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셰 공간의 개념은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첫 정의는 더 간단하며 직관적이지만, 실제 정리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둘째 정의가 더 유용하다.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국소 볼록 공간 를 프레셰 공간이라고 한다.
- 의 위상은 평행 이동 불변(translation-invariant) 거리 함수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이 거리 함수에 대하여 는 완비 거리 공간이다.
이 정의에서, 거리 함수 자체는 프레셰 공간을 정의하는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실수 벡터 공간 위에, 반노름들의 집합
-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기저 로서 를 위상 벡터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
-
이 반노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세 조건들을 고려할 수 있다.
- ㈎ 로 유도되는 위상 공간은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 ㈏ 는 가산 집합이다.
- ㈐ 로 유도되는 위상에서, 모든 코시 열이 수렴한다. 즉, 임의의 점렬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위상 벡터 공간 의 위상이 ㈎를 만족시키는 반노름 집합으로 유도될 수 있다면, 는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공간이다. 만약 의 위상이 ㈎·㈏·㈐를 모두 만족시키는 반노름 집합으로 유도될 수 있다면, 를 프레셰 공간이라고 한다.
프레셰 공간은 오직 위상 벡터 공간의 구조만 갖추고 있고, 반노름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갖지 않는다. 즉, 프레셰 공간은 그 위상이 일련의 반노름들로 유도될 수 있는 위상 벡터 공간이지만, 일련의 반노름을 갖추지는 않는다.
프레셰 공간 의 위상을 정의하는 가산 개의 반노름의 열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에 다음과 같은 평행 이동 불변 완비 거리 함수를 줄 수 있다.
-
이는 원래 반노름의 열과 같은 위상을 유도하며, 정의에 따라 자명하게 평행 이동 불변이다. 위 공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유도되었다.
- 함수 는 구간 를 에 전단사로 대응시키며, 순서를 보존한다.
- 따라서, 각 반노름들에 위 연산을 취하여, 을 정의한다.
- 이 반노름들을 모두 더하면, 반노름 집합과 같은 위상을 유도하는 거리 함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합이 항상 수렴하게 하기 위하여, 계수 를 삽입한다.
모든 바나흐 공간은 (자명하게) 프레셰 공간이다. 즉, 이 경우 하나의 (반)노름으로 위상이 정의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매끄러운 다양체
-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또한, 속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콤팩트 집합의 열 이 존재한다고 하자.
-
그렇다면, 에 대하여, 번 미분 가능한 매끄러운 단면의 집합
-
은 실수 프레셰 공간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데이터를 임의로 고르자.
- 의 벡터 다발 접속
- 의 리만 계량
- 의 양의 정부호 계량
그렇다면, 위에 다음과 같은 반노름들을 줄 수 있다.
-
이를 통해 는 프레셰 공간을 이룬다. 또한, 그 프레셰 공간 구조는 위에서 임의로 고른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는다.
특히, 만약 이 완비 리만 다양체일 경우, 임의의 점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콤팩트 집합의 열을 고를 수 있다.
-
여기서 는 리만 계량 로 유도되는 거리 함수이다.
특히, 만약 가 자명한 벡터 다발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매끄러운 함수의 공간 은 프레셰 공간이다.
복소평면 위의 정칙 함수 의 집합 위에 다음과 같은 반노름을 부여하자.
-
그렇다면, 이는 프레셰 공간을 이룬다.
가 바나흐 공간이라고 하자. 모든 값의 수열의 공간
-
위에 다음과 같은 반노름들을 부여하면, 이는 프레셰 공간을 이룬다.
-
이 위상 벡터 공간에서, 수렴은 성분별 수렴이다.
매끄러운 함수들의 프레셰 공간
-
을 생각하자.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할 수 있다.
-
-
이 경우, 임의의 에서,
-
-
이다.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므로, 는 모든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이며, 그 미분은 가역 선형 변환이다.
의 치역은 다음과 같이, 치역이 양의 실수로만 구성되는 매끄러운 함수들의 집합이다.
-
그런데 의 기저는
-
와 같은 꼴의 집합들로 구성되므로, 의 열린집합 가운데 의 치역의 부분 집합인 것은 공집합 밖에 없다.
- ↑ Rudin, Walter (1991). 《Functional Analysis》 (영어). McGraw-Hill. ISBN 978-0-07-054236-5.
- ↑ Treves, François (1967). 《Topological vector spaces, distributions and kernels》 (영어). Boston: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