자니아, 미국 하와이주와 캘리포니아주 그리고 서인도 제도와 브라질에서도 발견된다.[4][5][6][7]
계통 분류
편집PACMAD 분지군 |
| ||||||||||||||||||||||||||||||||||||||||||||||||||||||||||||||||||||||||||||||||||||||||||||||||
각주
편집- ↑ Hubbard, Charles Edward.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II. Monocotyledons 2: 222. 1934.
- ↑ Nees von Esenbeck, Christian Gottfried Daniel. Edinburgh New Philosophical Journal 18: 180. 1835.
- ↑ Honda, Masaji.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3, Botany 3(1): 312–313. 1930.
- ↑ Flora of China Vol. 22 Page 446 粽叶芦族 zong ye lu zu Poaceae Tribe Thysanolaeneae
- ↑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Kandwal, M.K. & Gupta, B.K. (2009). An update on grass flora of Uttarakhand. Indian Journal of Forestry 32: 657-668
- ↑ Noltie, H.J. (2000). Flora of Bhutan 3(2): 457-883. Royal Botanic Gardens, Edinburgh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PMID 22115274.
- ↑ Soreng, Robert J.; Peterson, Paul M.; Romschenko, Konstantin; Davidse, Gerrit; Zuloaga, Fernando O.; Judziewicz, Emmet J.; Filgueiras, Tarciso S.; Davis, Jerrold I.; Morrone, Osvaldo (2015).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3 (2): 117–137. doi:10.1111/jse.12150. ISSN 1674-4918.
이 글은 벼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