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스(그리스어: Πύρρος, Pyrros, 기원전 319년 ~ 기원전 272년)는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1][2][3]의 장군이다.[4] 그는 아이아코스 가문에 속하며 그리스 몰로소이족의 왕이자(기원전 297년경부터)[3][5], 나중에는 에페이로스(기원전 306년~302년, 기원전 297년~272년)와 마케도니아 왕국(기원전 288년~284년, 기원전 273년~272년)의 왕이 되었다. 피로스는 초기 로마의 강력한 적수였다. 피로스 전쟁에서 그는 로마군과 싸워 여러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그만큼 손실도 많이 입어 피로스의 승리라는 고사를 남겼다. 플루타르코스비교 열전에도 그의 일대기가 수록되어 있다.

피로스
에페이로스 국왕
재위 기원전 297년 – 기원전 272년
전임 네오프톨레무스 2세
후임 알렉산드로스 2세
재위 기원전 306년 – 기원전 302년
전임 알케타스 2세
후임 네오프톨레무스 2세
마케도니아 국왕
재위 기원전 274년 – 기원전 272년
전임 안티고노스 2세
후임 안티고노스 2세
재위 기원전 288년 – 기원전 285년
전임 데메트리오스 1세
후임 안티고노스 2세
시라쿠사 참주
재위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76년
전임 티니온 & 소시스트라토스
후임 히에론 2세
신상정보
출생일 기원전 318년
출생지 에페이로스 왕국
사망일 기원전 272년 (46세)
사망지 펠로폰네소스반도 아르고스
가문 아이아키다이 가문
부친 아이아키데스
모친 에페이로스의 프티아
배우자 안티고네
라나사
비르케나
자녀 올림피아스
프톨레마이오스
알렉산드로스 2세
헬레노스
종교 그리스 신화

왕위 계승

편집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촌이기도 한 피로스는 Taulantii(일리리아의 큰 부족)의 왕인 글라우키아스 덕에 에페이로스의 왕위를 되찾는다. 하지만 카산드로스의 공격으로 도망자 신세가 된 그는 매부인 데메트리오스 1세 밑에서 장교가 된다. 기원전 298년 데메트리오스는 이집트프톨레마이오스와 강화를 맺으면서 피로스를 볼모로 보낸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피로스를 마음에 들어 해 자신의 사위로 삼는다. 또한 재정적 및 군사적 후원을 통해 셀레우코스 왕조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던 네오프톨레마이오스 2세를 제거하고 피로스의 왕위를 되찾게 도와준다.

에페이로스의 왕위를 되찾은 피로스는 마케도니아의 왕위 계승 분쟁에 개입하여 데메트리오스 1세와 적대한다. 마케도니아의 왕에 오른 데메트리오스를 무찌르고 일시적으로 마케도니아를 점령하지만 리시마코스의 공격으로 마케도니아에서 물러나 에페이로스로 돌아간다.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원정

편집

로마 공화정이 스파르테인들이 개척한 도시 타라스를 공격하였는데, 타라스는 피로스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는 델포이의 신탁의 조언을 듣고 흔쾌히 수락하며, 이탈리아에 제국을 세울 야심을 갖고 로마군을 쳤다. 피로스 전쟁에서는 헤라클레이아 전투에서 전투코끼리를 갖고 로마군을 크게 무찔렀으나, 아스쿨룸 전투에서는 승리하였지만 손실이 커서 ‘피로스의 승리’라는 고사가 생겼다. 병사가 이 승리를 피로스에게 전하였을 때 피로스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이러한 승리 하나면 우리가 망한다.

고대 그리스어: Ἂν ἔτι μίαν μάχην νικήσωμεν, ἀπολώλαμεν

이유는 로마는 징발 대상이 많았지만, 피로스는 징집 대상이 근접하지 않아 용병으로 수를 채워야 하였기 때문이였다. 베네벤툼 전투는 승리도 아니었다. 그 후 그는 마케도니아인들에게 왕이 되달라는 요청과, 시칠리아의 그리스 도시에서 카르타고를 물리쳐 달라는 요청이 왔는데, 피로스는 시칠리아를 선택하였다. 기원전 276년에 피로스는 카르타고인들과 협상을 하였는데, 카르타고인들은 그에게 원조를 할 생각이 있었지만, 시칠리아의 도시는 릴리바이온 요새 때문에 이를 거절하라고 청했다. 그러자 피로스가 해군으로 그들을 조여야 릴리바이온을 공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자 그 도시들에게 돈을 요청하였는데, 불만을 사게 되자 주둔병들을 시칠리아의 그리스 도시들에 배치하였다. 이래서 도시들은 결국 카르타고 편을 들고, 비록 카르타고의 군대를 격파하였으나 피로스는 시칠리아를 떠났다. 이탈리아로 귀환하였을 때 이는 로마군에게 수적 열세에 처해 있었으며, 베네벤툼 전투 후 에페이로스로 귀환하였다.

각주

편집
  1. Jones, Archer (2001). 《The art of war in the Western world》. Urbana: 일리노이 대학교 출판부. 32쪽. 0-252-06966-8. The particulars of these with Pyrrhus of the Greek kingdom of Epirus 
  2. 플루타르코스, Parallel Lives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Pyrrhus (Greek) McCall, Jeremiah B. (2002). 《The cavalry of the Roman republic: cavalry combat and elite reputations in the Middle and Late Republic》. New York: Routledge. 32쪽. 0-415-25713-1. At Asculum the Roman cavalry matched Pyrrhus' Greek riders.  《Roma: the novel of ancient Rome》. 뉴욕: St. Martin's Press. 2007. 332쪽. 0-312-32831-1. the Greek adventurer king Pyrrhus  Feeney, Denis (2007). 《Caesar's calendar: ancient time and the beginnings of history》.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38쪽. 0-520-25119-9. ...before Pyrrhus no contact with Greece after Pyrrhus Rome and Greece in tandem  Bernstein, Alvin H.; Murray, Williamson; Knox, MacGregor (1996). 《The Making of strategy: rulers, states, and war》. 캠브리지, 영국: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0-521-56627-4. Pyrrhus king of Epirus invaded Italy with a formidable Greek profeesional hoplite army  Christopher Mackay (2004).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캠브리지, 영국: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49쪽. 0-521-80918-5. Pyrrhus' Greek troops were tactically superior to the Roman army and he was never defeated in battle. 
  3. “Epirus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www.britannica.com. 2008년 12월 25일에 확인함. 5세기경에도 에페이로스는 그리스 세계의 변방이었다. 당대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에페이로스 사람을 이르러 "이방인"이라고 썼다. 그리스인으로 인정받은 에페이로스인은 아이아코스 가문 사람들이었는데, 이들은 몰로소이 왕가 사람으로, 아킬레스의 후손이라 주장했다. 기원전 370년경부터 아이아코스 사람들은 에페이로스의 적 부족을 병합하여 몰로소이의 영토를 늘릴 수 있었다. 이들의 노력으로 자신들의 공주 올림피아스를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 시집보냈다. 기원전 334년 필리포스 2세와 올림피아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시아를 정복하고 있을 때, 그의 삼촌인 몰로소이의 지배자 알렉산드로스는 이탈리아 남부를 공격했는데, 로마의 견제를 받고 기원전 331년경에 전사했다. 몰로소이의 알렉산더가 죽자 에페이로스 부족들은 몰로소이인을 왕으로 삼아 군사 지휘권을 맡기되 모든 부족이 평등한 연맹을 조직했다. 이 연맹의 가장 위대한 몰로소이 왕은 피로스(319년~272년)였는데, 그와 아들 알렉산드로스 2세는 남쪽으로는 아카르나니아, 북쪽으로는 알바니아에 이르는 지역을 통치했다. 피로스의 군사 원정으로 나라의 군대를 혹사시켰지만 덕분에 에페이로스는 널리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수도로 삼았던 암브라키아(현재의 아르타, Árta)에 새 교외와 도도나에 장대한 석조 극장을 세웠다. 
  4. Pyrrhus, Britannica, 2008, O.Ed. 헬레니즘 시대 에페이로스의 왕으로, 마케도니아와 로마와 싸워 값비싼 승리를 거두어 "피로스의 승리"란 말을 남겼다. 전술에 대한 그의 회고와 서적은 키케로를 비롯한 여러 고대 저자들의 책에 인용되어 찬사를 받았다.
  5. Borza, Eugene N. (1992).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Revised Edition)》.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중기 청동기 시대에 다양한 그리스어 방언을 쓰는 사람들이 그리스 각지로 흩어져 살았는데, '북서' 그리스인이라는 어느 집단은 독자적인 방언을 가지고 에페이로스 중부에 정착했다. 이것이 에페이로스 부족 몰로소이의 기원이다." "[...] 도리아인과 몰로소이인이 쓰는 고유한 그리스어 방언." "서쪽 산맥에는 몰로소이 사람(에페이로스의 서부 그리스)이 살고 있다."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피로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같이 보기

편집
  N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