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206B1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Google Patents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3206B1 KR101043206B1 KR1020080103458A KR20080103458A KR101043206B1 KR 101043206 B1 KR101043206 B1 KR 101043206B1 KR 1020080103458 A KR1020080103458 A KR 1020080103458A KR 20080103458 A KR20080103458 A KR 20080103458A KR 101043206 B1 KR101043206 B1 KR 101043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oskeleton
- joint
- frame
- motor
- bevel gea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4819 Mobility Lim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43 Ricin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28 Ricin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하는 외골격과 보행 보조수단인 캐스터워커로 구성되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절부 구동장치를 직접 고관절부나 슬관절부에 설치하고 그 구조를 단순하게 구현하여 동력전달 거리를 최소화하고 동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서로 분리할 필요 없이 일체로 결합하고 관절부 구동장치를 암이 아닌 외골격에 위치시킴으로써 암과 외골격의 분리로 인한 기존의 문제들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분리하지 않고 허리 브레이스만 외골격으로부터 분리하여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외골격 착용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composed of the exoskeleton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and the caster walker as a walking aid.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installs the joint drive device to the hip joint or knee joint and implements the structure simply to minimize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and maximiz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xisting problems due to separation of the arm and the exoskeleton by combining the arm and the exoskeleton without having to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by positioning the joint drive device to the exoskeleton, not the ar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and simple to wear the exoskeleton by separating the arm and the exoskeleton to wear only the waist brace from the exoskeleton.
보행 보조기기, 외골격, 캐스터워커, 암, 고관절부, 슬관절부, 구동장치, 허리 브레이스 Gait Assist, Exoskeleton, Caster Walker, Arm, Hip, Knee, Drive, Lumbar Br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반인의 근력 증강이나 환자의 보행 재활 또는 노약자의 거동 보조를 위하여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하는 외골격과 보행 보조수단인 캐스터워커(caster-walker)로 구성되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muscle and gait aid robot, specifically caster-walker (caster-) which is a exoskeleton and walking aid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to increase muscle strength of the general public, walking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or assisting the behavior of the elde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for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ssistance composed of a walker.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기기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재활을 돕거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이다. 보행 보조기기는 삶의 질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현대사회가 노령화 사회로 진입해 감에 따라 점차 연구개발이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walking aids are a means used to assist rehabilitation or assist behavior of a patient or elderly person who has difficulty walking. As walker aid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life and welfare, and as the modern society enters an aging society, R & D is becoming more active.
기존의 보행 보조기기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는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었으나, 최근 개발된 보행 보조기기는 컴퓨터와 인체공학적 메커니즘을 접목하여 보다 편리하고 근력 증강 효과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612031호의 '근력 증강을 위한 보행 보조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이나 한국등록특허 제716597호의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은 사용자 의 하체에 외골격을 착용하고 보행 보조수단인 캐스터워커의 암(arm)에 구동장치를 장착하여 이를 통해 외골격을 구동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Conventional walking aids have been a simple mechanism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wearer's movement, but recently developed walking aids have the advantage of more convenient and strength building effect by combining the computer and ergonomic mechanism. For example, the 'walking aid for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control method thereof' of Korean Patent No. 612031 or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of Korean Patent No. 716597 wears an exoskeleton to the user's lower body and walk assistance.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driving a exoskeleton by mounting a driving device on an arm of a caster worker, which is a mean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 또는 로봇은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하는 외골격(10)과, 모터에 의해 주행하는 캐스터워커(20)와, 외골격(10)과 캐스터워커(20)를 연결하는 암(30)으로 이루어진다. 외골격(10)은 좌우측 다리 프레임(11)에 각각 고관절부(12)와 슬관절부(13)가 설치되는 한편,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 브레이스(14), 허벅지 브레이스(15), 종아리 브레이스(16)가 다리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바퀴(21)가 달린 캐스터워커(20)는 별도의 주행용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탱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캐스터워커(20)에 설치되어 외골격(10)에 연결되는 암(30)은 외골격(10)의 고관절부(12)와 슬관절부(13)를 각각 구동할 수 있도록 모터와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를 내장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walking aid or robot connects an
이러한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 내지 로봇은 캐스터워커(20)가 자체적으로 주행하면서 암(30)의 구동장치를 통해 외골격(10)의 고관절부(12)와 슬관절부(13)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보행 보조뿐만 아니라 근력 증강을 통한 재활에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walking aids or robots walk assistance because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는 구동장치의 위치가 캐스터워커(20)에 설치된 암(30)에 있다 보니,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구동장치로부터 구동력이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고관절부(12)나 슬관절부(13)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와이어나 체인으로 구동력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동력전달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 이 있다. 또한, 구동장치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백래시(backlash)로 인한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device is located in the
더욱이,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는 사용자가 외골격(10)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장치가 설치된 암(30)이 외골격(1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때 관절부(12, 13)에 사용되는 동력연결부도 함께 분리되어야 하므로 느슨한 연결에 의한 동력손실이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동력연결부는 높은 토크(torque)의 전달 부위이므로 작동 중 분리의 위험성이 크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외골격(10)을 입고 벗을 때마다 암(30)과 외골격(10)의 동력연결부를 연결하고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Furthermore, the conventional walk assistance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아울러,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에서 외골격(10)의 구조는 좌우측 다리 프레임(11)과 허리 브레이스(14)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골격(10)을 착용하려면 외골격(10)을 의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입거나 보조인원의 도움을 받아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외골격(10) 착용이 여간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또한, 종래의 보행 보조기기는 전륜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거나 힘을 가하게 되면 앞바퀴가 들려 움직이지 않거나 좌우가 불안정하게 움직일 수 있거나 심한 경우 전복의 위험성도 상존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lk assistance apparatus adopts a front wheel driving method, and if the user falls backward or exerts force, the front wheel may not be lifted up,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move unstable, or the risk of overturning may also exist.
이에, 본 발명은 구동장치와 관절부 사이의 동력전달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동력전달 효율을 향상시킨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improves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between the drive unit and the joint.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서로 분리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분리에 따른 동력손실이나 분리위험성 등의 기존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that can prevent the existing problems such as power loss or separation risk due to separation by eliminating the need to separate the cancer and the exoskeleton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분리할 필요 없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외골격을 착용할 수 있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that can easily and easily wear the exoskeleton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arm and the exoskeleton.
또한, 본 발명은 전륜구동 방식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는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can solve the structural instability by the all-wheel drive method.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of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은, 외골격과 캐스터워커와 암과 결합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골격은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고관절부와 슬관절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허리 브레이스와 허벅지 브레이스와 종아리 브레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캐스터워커는 주행이 가능하고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암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고 양쪽 끝이 각각 상기 외골격과 상기 캐스터워커에 체결된다. 상기 결합 핀은 상기 허리 브레이스와 상기 외골격을 결합시킨다.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oskeleton, caster walker and arms and coupling pins. The exoskeleton includes a pair of frames, a hip joint and a knee joint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ame to rotate the frame, a waist brace, a thigh brace, and a calf brace fastened to the frame. The caster walker is capable of traveling and has a handle. The arm is composed of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rames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frame and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exoskeleton and the caster walker, respectively. The coupling pin couples the waist brace and the exoskeleton.
특히, 상기 허리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핀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핀 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핀은 상기 핀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 핀을 상기 핀 삽입부에 삽입하거나 빼냄으로써 상기 허리 브레이스가 상기 외골격에 결합되거나 상기 외골격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In particular, the pi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 brace and the pin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the coupling pin is mounted to the pin mount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portion The waist brace is coupled to or removed from the exoskeleton by pulling in or out.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고관절부와 상기 슬관절부는 각각 상기 프레임이 위아래로 분할된 위쪽 프레임과 아래쪽 프레임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관절부와 상기 슬관절부 각각은 상기 위쪽 프레임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접촉판과, 상기 아래쪽 프레임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2 접촉판과, 상기 제1 접촉판과 상기 제2 접촉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종동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촉판과 상기 제2 접촉판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는 상기 제2 접촉판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접촉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frame is divided up and down,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is formed integrally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a contact plate, a second contact plate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and a driven bevel gear installed through the first contact plate and the second contact plate. The second contact plate may be disposed to abut each other, and the driven bevel gear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plate.
또한, 상기 외골격은 상기 고관절부와 상기 슬관절부에 각각 직접 결합되는 관절부 구동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절부 구동장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모터축, 상기 모터축에 연결된 주동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동 베벨기어는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90도 회전방향을 바꾸어 상기 종동 베벨기어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oskeleton further includes a joint driving device coupled directly to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respectively, the joint driving device includes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motor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main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It may include a bevel gear, the main bevel gear meshes with the driven bevel gear,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by changing the rotational direction 90 degrees to the driven bevel gear.
삭제delete
또한, 상기 외골격은 상기 고관절부와 상기 슬관절부에 각각 직접 결합되는 관절부 구동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관절부 구동장치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모터박스와,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고관절부나 상기 슬관절부로 전달하는 주동 베벨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고관절부나 상기 슬관절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oskeleton further comprises a joint driving device which is directly coupled to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respectively, the joint driving device includes a motor box incorporating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 driving force, and a rotation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It may include a gear box with a built-in bevel gear transmission to the hip joint or the knee joint, the gear box may be coupled to the hip joint or the knee joint.
또한, 상기 슬관절부에 결합되는 상기 관절부 구동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고관절부에 결합되는 상기 관절부 구동장치는 상기 프레임보다 뒤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driving unit coupled to the knee joint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frame, the joint driving unit coupled to the hip joint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backward from the frame.
또한, 상기 캐스터워커는 주행용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뒷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ter walker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rear wheels driven by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캐스터워커는 주행용 모터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와, 입력수단과 표시수단이 구비된 조종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조종부를 연결하며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조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ster walker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and a wheel, a control part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and a display means, and a lif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trol part while moving up and down b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part. It can be provided.
삭제delete
본 발명은 관절부 구동장치를 직접 고관절부나 슬관절부에 설치함으로써 구 동장치와 관절부 사이의 동력전달 거리를 최소화함은 물론 와이어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joint by directly installing the joint drive unit in the hip joint or the knee joint, as well as maximizing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power transmission unit such as a wire or a chain.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관절부 구동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구현함으로써 동력전달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로봇의 제어를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er to control the robot as well as to improve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simply implementing the structure of the joint driv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서로 분리할 필요 없이 일체로 결합할 뿐만 아니라 관절부 구동장치를 암이 아닌 외골격에 위치시킴으로써 암과 외골격의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동력손실이나 분리위험성과 같은 기존의 신뢰성 문제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oes not need to separate the arm and the exoskeleton from each other, but also the existing reliability, such as power loss or separation risk caused by separation of the arm and the exoskeleton by placing the joint drive device in the exoskeleton, not the ar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problems at source.
또한, 본 발명은 암과 외골격을 분리하지 않고 허리 브레이스만 외골격으로부터 분리하여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외골격 착용이 매우 쉽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exoskeleton is very easy and simple to wear by separating only the waist brace from the exoskeleton without separating the arm and the exoskeleton.
또한, 본 발명은 전륜구동 방식이 아닌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함과 아울러 보조바퀴를 채용함으로써 전복 위험성과 같은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structural instability, such as the risk of overturning by adopting the rear wheel driving method instead of the front wheel driving method and the auxiliary wheel.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so as to clearly convey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blurring them.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은 크게 외골격(100)과 캐스터워커(200, caster-walker)와 암(300, arm)으로 구성된다.2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외골격(100)은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보행 동작이나 앉고 일어서는 동작을 유도하고 보조하는 기구이다. 외골격(100)은 사람의 양 다리에 해당하는 한 쌍의 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사람의 고관절과 슬관절에 해당하는 고관절부(120a)와 슬관절부(120b)가 좌우측 프레임(110)에 각각 설치된다. 프레임(110)은 각 관절부(120a, 120b)를 기준으로 상하 프레임으로 나뉘며, 각 관절부(120a, 120b)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10)들도 함께 회전하면서 사람의 보행 동작이나 앉고 일어서는 동작을 구현한다. 프레임(110)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 브레이스(131), 허벅지 브레이스(132), 종아리 브레이스(133)가 각각 체결된다.The
캐스터워커(200)는 주행용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돕는 기구이다. 캐스터워커(200)는 주행이 가능하도록 바퀴(210)가 달려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탱할 수 있는 손잡이(220)를 구비하고 있다.The
암(300)은 외골격(100)과 캐스터워커(200)를 서로 연결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팔로 지탱할 수 있는 기구이다. 외골격(100)의 한 쌍의 프레임(110)에 대응하여 암(300)도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암(300)의 양쪽 끝은 각각 외골격(100)과 캐스터워커(200)에 체결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특징 중 하나는 관절부의 구동장치가 기존처럼 암(30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외골격(100)에 설치된다는 점이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골격(100)의 고관절부(120a)와 슬관절부(120b)에 바로 구동장치(140a, 140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140a, 140b)의 설치 지점을 외골격(100)의 관절부(120a, 120b) 쪽으로 변경함으로써 동력전달을 위한 기존의 와이어나 체인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동력전달 거리를 최소화하여 동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ving unit of the joint unit is install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또 다른 특징은 암(300)과 외골격(100)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결합된 반면, 허리 브레이스(131)가 외골격(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도 3에서 보듯이, 암(300)과 외골격(100)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허리 브레이스(131)는 외골격(10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는 허리 브레이스(131)를 먼저 착용하고 난 후, 결합 핀(400)을 이용하여 허리 브레이스(131)와 외골격(100)을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착용 방식을 변경하게 되면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외골격(100)을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300)과 외골격(100)의 분리에 따른 기존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외골격과 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관절부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oskeleton and the arm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FIG. 5. In addi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driving device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end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muscle power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먼저, 도 4와 도 8을 참조하면서 캐스터워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스터워커(200)는 외형상 크게 본체(230), 리프트(240, lift), 조종부(250), 손잡이(220), 리모컨(260)으로 구성된다.First, the
본체(230) 내부에는 주행용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고, 본체(230) 하부에는 한 쌍의 앞바퀴(도시되지 않음)와 한 쌍의 뒷바퀴(210)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용 모터는 종래와 같이 앞바퀴를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뒷바퀴(210)를 구동한다. 즉, 본 발명의 캐스터워커(200)는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한다. 앞바퀴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캐스터이다. 또한, 본체(230)의 뒤편(즉, 사용자 쪽)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212)가 더 구비된다. 후륜구동 방식에 더하여 보조바퀴(212)를 채용하게 되면 캐스터워커(200)의 전복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driving motor (not shown) is mounted inside the
또한, 본체(230) 내부에는 리프트 구동기(도시되지 않음)와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리프트 구동기는 이어서 설명할 리프트(240)를 상하로 동작 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어장치는 행동프로파일을 내장하고 있으며 관절부 구동장치(140a, 140b), 주행용 모터, 리프트 구동기 등을 제어한다.Also, a lift driver (not shown)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are mounted inside the
리프트(240)는 본체(230)와 조종부(250)를 연결하며 리프트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조종부(250)의 높이를 조절한다.The
조종부(250)는 사용자가 로봇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251)과 로봇의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수단(252)을 포함한다. 입력수단(251)은 키패드, 터치패널, 조작레버, 버튼 등의 공지 수단들이 가능하며, 표시수단(252)은 LCD 등의 공지 수단들이 가능하다.The
손잡이(220)는 조종부(250)로부터 사용자 쪽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리프트(240)에 의해 조종부(25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손잡이(220)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손잡이(220)에도 사용자가 로봇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221)이 설치된다. 조종부(250)와 손잡이(220)에 설치된 입력수단(221, 251)은 앉기/서기, 보행/정지, 리프트 상승/하강, 보행속도 조절 등의 기능을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The
리모컨(260)은 유무선이 모두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수단을 통해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 보조인원이 대신 로봇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서 암(3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암(300)은 외골격(100)과 캐스터워커(200)를 서로 연결한다. 암(3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한쪽 끝부분이 체결박스(310)를 통해 캐스터워커(200)의 조종부(250) 좌우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스터워커(200)의 손잡이(220) 와 마찬가지로 암(300)을 손으로 잡거나 팔로 지탱할 수 있다.The
암(300)의 반대쪽 끝부분은 외골격(100)에, 구체적으로는 허리 브레이스(131)가 연결된 상단 프레임(111)에, 직접 결합된다. 이와 같이 암(300)과 외골격(100)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암(300)과 캐스터워커(200)의 결합, 암(300)과 외골격(100)과의 결합은 공지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opposite end of the
이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서 외골격(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골격(100)은 한 쌍의 프레임(110), 4개의 관절부(120a, 120b), 4개의 관절부 구동장치(140a, 1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각 프레임(110)은 분할된 여러 프레임(111, 112, 113)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에는 관절부(120a, 120b)들이 설치되는데, 슬관절부(120b)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과 관절부 간의 결합관계 및 작동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ach
슬관절부(120b)는 위아래에 위치한 두 개의 프레임(112, 113) 사이에 있으며, 두 개의 원형 접촉판(122, 123)과 종동 베벨기어(121)로 구성된다. 제1 접촉판(122)은 위쪽 프레임(11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접촉판(123)은 아래쪽 프레임(11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두 접촉판(122, 123)은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고, 종동 베벨기어(121)가 두 접촉판(122, 12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종동 베벨기어(121)는 제2 접촉판(123)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1 접촉판(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종동 베벨기어(121)가 회전하면 일체로 결합된 제2 접촉 판(123)만 회전하면서 결국 아래쪽 프레임(113)이 회전하게 된다.The knee joint 120b is located between two
한편, 종동 베벨기어(121) 중심에는 스퍼 기어(124)가 설치되고, 스퍼 기어(124)와 1:1로 연결되어 관절 회전과 동기화되는 퍼텐쇼미터(125, potentiometer)가 설치된다. 퍼텐쇼미터(125)는 초기 작동시 관절부(120b)의 위치(기준/원점)를 확인하고 보행시 관절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다. 특히, 퍼텐쇼미터(125)는 기어의 백래시 누적오차나 관절부가 움직이면서 허리 브레이스에서 흡수되는 상대적 오차를 측정하여 반영함으로써 보행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정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정지하게 되며 기준점을 찾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된다.Meanwhile, a
이상 설명한 슬관절부(120b)의 구성 및 작동과정은 고관절부(12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knee joint 120b described above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hip joint 120a.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고관절부(120a)와 슬관절부(120b) 사이에는 길이 조절봉(150)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봉(150)은 양쪽 끝이 고관절부(120a)의 아래쪽 프레임과 슬관절부(120b)의 위쪽 프레임에 각각 체결되며, 길이 조절봉(150)의 적어도 어느 한쪽 끝은 프레임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길이 조절봉(150)에는 여러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조절봉(150)이 삽입되는 프레임에도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 조절봉(150)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고 구멍의 위치를 맞춘 후 고정 핀을 끼우는 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4 and 5, the
프레임(110)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허리 브레이스(131), 허벅지 브레이스(132), 종아리 브레이스(133)도 각각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허리 브레이 스(131)가 외골격(100)과 분리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허리 브레이스(131)의 외측면에는 핀 삽입부(131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 프레임(111)의 내측면에는 핀 장착부(111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핀 삽입부(131a)와 핀 장착부(111a)는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핀 장착부(111a)에는 결합 핀(400)이 장착되어 있다. 핀 삽입부(131a)와 핀 장착부(111a)를 서로 끼운 후 핀 장착부(111a)의 결합 핀(400)을 핀 삽입부(131a) 안에 삽입하면 허리 브레이스(131)와 외골격(100)의 결합이 쉽게 구현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허리 브레이스(131)가 외골격(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경우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허벅지 브레이스(132)나 종아리 브레이스(133)도 외골격(100)과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부 구동장치(140a, 140b)가 암(300)이 아닌 외골격(100)에 바로 설치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특히, 관절부 구동장치(140a, 140b)는 4개의 관절부(120a, 120b)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기존의 와이어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 수단 없이 직접 관절부(120a, 120b)를 구동하며, 동력전달 거리가 매우 짧아 동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4 and 5,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이하, 슬관절부 구동장치(140b)를 도시한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관절부 구동장치의 구성과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고관절부 구동장치(14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gain illustrating the knee
먼저 구성을 설명하면, 슬관절부 구동장치(140b)는 외견상 크게 모터박스(141)와 기어박스(142)로 이루어진다. 모터박스(141)는 프레임(112)에 평행하게 맞닿아 위치하며, 기어박스(142)는 슬관절부(120b)에 결합된다. 모터박스(141) 내부에는 모터(143)와 모터축(144)이 설치되고, 기어박스(142) 내부에는 주동 베벨기어(145)가 설치된다. 주동 베벨기어(145)는 모터 축(144)을 통하여 모터(143)와 연결되어 구동되고, 전술한 슬관절부(120b)의 종동 베벨기어(121)와 맞물린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모터(143)와 주동 베벨기어(145) 사이에 커플링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First, the configuration, the knee
이어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모터(143)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은 모터축(144)을 통해 주동 베벨기어(145)로 전달된다. 주동 베벨기어(145)는 맞물려 있는 종동 베벨기어(121)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고, 이 때 회전방향이 90도 바뀌게 된다.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은 종동 베벨기어(121)가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동 베벨기어(121)와 일체로 결합된 제2 접촉판(123)이 회전하면서 결국 프레임(113)을 회전시키게 되고, 스퍼 기어(124)와 연결된 퍼텐쇼미터(125)가 회전 각도와 오차를 측정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한편, 고관절부 구동장치(140a)와 슬관절부 구동장치(140b)는 그 구성이나 작동과정이 모두 동일하지만,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 도 2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관절부 구동장치(140b)는 프레임(110)과 완전히 평행하게 슬관절부(120b)에 설치되지만, 고관절부 구동장치(140a)는 프레임(110)보다 약간 뒤쪽으로 경사지도록 고관절부(120a)에 설치된다. 이는 고관절부 구동장치(140a)에 의해 사용자의 팔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ip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through the embodime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사용 상태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착용 방식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wearing method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lligent muscle power and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외골격과 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oskeleton and the arm of the intelligent muscle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구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end of the intelligent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외골격 110, 111, 112, 113: 프레임100:
120a: 고관절부 120b: 슬관절부120a: hip joint 120b: knee joint
121: 종동 베벨기어 122, 123: 접촉판121: driven
124: 스퍼 기어 125: 퍼텐쇼미터124: spur gear 125: potentiometer
131: 허리 브레이스 132: 허벅지 브레이스131: waist brace 132: thigh brace
133: 종아리 브레이스 140a, 140b: 관절부 구동장치133:
141: 모터박스 142: 기어박스141: motor box 142: gearbox
143: 모터 144: 모터축143: motor 144: motor shaft
145: 주동 베벨기어 150: 길이 조절봉145: moving bevel gear 150: length adjustment rod
200: 캐스터워커 210: 바퀴200: caster walker 210: wheels
212: 보조바퀴 220: 손잡이212: auxiliary wheel 220: handle
221: 입력수단 230: 본체221: input means 230: main body
240: 리프트 250: 조종부240: lift 250: control unit
251: 입력수단 252: 표시수단251: input means 252: display means
260: 리모컨 300: 암260: remote control 300: arm
310: 체결박스310: fastening box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3458A KR101043206B1 (en) | 2008-10-22 | 2008-10-22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3458A KR101043206B1 (en) | 2008-10-22 | 2008-10-22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4359A KR20100044359A (en) | 2010-04-30 |
KR101043206B1 true KR101043206B1 (en) | 2011-06-21 |
Family
ID=4221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3458A KR101043206B1 (en) | 2008-10-22 | 2008-10-22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320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3850B1 (en) * | 2012-03-07 | 2014-02-18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
KR20220031947A (en) | 2020-09-04 | 2022-03-1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alking Aid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904B1 (en) * | 2011-10-10 | 2013-07-02 | 주식회사 사이보그-랩 |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atation with hip joint compensation mechanism |
KR101299351B1 (en) * | 2012-03-07 | 2013-08-22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Wheelchair integrated lower-limb exercise/rehabilitation device |
KR101602728B1 (en) | 2014-08-25 | 2016-03-11 |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 Legs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movable gait training and stationary gait training |
EP3509558B1 (en) * | 2016-09-08 | 2022-10-26 | Trexo Robotics Inc. | Mobile weight-bearing powered orthosis device |
KR102334854B1 (en) * | 2017-05-10 | 2021-12-03 |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
KR101980571B1 (en) * | 2018-08-03 | 2019-05-21 | (주) 티로보틱스 | Orthopedic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84016A (en) | 1998-09-17 | 2000-03-28 | Hitachi Ltd | Walk training device |
KR20070004825A (en) * | 2004-03-11 | 2007-01-09 | 요시유키 산카이 |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calibration device, and calibration program |
KR100716597B1 (en) * | 2005-12-30 | 2007-05-0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Robot for assistant exoskeletal power |
-
2008
- 2008-10-22 KR KR1020080103458A patent/KR1010432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84016A (en) | 1998-09-17 | 2000-03-28 | Hitachi Ltd | Walk training device |
KR20070004825A (en) * | 2004-03-11 | 2007-01-09 | 요시유키 산카이 |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calibration device, and calibration program |
KR100716597B1 (en) * | 2005-12-30 | 2007-05-0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Robot for assistant exoskeletal pow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3850B1 (en) * | 2012-03-07 | 2014-02-18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
KR20220031947A (en) | 2020-09-04 | 2022-03-15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alking Aid Apparatus |
KR102511079B1 (en) * | 2020-09-04 | 2023-03-2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Walking Aid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4359A (en) | 2010-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6751B1 (en)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
KR101043206B1 (en) |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
KR101368817B1 (en) | Walk assist apparatus | |
KR101043207B1 (en) | Wheelchair Type Exoskeletal Robot for Power Assistance | |
CN109009866B (en) | Sitting type lower limb exoskeleton rehabilitation robot | |
KR101207614B1 (en) | Tendon-Driven Exoskeletal Power Assistive Robot | |
KR100716597B1 (en) | Robot for assistant exoskeletal power | |
KR101869968B1 (en) |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with lower body exoskeleton | |
WO2015115490A1 (en) | Wearable action assistance device | |
KR101363850B1 (en) |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 |
KR101711759B1 (en) | Wearable exoskeleton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 |
WO2015115491A1 (en) | Wearable action assistance device and wearable action assistance device manipulation unit | |
TW201639533A (en) | Interactive exoskeleton robotic knee system | |
JP2007275482A (en) | Knee joint assist device | |
CA2869694A1 (en) | Motorized exoskeleton unit | |
CN112370305B (en) | Exoskeleton robot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 |
KR20120082219A (en) | Tendon-driven exoskeletal power assistive 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1797967B1 (en) |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Lower Limb | |
KR101694848B1 (en)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
KR20180026692A (en) |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with lower body exoskeleton | |
CN211863261U (en) | Intelligent walking-aid robot | |
KR101390219B1 (en) | Exoskeleton | |
CN114733145B (en) | Intelligent multifunctional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integrated machine | |
KR102460153B1 (en) | Wearable assisting device | |
CN113813142A (en) | Ankle joint rehabilitation rob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 |