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식물

호박박과 호박속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채소 및 그 열매를 이르는 말이다.

여러 가지 호박
호박씨(숙성)

역사

편집
호박 생산량 – 2018
국가 100만
  중국
8.1
  인도
5.6
  우크라이나
1.3
  러시아
1.2
전 세계
27.6
Source: FAOSTAT of the United Nations[1]

호박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또는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인 채소이다.[2][3]

한국에는 호박(C. moschata) 품종임진왜란(1592~1598) 이후에 중국을 거쳐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호박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618년 책인 《한정록》의 〈치농편〉으로, 호박을 심고 재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4]성종실록》에는 이보다 앞선 1479년에 제주도 사람인 김비의, 강무, 이정이 류쿠국의 "소내시마"에서 호박을 봤다는 기록이 나온다.[5]

서양호박(C. maxima) 품종단호박일제강점기1920년대에 들어왔으나 "왜호박"이라 부르며 꺼렸으며, 페포호박(C. pepo)인 주키니호박은 1955년에 도입되었다.[6]

종류와 특징

편집

호박(C. moschata), 서양호박(C. maxima), 페포호박(C. pepo) 등이 있으며, 수확 시기에 따라 여름 호박겨울 호박으로 나누기도 한다. 한국의 맷돌호박애호박, 조선호박 등은 호박(C. moschata)의 재배품종이다. 잭오랜턴을 만들 때 쓰는 호박이나 애호박과 비슷하게 생긴 주키니호박은 페포호박(C. pepo)의 재배품종이고, 단호박은 서양호박(C. maxima)의 재배품종이다. 미국에서는 호박을 "펌킨(pumpkin)"과 "스쿼시(squash)"로 나누기도 하는데, 생장기간이 길고 덩굴이 길게 뻗으며 큰 열매가 맺히는 품종을 "펌킨"으로, 빨리 자라고 작은 열매를 맺으며 덩굴이 뻗지 않는 품종을 스쿼시로 부른다.

쓰임새

편집
Pumpkin, raw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109 kJ (26 kcal)
6.5 g
당분2.76 g
식이 섬유0.5 g
0.1 g
1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 (동등)
53%
426 μg
29%
3100 μg
1500 μg
티아민 (B1)
4%
0.05 mg
리보플라빈 (B2)
9%
0.11 mg
나이아신 (B3)
4%
0.6 mg
판토테산 (B5)
6%
0.298 mg
비타민 B6
5%
0.061 mg
엽산 (B9)
4%
16 μg
비타민 C
11%
9 mg
비타민 E
3%
0.44 mg
비타민 K
1%
1.1 μg
무기질함량 %DV
칼슘
2%
21 mg
철분
6%
0.8 mg
마그네슘
3%
12 mg
망간
6%
0.125 mg
6%
44 mg
칼륨
7%
340 mg
나트륨
0%
1 mg
아연
3%
0.32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91.6 g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호박 열매는 비타민A칼륨이 풍부하며, 여러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호박죽을 끓이거나 등에 첨가하여 먹고, 산후조리로 붓기를 빼기위해서 먹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호박 씨는 널리 애용되는 간식이고 단백질철분의 공급원이기도 하다.[7]

항암 효과에 좋은 알파카로틴(alpha-carotene)이 다량 함유돼 있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어 당뇨와 다이어트에 좋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은 물론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8]

핼러윈에는 등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Pumpkin production in 2018 (includes squash and gourds),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2020년 10월 23일에 확인함. 
  2. Tsao, Jocelyn Shing-Jy; Lo, Hsiao-Feng. 〈Vegetables: Types and Biology〉. Hui, Y. H. 《Handbook of Food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영어). CRC Press. ISBN 978-1-4665-0787-6. 
  3. Robinson, R. W.; Decker-Walters, D. S. (1997). 《Cucurbits》. Crop Production Science in Horticulture (영어). CABI. ISBN 978-0-85199-133-7. 
  4. 허균 (1618). 〈治農〉 [치농]. 《閑情錄》 [한정록].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 성종실록 105. 조선. 1479년 6월 10일. 
  6. 정종도. “호박의 우리나라에서의 내력”. 《경상북도농업정보DB》. 경상북도농업기술원. 2018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9일에 확인함. 
  7.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위키문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 씨 식 물/쌍떡잎 식물〉
  8. “[알토란레시피] 얼굴 붓기 빼기 좋은 '알토란' 호박죽 만드는 법과 호박 효능·부작용·보관법·손질법은?”. 《공감신문》. 2018년 10월 29일. 2018년 11월 7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NODES
chat 3
os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