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현삼과(玄蔘科, 학명: Scrophulariaceae 스크로풀라리아케아이[*])는 꿀풀목의 과이다.[1]
현삼과 | ||
---|---|---|
Scrophularia nodos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 국화군 | |
목: | 꿀풀목 | |
과: | 현삼과 (Scrophulariaceae) Juss., 1789 | |
모식종 | ||
현삼속(Scrophularia Tourn. ex L.)) | ||
[출처 필요] | ||
속 | ||
|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데, 특히 온대 지역에 많은 종이 있다. 전 세계에 약 65속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개현삼·토현삼 등이 자란다.
이 과는 대부분 초본인데, 종에 따라서는 관목이 되는 것도 있다. 잎에는 턱잎이 없고 어긋나거나 마주나지만, 때로는 돌려나는 것도 있다. 꽃은 대부분 좌우대칭인 양성화이며 통꽃인데, 꽃부리의 윗부분은 4갈래 또는 5갈래로 나뉘어 있거나 때로는 6-8갈래로 나뉘어 있다. 꽃부리통에 붙어 있는 수술은 보통 4개인데 그 중 2개가 특히 길며, 종에 따라서는 2개만인 것도 있다. 씨방은 상위로 2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2개의 방을 가지고 있다. 암술머리는 씨방 끝에 붙는다. 열매는 거의 삭과이지만 아주 드물게는 액과가 되는 것도 있다.
하위 분류
편집- 등포풀속(Limosella L.)
- Agathelpis Choisy
- Barthlottia E.Fisch.
- Camptoloma Benth.
- Chaenostoma Benth.
- Chenopodiopsis Hilliard & B.L.Burtt
- Cromidon Compton
- Dischisma Choisy
- Glekia Hilliard
- Globulariopsis Compton
- Glumicalyx Hiern
- Gosela Choisy
- Hebenstretia L.
- Jamesbrittenia Kuntze
- Lyperia Benth.
- Manulea L.
- Melanospermum Hilliard
- Microdon Choisy
- Phyllopodium Benth.
- Polycarena Benth.
- Pseudoselago Hilliard
- Selago L.
- Strobilopsis Hilliard & B.L.Burtt
- Sutera Roth
- Tetraselago Junell
- Trieenea Hilliard
- Zaluzianskya F.W.Schmidt
- Capraria L.
- Eremogeton Standl. & L.O.Williams
- Leucophyllum Bonpl.
- Bontia L.
- Calamphoreus Chinnock
- Diocirea Chinnock
- Eremophila R.Br.
- Glycocystis Chinnock
- Myoporum Banks & Sol. ex G.Forst.
- Buddleja Houst. ex L.
- Gomphostigma Turcz.
- Anticharis Endl.
- Aptosimum Burch. ex Benth.
- Peliostomum E.Mey. ex Benth.
- Dermatobotrys Bolus
- Oftia Adans.
- Ranopisoa J.-F.Leroy
- Teedia Rudolphi
- Antherothamnus N.E.Br.
- Freylinia Colla
- Manuleopsis Thell.
- Phygelius E.Mey. ex Benth.
- Alonsoa Ruiz & Pav.
- Colpias E.Mey. ex Benth.
- Diascia Link & Otto
- Diclis Benth.
- Hemimeris L.f.
- Nemesia Vent.
- 현삼속(Scrophularia Tourn. ex L.)
- 우단담배풀속(Verbascum L.)
- Nathaliella B.Fedtsch.
- Rhabdotosperma Hartl
- × Scrophulari-verbascum P.Fourn.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Ameroglossum Eb.Fisch., S.Vogel & A.V.Lopes
- Androya H.Perrier
- Chamaecrypta Schltr. & Diels
- Dolichostemon Bonati
- Trungboa Rauschert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꿀풀목의 계통 분류이다.[11]
꿀풀목 |
| |||||||||||||||||||||||||||||||||||||||||||||||||||||||||||||||||||||||||||||||||||||||||||||||||||||||||||||||||||||||||||||||||||||||
각주
편집- ↑ Jussieu, Antoine Laurent de. Genera Plantarum 117–118. 1789.
- ↑ Dumortier, Barthélemy Charles Joseph.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52. 1827.
- ↑ Miers, John.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ser. 2 5: 252. 1850.
- ↑ Reichenbach, Heinrich Gottlieb Ludwig. Handbuch des Naturlichen Pflanzensystems 196. 1837.
- ↑ Bartling, Friedrich Gottlieb. Ordines Naturales Plantarum 172. 1830.
- ↑ Bentham, George & Hooker, Joseph Dalton. Genera Plantarum 2: 915, 916. 1876.
- ↑ Bentham, George. Edwards's Botanical Register 21: ad t. 1770. 1835.
- ↑ Barringer, Kerry A.. Novon 3(1): 16. 1993.
- ↑ Bentham, George. Edwards's Botanical Register 21: ad t. 1770. 1835.
- ↑ Dumortier, Barthélemy Charles Joseph.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35. 1827.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23년 5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현삼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꿀풀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